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7% "북한 도와주고 끌려다녀"

우리 국민의 반수 이상이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을 지지하면서도 남북 정상회담 이후 지난 1년간 정부가 대북 지원만 하고 북한에 끌려다녔다는 비판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럼에도 금강산 육로 관광이 가능해질 경우 관광에 나서겠다는 응답자가 71.2%나 돼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같은 사실은 본사 여론조사팀이 6.15 남북 공동선언 1주년을 맞아 11일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 1천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 조사에서 밝혀졌다.




이 조사에서 정부의 대북ㆍ통일 정책에 대해 '지지한다' (58.2%) 는 여론이 '지지하지 않는다' (41.2%) 보다 높았으나 지난해 8월 15일 조사(81.8%) 에 비해서는 크게 줄었다.




지난 1년간 남북관계의 평가와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57.0%가 '지원만 하면서 북한에 끌려다녔다' 고 답변, '교류.협력에 상당한 진전' (22.6%) 이 있다거나 '과거 수준과 비슷' (20.1%) 하다는 반응을 크게 앞질러 상당수 국민이 대북정책의 실행 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이 북한의 대남 태도 및 북한 내부의 변화를 유도하는 데 효과적이었느냐는 질문에 부정적 응답(각각 54.8%, 58.3%) 이 반수를 넘은 것도 비슷한 분위기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평가는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 가능성에 대한 응답에도 이어졌다. 金위원장의 연내 답방에 대해 '가능하다' 는 응답자는 47.0%에 그쳐 지난해 조사 때(82.4%) 의 절반밖에 되지 않았다. 한편 최근 남북관계 교착 상태의 원인이 미국 부시 행정부의 대북 강경책 때문이라는 견해에 동의하는 응답자가 66.5%나 돼 눈길을 끌었다.




안부근 전문위원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