15일 선출 전병헌 김동철 우윤근 ‘접전’, 박근혜정부-안철수 관계 ‘온도차’

▲  오는 15일 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하는 전병헌 김동철 우윤근(사진 왼쪽부터) 의원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후보자 토론회에 앞서 손을 모으고 있다. ©민주당
▲ 오는 15일 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하는 전병헌 김동철 우윤근(사진 왼쪽부터) 의원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후보자 토론회에 앞서 손을 모으고 있다. ©민주당

“전병헌 의원은 한 가지로 표현하기 어렵다. 소주와 맥주가 섞인 화학주가 아닐까. 김동철 의원은 보드카처럼 담백하다. 우윤근 의원은 막걸리에 사이다를 탄 것처럼 친근하면서 유쾌하다.”

14일 오후 여의도 국회 본청에서 열린 민주당 원내대표 후보자 토론회에서 각 후보들은 서로에 대해 이렇게 비유했다. 다양한 원내외 전략을 부각시킨 전 의원(55·서울 동작구갑·3선), 계파 청산과 변화를 촉구한 김 의원(58·광주 광산구갑·3선), ‘소통·화합 리더십’을 강조한 우 의원(56·전남 광양·구례, 3선)의 특색을 비유한 말이기도 하지만, 후보별 향후 행보의 차이를 시사하는 말로도 풀이된다.

차기 원내대표는 누가 돼도 민주당에 싸늘한 민심을 극복하는 과제를 안게 됐지만, 누가 되느냐에 따라 원내외 전략에는 미묘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주목되는 쟁점은 ▲김한길 지도부 체제 내에서의 당내 문제 ▲윤창중 사건을 비롯한 대여 관계의 문제 ▲안철수측과의 대야 관계 설정이다. 오는 15일 오전 10시에 127명 의원들은 이 같은 쟁점 등을 고려해 결선투표 방식으로 최종 투표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호남 후보 배려론’ 통할까, 김한길 체제 협력도 ‘온도차’

첫째, 김한길 지도부 체제 내에서의 당내 쟁점에 대한 변화다. 우선, 당내에서 적지 않게 제기되는 질문은 ‘호남 후보 안배론’이다. 14일 토론회에서도 참석한 40여 명의 의원들을 대상으로 후보자에 대한 ‘쪽지 질문’을 한 결과, 가장 많이 나온 질문이 ‘호남 후보 배려론’에 대한 후보자들의 입장을 묻는 질문이었다. 

김한길 지도부에 호남쪽 인사가 선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호남 출신인 김동철, 우윤근 의원에 대한 ‘안배론’ 주장이 선거 초반에는 힘을 얻었다. 그러나 최근 원내대표의 ‘러닝 메이트’격인 정책위의장에 장병완(광주 남구) 의원이 임명되면서 ‘호남 안배론’이 주춤하는 양상이다.

‘호남쪽을 보완해야 한다’는 말과 ‘호남 안배론은 당 위기 상황에서 한가한 이야기’라는 말이 당내에서 함께 나오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졌다. 뚜렷하게 계파가 뭉치는 양상도 드러나지 않고 있지만 친노의 ‘2선 후퇴’ 움직임이 이어질지도 미지수여서, 현재 판세가 ‘대세론’보다는 ‘안개 정국’에 가까운 셈이다.

다만, 분명한 것은 누가 선택되느냐에 따라 ‘김한길 지도부 체제’와의 관계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협력도 면에서는 김동철, 전병헌, 우윤근 의원 순으로 미묘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김 의원은 토론회에서 “(김한길) 지도부에서 민주당 진로, 정책 방안이 결정되면 원내대표는 그것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역할”이라고 말했다. 우윤근 의원은 “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실질적으로 상의하는 일은 많지 않다”며 “의원들의 요구를 당 대표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전 의원은 “분명하고 선명한 민주당을 만드는데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우윤근 “윤창중 청문회 양보 없다”, 전병헌·김동철 ‘속도 조절론’

둘째, 박근혜정부와 새누리당과의 대여 관계 변화다. 법안, 예산 등 원내대표가 원내사령탑으로서 맡게 되는 일 상당수가 대여 관계와 관련돼 있기 때문에, 야당 원내대표의 전략과 협상에 관심이 쏠린다.

선출되고 난 뒤 당장 부딪히게 될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사건에 대한 전략 변화가 예상된다. 세 후보 모두 청와대의 인사, 상황 인식, 위기 관리에 한 목소리로 비판하고 있지만, 청문회나 국정조사에 대해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윤근 의원은 13일 <폴리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청문회는 양보할 수 없는 문제”라고 못박았다. 그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인사시스템 개편까지 가야 한다”며 “이번에 국회에서 윤창중 청문회를 하면 인사 담당자를 다 부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병헌 의원은 14일 토론회에서 “처음부터 지나치게 국정조사, 청문회처럼 세게 몰고 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청와대, 여당을 몰아가는 것과 함께 국익, 국격을 생각하며 신중하게 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철 의원도 “전 의원의 지적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말했다. 그는 “사실 관계가 (성추행으로) 확인이 되면 국정조사나 청문회가 될 수 있다”며 ‘조건부 청문회’ 입장을 밝혔다.

