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사 인선과 일정-활동 등은 추후 발표, 文대통령 북미교착 돌파 노력 시작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27일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에서 정상간 악수를 나누고 있다.[사진=청와대]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27일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에서 정상간 악수를 나누고 있다.[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은 31일 오는 9월5일 대북 특별사절단을 평양에 보내기로 했다. 문 대통령의 북미협상 교착국면 돌파를 위한 노력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김 대변인은 이날 오후 대북 관련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히며 “오늘 오전 10시 30분 무렵 우리 쪽은 북한 쪽에 전화통지문을 보내 내달 5일 문 대통령께서 특사를 파견하겠다고 제안했다. 전통문을 받은 북쪽은 오후에 특사를 받겠다는 내용의 회신을 보내왔다”고 말했다.

대북 특사의 역할에 대해 “남북 정상회담의 구체적 개최 일정과 남북 관계 발전,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 정착 등을 폭넓게 협의할 예정”이라며 “남북 정상회담은 8월 13일 열린 4차 고위급회담에서 9월 안에 열기로 합의한 바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브리핑 후 질의응답을 통해 문 대통령이 특사 파견을 북한에 제안한 배경에 “우리만 그렇게 생각한 게 아니다. 남과 북 여러 경로 통해 이 문제를 협의해왔고 특사 파견이 필요하다고 판단내린 것”이라했다. 또 미국과 협의 여부에 대해 “우리와 미국은 상시적으로 긴밀하게 정보를 교환하고 협의하고 있다”며 협의 속에서 진행된 사안이라고 했다.

또 남북고위급회담을 통해 논의 진행보다 대북 특사를 파견한 배경에 대해선 “중요한 시점에서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는 만큼 조금 더 남북이 긴밀하고 농도 있는 회담을 위해 특사가 평양에 가기로 한 것”이라고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방북 무산에 따른 상황 변화 때문이라는 점을 은연중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특사 파견 날짜를 9월 5일로 정한 배경에 대해 “남북정상회담을 9월 안에 평양에서 열기로 합의한 만큼, 합의 내용을 지키기 위해서는 5일 정도가 (적합하다) 더 미뤄서는 안 되겠다는 판단을 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과 접촉과정에 대해 “남북 사이에는 다양한 경로의 상시적으로 대화하는 채널이 있다”며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연기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이야기를 해왔고, 그 대화의 결과가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특사 파견”이라고 말했다.

특사 파견을 내달 5일로 임박하게 잡은 것이 남북정상회담 협상 기류에 이상이 발생했기 때문이 아니냐는 질문에 “원활하지 않았으면 특사 자체가 못 갔을 것이다. 극히 정상적인 협의과정”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대북 특사로 누가 갈 것인지에 대해선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앞으로 협의할 예정”이라고 답했고 특사단 규모에 대해서도 “ 아직 결정되지 않았고 조금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사단의 방북 일정과 해 “5일 들어가는데 9월9일까지 있기는 멀지 않나”며 9·9절 행사 전에 마무리될 것으로 봤다. 특사단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면담 여부 등에 대해선 “내심 생각하는 바가 있는데 아직 결정되지는 않았다. 누가 갈지, 가면 누구를 만날지, 또 몇 일이나 머물지, 교통편은 어떻게 이용할지 등은 추후에 발표하겠다”고 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