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징세액 엄정징수” 절반 넘어

언론사 세무조사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 사전정지용이냐, 아니면 이런 주장이 오히려 탈세 언론사를 감싸기 위한 것이냐는 물음에 호남 주민들은 19.8% 대 56.4%로, 전국 평균치인 32.0% 대 47.4%보다 후자를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부산·경남에서는 38.4% 대 43.3%로 색깔론적 시각이 적지 않게 공감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구·경북에서는 40.8% 대 39.3%로 우열을 가늠하기 힘든 결과가 나왔다.

국세청의 세금 추징액수에 대해서는 지역별보다 연령별, 소득별 편차가 두드러졌다. 추징 규모가 지나친지를 묻는 항목의 전체 평균은 47.6% 대 38.4%로 “지나친 것은 아니다”는 응답이 높았으나, 40대는 38.6% 대 46.9%로, 50대는 38.6% 대 45.7%로 “지나치다”는 대답이 높았다. 또 소득별로 보면 300만원 이상의 소득수준대가 48.4% 대 45.1%로 양쪽이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이 연령대와 소득계층이 실물경제에 민감한 탓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렇게 `해석'이 가능한 부분과는 달리, `처리'에 대해서는 연령과 지역을 떠나 대부분 엄정한 법집행을 주문했다.
`조세정의 차원에서 엄정하게 징수해야 한다'는 대답과 `기업보호 차원에서 액수를 조정해줘야 한다'는 응답비율이 대구·경북은 53.7% 대 42.0%, 부산·경남은 54.1% 대 38.9%로 나타나 전국 평균인 52.0% 대 39.3%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지 소득수준이 300만원 이상인 계층에서만 44.9% 대 49.9%로 조정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탈세 언론사주 구속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대구·경북에서는 61.6% 대 26.9%, 부산·경남에서는 62.1% 대 31.5%로 평균치 66.7% 대 24.8%와 거의 흡사했다. 연령별로는 젊은층일수록 강경해 20대는 77.7% 대 20.5%, 30대는 72.0% 대 25.0%로 구속수사에 찬성했다.
이런 결과는 “구독 신문사가 탈세한 혐의로 고발될 경우, 계속 구독하겠느냐”는 물음에 대한 답변으로 이어졌다.
`계속 구독하겠다'가 36.4%이지만 `끊겠다'는 대답도 31.2%로 적지않게 나왔다. 특히 가정에서 구독결정권을 많이 가지고 있는 여성들이 31.6% 대 34.1%로 `끊겠다'는 응답이 높아 앞으로 신문시장 지형에 상당한 변화를 예고했다.
김의겸 기자kyumm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