또 윤창중 사건 이외에도 민주당이 한미정상회담과 관련해 ‘공세’를 취할 가능성도 있다. 우윤근, 전병헌 의원은 지난 8일(현지시각) 박근혜 대통령이 댄 에커슨 GM 회장을 만나 ‘통상임금 산정 기준’ 문제에 대해 “꼭 풀어 나가겠다”고 밝힌 것을 문제 삼고 나섰다.

전 의원은 토론회에서 “GM노동자들이 GM을 상대로 8000억 원의 통상임금 반환 소송 중인데, 법원 판결 전에 대통령이 GM편을 들어주고 재판에 관여한 매우 엄중한 문제”라며 “윤창중 논란이 사그라들면 누구보다 앞장서 이 문제를 강력하게 제기하겠다”고 말했다. 또 “이번 정기국회에서 노동의 가치와 임금 문제를 중심 의제로 만들고 싶다”고 덧붙였다.

우 의원도 “대통령의 3권 분립 훼손이자 노동자의 임금 구조에 대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 것”이라며 “윤창중 사건에 가려져 있지만 이 (통상임금) 문제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동철 의원은 이날 토론회에서 통상임금 문제에 대해 직접적으로 문제제기를 하지는 않았지만, “노동 문제에 대해서 노사정이 만나서 일거에 타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이 세 후보들이 사안에 따른 입장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야당의 역할에 대한 관점 차이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 의원은 <폴리뉴스>와 인터뷰에서 “야당의 존재 이유는 집권 여당에 대한 견제”라고 밝혔지만, 김 의원은 “장외 투쟁하는 야당이 아니라 실력으로 무장한 야당”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우 의원은 “가장 지혜로운 자는 명분 있을 때는 싸우고 그렇지 않을 때는 협상해야 하는 것”이라고 밝혀, 세 의원 모두 야당 역할에 대한 강조 지점이 달랐다.

15일 오후 새누리당 원내대표 후보가 결정되기 때문에, 민주당 의원들은 ‘원조 친박’ 최경환 후보, ‘신 친박’ 이주영 후보 간의 경선 분위기까지 감안해 대여 관계를 책임질 후보를 선출할 것으로 보인다.

안철수 관계? 전병헌 “당은 경쟁, 원내는 협력”, 우윤근 ‘자강론’, 김동철 ‘선혁신, 후연대’

셋째, 안철수 무소속 의원에 대한 전략 변화다. 안철수측과의 관계 설정 문제는 10월 재보선, 내년 지방선거까지 안고 갈 문제다. 이번에 선출되는 원내대표의 향후 1년간 행보가 지방선거 결과와도 밀접히 관련돼 있기 때문에, 원내대표 후보들에게도 이 사안은 중요한 문제다.

우윤근 의원은 이날 토론회에서 “(안철수)신당이 출현하면 지지율이 40%가 넘고 민주당은 20%다. 광주 전남이 그렇다. 걱정”이라고 토로했고, 김동철 의원도 “저도 똑같은 걱정”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민주당은 안철수측과 협력적 경쟁 관계라고 밝혔는데, 안철수측에 대한 세 후보들은 협력과 경쟁 사이에서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10월 재보선 등에서 민주당과 안철수측이 ‘경쟁 관계’로 나가는 상황에서, 법안 발의·처리, 상임위 활동, 국회 쇄신 등 원내에서 어떤 관계를 맺을지 후보별 입장 차가 있는 셈이다.

전병헌 의원은 세 후보 중에서 안철수측과의 협력을 가장 강조하고 있다. 전 의원은 <폴리뉴스>와 인터뷰에서 “당 차원에서는 경쟁적 차원이 많다”면서도 “원내에서는 안철수 의원과 민주당은 상호 협력적 관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 의원은 안 의원측과 공동 법안 발의, 필요 시 당론 추진 등도 검토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반면, 우윤근 의원은 “우리가 잘해서 국민의 지지를 얻고 신뢰를 얻으면, 거기는 300분의 1이지만 우리가 실패하면 우리는 쪼그라들고 저쪽은 20~30명의 몫으로 세력이 커질 것”이라며 “전적으로 우리 하기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자강론’ 입장으로 풀이된다.

김동철 의원은 “민주당이 뼈를 깎는 혁신을 하면 된다”며 “그렇게 되면 안철수 현상은 사그라들고 그런 민주당과 안철수는 소통하게 될 것이다. 우리도 안철수와 대화하고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선(先) 혁신, 후(後) 연대론’으로 풀이된다.

정리하자면, 이번에 선출되는 민주당 원내대표는 대선 패배 이후 김한길 체제에서의 당내 현안을 수습하고, 집권 초기 강력한 정부·여당에 대응하며, 미래에 닥칠 ‘안철수 세력화’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중책을 맡아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 속에서 선택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누가 돼도 민주당에 관심 없다’는 싸늘한 민심을 향후 국회 활동을 통해 해소해야 하는 난제를 안고 가기 때문에 신임 원내대표의 어깨는 어느 때보다도 무겁다. 이 과제의 1차 시험대는 오는 10월 재보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