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김현우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26일 오전 9시부터 전국 보건소·요양병원 및 시설에서 동시에 시작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마포구 보건소를 방문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상황을 살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행되는 코로나19 예방 접종의 준비 및 시행 상황을 점검하고 방역 현장에서 헌신하는 일선 직원들을 격려하기 위한 방문이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이날 현장에는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과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등이 함께했다.
또한 논란 끝에 ‘한국 1호’ 백신 접종자는 지정되지 않았다. 특정인을 ‘1호 접종자’로 내세우기보다 접종이 시작되는 ‘첫날’에 의미를 두겠다는 취지다. 질병관리청은 전날 "26일 오전 9시 접종하는 모두가 첫 번째 접종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문 대통령이 현장 방문한 마포구 보건소에는 구 내 소재한 요양병원(푸르메재단 넥슨어린이 재활병원)·요양시설(시립서부노인전문요양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요양보호사 등 10명이 접종을 위해 대기를 하고 있었다. 접종실 2개를 활용해 2명씩 동시 접종이 이뤄졌다.
문 대통령은 접종을 받는 넥슨어린이재활병원장인 의사 김윤태(60세) 씨와 시립서부노인전문요양센터 작업치료사인 이정선(32세) 씨가 접종받는 모습을 참관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예진을 마친 김윤태 의사가 접종실로 들어오자 반갑게 웃으며 "안녕하십니까, 역사적인 1호 접종이신데 제가 좀 지켜봐도 되겠습니까"라고 물었다. 그러자 김윤태 의사는 “영광입니다”라며 외투를 벗고 자리에 착석했다.
보건소 직원은 "약간 따끔하세요"라고 신호를 주고 김윤태 의사의 왼쪽 팔에 백신을 접종했다. 접종을 마친 김윤태 의사는 접종 후 혹시 모를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문 대통령과 함께 이상반응 관찰실로 이동했다.
접종 이후 문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김윤태 씨는 의사로서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성이 충분히 검증됐다고 판단하며 현재 개발된 코로나19 백신들은 아동들에게 접종이 불가능함에 따라 병원 종사자들이 백신 접종을 통해 면역력이 약한 아동 환자들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말했다.
한편 첫날 접종을 진행하는 요양시설은 총 213곳이다. 접종 대상자인 5266명은 보건소에 내원해 접종받는 인원과 이동이 어려워 의료인력이 직접 시설을 방문하는 ‘찾아가는 접종’ 대상이 포함된 인원이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클럽하우스'란 초대받은 사용자끼리 자유롭게 방을 만들어 '음성' 대화를 나눌 수 있는 SNS입니다. 미국 실리콘밸리 개발자 폴 데이비슨과 로한 세스가 만든 스타트업으로, 코로나19로 비대면 소통이 트렌드가 되면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나 오프라 윈프리 등 유명인사들이 참여하면서 인기가 치솟았고 우리나라에서도 정치, 경제, 문화예술계 등 '인플루언서'들이 합세하고 있습니다. <가디언>은 클럽하우스의 현재 가치가 10억 달러(약 1조1200억원)에 달한다고 전했습니다. 나온 지 1년도 채 되지 않았고 구체적인 수익 모델도 정해지지 않았는데도 말입니다. 클럽하우스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아무나 들어갈 수 없다는 데 있습니다. 기존 이용자로부터 초대장을 받아야 하며, 초대는 한 사람당 2명만 가능합니다. 이러한 '폐쇄성' 때문에 '나도 끼고 싶다'는 욕구를 불러일으키지만, 동시에 그곳에 속하지 못한 사람들을 소통창에서 배제하는 속성을 갖고 있습니다. 방 안에서는 위계적 소통이 이뤄집니다. 발언권이 있는 사람만 말할 수 있고, 방 관리자가 말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즉 현실에서의 권력구조가 연장되는 구조입니다
국회 통과를 앞둔 전금법 개정안을 둘러싸고, 한은과 금융위가 충돌하고 있는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