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남한 빼고 통일봉남(通日封南) 추진, 北日 간 물밑에서 기민하게 움직였던 것 같다”
기시다 “북일 새로운 시대 열기 위한 정상회담 조기 실현, 총리 직할 고위급 협의 노력”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이 22일 유튜브방송 에 출연한 모습[출처=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이 22일 유튜브방송 에 출연한 모습[출처=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폴리뉴스 정찬 기자]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은 22일 북한이 김영철 전 통일전선부(통전부) 부장을 다시 통전부 고문으로 복귀시킨 것이 일본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북일정상회담을 위한 고위급 협의를 추진하는 것과 맞물려 있다고 분석했다.

정 전 장관은 이날 유튜브방송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김 전 부장이 복귀한 데 대해 “그 사람이 복귀한 이틀 후인 21일 일본이 정기국회가 끝나고 난 뒤에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총리관저에서 기자회견을 하면서 앞으로 북한과 일본 사이에 새로운 시대를 열어나가기 위해서 (북일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시대라는 단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지금 물밑 접촉이 있었다는 얘기인 걸 반증한다. (새로운 시대를) 열어나가기 위한 북일 간의 결의를 김정은 위원장에게 전달하고, 그거를 위해서 총리급 회담을 정상회담을 빠른 시일 내에 개최하기 위해서 총리 직할 고위급 협의를 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게 되면 일단은 북일 간의 공식적인 채널이 없기 때문에 조총련이 다리를 놔야 될 것이다”며 “북일 간의 (다리 역할을 하는) 조총련을 관리를 하는 데가 통전부”라며 “(김영철은) 통전부 부장보다는 통전부 고문이라고 하는 직함을 가지고 (복귀한 것)”이라고 했다.

또 정 전 장관은 “통전부에 원래 고문이라는 자리는 없다. 고문은 없는데 곧 머지않아서 지금 대남비서 역할도 마침 맡기려고 그러는 거 아닌가. 근데 통전부는 그냥 대남사업만 하는 데가 아니라 대외 사업 중에서 재일조총련 조직도 관리를 하는 데가 통전부”라고 했다.

정 전 장관은 또 김 전 부장의 복귀에서 대해 “북한이 미국 대선 판도를 지금 예의주시하고 있는 과정에서 나온 조치라고 본다”며 “트럼프가 재선 가능성이 있고 그럴 경우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만났던 거와 같은 그런 북미 관계가 일어나기를 바라는 심정”이라고 추측했다.

그러면서 “(김영철은) 미국의 고위관리 대통령을 비롯해서 뭐 국무장관이나 안보부 장관들을 상대해본 사람”이라며 “백악관까지 갔다 왔다. 백악관 오벌오피스(Oval Office)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마주 앉아가지고 대화를 나눴던 경험이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김정은 위원장으로서는 지금 미국의 정치 판세를 잘 미리 읽어서 잘 읽어서 그때를 대비하자는 의미”로도 해석했다.

이에 정 전 장관은 “(북한은) 문재인 정부 때는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남북관계 개선을 하려고 하는 그거를 이용해서 문재인 정부 등에 업혀서 미국 대통령을 만나러 갔는데, 이번에는 지금은 일본 기시다 총리 등에 업혀서 미국 대통령을 북미 정상회담까지 생각하는 그런 큰 그림을 그리는 차원에서 김영철이 지금 복귀를 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일본과의 관계개선에 나서는데 대해 “통일봉남이다. 문재인정부 때는 통남통미를 했는데 지금 윤석열 정부가 완전히 대북적대 정책을 계속 고수하는 한 남한은 빼고 일본 통해서 통일봉남 하면서 통일통미로 건너가겠다는 것”이라며 “(북일 간에) 물밑에서 뭔가 지금 긴밀하게 기민하게 움직였던 것 같다”고 추정했다.

이어 기시다 총리의 평양 방문 가능성을 언급하고 “기시다 총리는 북한에 일제 36년에 대한 배상금을 넉넉하게 주고 납치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면 일본에서 지지율은 확 올라갈 거고 집권연장이 될 것이다. 그것을 노리는 것”이라며 “그러기 위해서는 북한과 일본 사이에 새로운 시대를 열어나가겠다는 얘기까지 해버린 것”이라고 했다.

한편 기시다 총리는 전날 정기국회 회기 마감을 계기로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일본과 북한 간 현안을 해결해 양측이 함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간다는 관점에서 모든 기회를 놓치지 않고 나의 결의를 김정은 위원장에게 계속 전달하고, 정상회담을 조기에 실현하기 위해 총리 직할의 고위급 협의를 하는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납북자 문제는 한시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인권 문제로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해 과단성 있게 대처하겠다”고 얘기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