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최고는 "현 여권위기 상황에 책임지고 '동교동 기득권포기'"를 주장하였다. 또 "국민들은 동교동 핵심에 의구심을 강하게 갖고 있다며 호도하거나 감추려할 때는 수습못할 상황이 도래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김 최고위원은 연일 언론과 방송에 출연 동교동계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동교동 해체론"을 굽히지 않고 불지피기를 계속하고 있다, 특히 『e윈컴 정치뉴스(www.polinews.co.kr)』와의 인터뷰에서는 '이용호 게이트' 의혹에 따른 민심이반 현상이 심각한 상황임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여권의 위기국면에 대해 "동교동 책임론"을 강조하면서 "동교동계 해체" 주장을 이어갔다.
특히 국민들은 이용호게이트에 대해 "검찰의 힘과 위신보다 훨씬 큰 세력이 개입한 것이다'"고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말하며 '동교동핵심 연계설'을 내비쳤다. 또한 "만약 이를 호도하려든지 감추려 한다면 수습못할 상황이 도래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동교동계는 여권위기 책임지고 기득권 포기해야"
김근태 최고위원은 "동교동계 해체"를 주장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김대중 대통령 및 국민들과 함께 정권교체를 위해 노력했고, 그 과정에서 기여와 희생이 많았다"고 전제하는 한편, "지금 상황은 집권당인 민주당, '국민의 정부'에 대한 국민의 마음이 떠나고 있다. 원인을 진단하고 책임을 져야될 사람은 책임져야 한다"면서 "'국민의 정부' 및 민주당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그 사람들이 책임을 져야 하는데, 그게 바로 동교동계 사람들이다"고 주장했다.
또한, 권노갑 전 최고위원이 김 최고위원에 대해 "나라와 당이 어려울 때 자기만 살고 당을 죽이려 해선 안된다"고 비난한 것과 관련, 김 최고는 "당이 어렵게 된 중요한 이유는 민주당(동교동계) 인사들이 독선과 오만으로 당을 이끌어 왔고, 대통령의 주변을 둘러싼 동교동계가 보좌를 잘못했다"면서 "이 부분에 대해 동교동계에 준엄한 책임을 묻고자 한다"고 주장했다.
더욱이 "정부여당이 어려운 것은 동교동계가 정부에서나, 당에서 갖고 있는 자신들의 기득권을 계속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이다"고 비난하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본인들이 기득권을 포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최고는 당과 국민이 당정개편을 간절히 바랬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외면한 채 구동교동계가 정국운영의 전면에 부상했고, 이와 함께 '이용호 게이트' 등 각종 비리 의혹이 구 동교동계에 집중되면서 여권이 총체적 위기에 직면했다는 판단이다.
이용호게이트, 여권실세인 동교동에 강한 의구심
게다가 동교동계가 전면에 부상하자마자 '이용호 게이트'가 터지기 시작, 한나라당이 "정관계 비리 의혹의 핵심에 여권 실세가 포진하고 있다"는 의혹을 집중 부각시키고, 국민들도 여권실세인 동교동계에 의구심을 강하게 품고 있다는 사실이다.
김 최고위원도 '이용호 게이트'와 관련, "내막은 모르지만 '검찰이 긴급 체포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루만에 석방된 것을 보고, 검찰의 힘과 위신보다 훨씬 큰 세력이 개입한 것이다'는 게 국민들의 의구심이다"면서 "만약 일정하게 호도하려 한다든지 감추려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수습하지 못하는 상황이 될 것이다"고 경고하고 있다.
때문에 DJ의 '특검제' 수용에 대해 당 일각에서 "너무 성급했다"는 지적도 있기는 하지만 김 최고위원은 "적절한 시점에서 대통령이 결심했다고 본다"며 '특검제' 수용을 지지했다.
이러한 김 최고위원이 주장한 "동교동계 해체론" 및 "동교동계 책임론"을 종합해보면, '이용호 게이트'로 위기에 몰린 여권이 현 상황을 돌파해 나가기 위해서는 '동교동계에 책임을 묻는 당정쇄신 단행'을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여권의 심각한 위기 상황인데, 김대중 대통령에게 조언하실 게 없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김 최고위원은 "인재 풀을 광범위하게 써 '보좌팀' 사이의 균형을 갖도록 해주시라는 말씀을 꼭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이는 이러한 위기는 동교동계 중심의 당·청개편으로 인해 촉발된 것으로 동교동계 중심의 보좌팀을 전면 재검토해도 늦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근태 최고위원의 동교동을 향한 당내 민주화 투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가 "'이용호 게이트'를 나라가 어려우니 파묻고 가자는 얘기가 성립될 수 없듯이, 집권당이 민심을 잃으면 개혁과 포용정책을 제대로 추진할 수 있는 힘과 탄력을 갖지 못한다. 이를 가지려면 스스로 변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듯이 집권당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동교동계 때문이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권 최고위원이 "민주당=동교동계"라고 말하고 있듯이 '잘하든 잘 못하든' 민주당은 동교동계 중심으로 움직여 왔다. 이러한 동교동계의 높은 벽에 도전한 김 최고의 "동교동 해체" 주장이 총체적 위기에 빠진 여권 내부에서 어떤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영술 기자newflag@ewinc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