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탈당에는 “탈당 아니라 제명했어야 한다”
윤석열 탈당해도 표심에는 영향 없을 것
대통령 권한 분산이 가장 중요, 지방 분권도 고민 중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15일 라디오에 출연해 “국민의힘이 이제 고쳐 쓸 수 없는 상태가 됐다고 생각하고, 단일화도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15일 라디오에 출연해 “국민의힘이 이제 고쳐 쓸 수 없는 상태가 됐다고 생각하고, 단일화도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성지 기자]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국민의힘이 이제 고쳐 쓸 수 없는 상태가 됐다고 생각하고, 단일화도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 후보는 15일 <KBS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국민의힘이 지금과 같이 반성 없는 상태로 선거를 치르면 국민들의 지탄을 받는 상황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탄핵이 벌어진 지 6개월 가까이 됐지만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저는 국민의힘이 이제 고쳐 쓸 수 없는 상태가 됐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단일화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선을 그었다.

이 후보는 김용태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내정자가 국민의힘 후보가 이긴다는 확신이 든다면 논의의 장이 열리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한 발언에 대해 “단일화는 정치 공학적일 뿐인데 공약과 정책을 밝히기에도 시간이 부족한데 자꾸 정치 공학적인 면에만 매달리느냐”고 지적하며 김 위원장 내정이 단일화를 염두에 둔 것 아니겠느냐는 질문에도 “의도는 모르겠지만 김용태 위원장이 할 일은 없어 보인다”고 말해 대선 완주 의지를 확실히 했다.

이어 “단일화에 공감하는 국민들 수도 적은 상황 속에서 왜 자꾸 그런 이야기를 하는지 궁금하고 제가 주도적으로 단일화를 제안할 생각도 없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에 대해서는 “탈당이 아니라 이미 계엄이 터진 12월 3일 이후에 바로 제명을 했어야 되는 상황인데 이것 하나 명쾌하게 결정하지 못하는 국민의힘이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춰서 정치할 수 있을까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이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이 옆구리 찌르듯이 탈당한다고 해도 표심이나 선거 구도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며 “(탈당)시점이 늦었고 마지못해 하는 느낌이기 때문에 저는 그런 부분에 대한 기대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선 후보로서 1호 공약을 ‘대통령 힘빼기’로 정한 것에 대해서는 “대한민국의 정치적 문제들은 대통령에게 권한이 집중되고 그를 통해 독재적 성향을 띠는 사람들이 나타나는 것이 문제”라며 “대통령의 권한을 분산시키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지방 분권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청년들을 위해서는 “국민연금 제도도 젊은 세대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형태로 개혁안이 통과됐는데 그런 부분을 되돌릴 수 있도록 하는 논의들을 포함해서 구연금과 신연금의 분리를 통해 실제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가 같이 공존할 수 있는 형태의 정책들을 만들려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방 거점 국립대 육성에 대해서는 “실제로 학령 인구가 줄었기 때문에 그 비율에 따라서 수도권에 있는 대학의 정원 조정이 필요하다, 지방의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올라오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정원 조정이 어느 정도 일어나야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후보는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의사당 제2의사당을 세종시 S1구역으로 통합해 입법부와 행정부가 하나의 구역에 공존하는 형태를 만들로 국회 본원도 완전히 이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에 당선되면 가장 시급한 정책 중 하나로 트럼프 대통령과의 외교 통장 분쟁을 해결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후보는 “대통령이 한미 외교를 점검하는 것이 최우선일 것이고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미국을 방문해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한다, 또 중국과의 과학 기술 패권 경쟁에서 과학기술자들이 좀 더 우대받을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