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현황 분석
중국 이커머스 중심으로 해외 이커머스 시장 확대
알리, 테무 각각 국내 플랫폼 순위서 2위, 4위 차지
![[사진=한경협]](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6/654125_459994_1533.png)
[폴리뉴스 양성모 기자]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이 커지는 가운데 테무, 알리 등 중국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유통업계 진출 확대로 국내 유통산업 정책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최근 5년간(2018~2023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현황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은 2018년 2조9000억 달러에서 2023년 5조8000억달러로 5년 만에 2배 수준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징동닷컴(중국 내수중심), 알리바바, 판둬둬(테무 모기업) 등 중국 이커머스 빅3의 최근 5년간 매출액 성장률(CAGR) 평균은 연 41.0%(징동닷컴 18%, 알리바바 26%, 핀둬둬 79%)로 해외 이커머스 시장 성장률인 14.6% 보다 2.8배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해외 이커머스 회사들의 매출 순위를 살펴보면, 1위 아마존(미국), 2위 징동닷컴(중국), 3위 알리바바(중국), 4위 핀둬둬(중국), 5위 쿠팡(한국) 순으로, 글로벌 이커머스 5대기업 중 3개를 중국이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중국 플랫폼 확대로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도 큰 변화에 직면했다는 분석이다.
![한국 해외 전자상거래 추이 [자료=한경협 제공]](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6/654125_459996_1616.png)
지난해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역대 최고치인 228조9000억원으로, 중국과 미국, 영국, 일본에 이어 세계5위에 오를 정도 커졌다.
또 지난해 한국의 중국 플랫폼을 통한 구매액은 전년 대비 무려 121.2% 증가한 3조3000억원으로 미국 플랫폼(1조9000억원)을 크게 웃돌았다. 미국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4년 이후 줄곧 한국의 최대 이커머스 구매 국가였으나, 지난해 중국에게 처음으로 역전당했다.
중국 플랫폼의 빠른 성장세 속에 한국의 해외 전자상거래도 2021년을 기점으로 구매액이 판매액을 앞질러, 적자전환됐다. 지난해에는 적자 폭이 5조1000억원에 달했다.
또한 한경협이 국내에서 활동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분석한 결과 월간 사용자 수 기준,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들은 지난해 이후 불과 1년 6개월도 안 된 시점에서 11번가, G마켓 등 한국의 주요 플랫폼들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지난해 1월의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 순위는 쿠팡 1위, 11번가 2위, G마켓 3위, 티몬 4위였다. 5위는 2018년 국내 시장에 진입한 알리익스프레스로 1~4위에 한국 기업들이 포진했었다.
![[자료=한국경제인협회 제공]](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6/654125_459998_176.png)
그러나 올 5월에는 쿠팡이 1위, 알리익스프레스 2위, 11번가 3위였으며, 4위는 지난해 7월 국내 시장에 진출한 테무였다. G마켓은 5위를 기록했다. 중국기업이 2위와 4위 자리를 꿰찬 것으로, 지난해 7월에 한국에 진출한 이후 1년도 되지 않아 4위로 올라선 테무는 3위와의 격차도 크지 않아 급성장세를 보였다.
한경협은 국내시장에 대한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이 국내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규제중심의 유통정책 개선과 소비자 보호 강화, 국내 중소 유통‧제조사 지원 등의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한경협 측은 "국내 유통기업의 활동을 제한해 역차별 논란이 있는 규제 중심의 유통산업발전법을 경쟁력 강화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며 "대형마트와 준대규모점포는 유통산업발전법에서 공휴일 의무휴업(매월 2일)과 영업시간을 제한(자정~오전10시) 받고 있으며, 온라인 구매 배송도 동일하게 규제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식‧의약품, 가짜 상품, 청소년 유해매체, 개인정보 침해와 같은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국 온라인플랫폼의 소비자보호의무 이행현황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협은 "국내 유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유통플랫폼 고도화와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중소 제조사 브랜드 제고와 품질향상 지원이 필요하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