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혁 "이재명을 위한, 정성호에 의한, 노민석의 항소 포기"
송언석 "'명비어천가' 이재명 독재체제 완성…민심 분명 변하고 있다"
송언석 "팩트시트 호언장담했는데 아직까지도 나오지 않고 있다"
송언석 "문재인정부 때 부동산 완전히 망했는데 이재명정부는 시즌2"
오세훈 "이재명 정권, 오세훈 죽이기에 돌입…국민 심판으로 되돌아올 것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나경원 지방선거총괄기획단장, 오세훈 서울시장 등 광역자치단체장들이 12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지방선거총괄기획단-시도 광역단체장 연석회의'에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11/713420_527233_1338.jpg)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11일 대장동 사건의 검찰이 항소를 포기한 데 대해 "법 앞에 예외가 있다면, 법 위에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독재자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장 대표는 이날 오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지방선거 총괄기획단 시·도 광역단체장 연석회의에서 "그래서 이재명은 독재자이다. 우리가 그 길로 가는 마지막 저지선이 내년 지방선거"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 항소 포기는 정성호에 의한, 노만석의 항소 포기인 것"이라며 "법무부 장관은 두 번이나 항소가 필요하다는 보고를 받았지만 신중하게 판단하라고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신중하게 판단하라는 뜻이 무엇인가"라며 "항소가 필요한데 신중하게 판단하라고 하는 것은 항소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장 대표는 "판결문에 이재명 이름이 401번이나 나온다. 1심판결에서 대장공 게이트가 몸통이 '이재명'이라는 것에 대못을 박았다"며 "7800억짜리 특경법상의 업무상배임죄가 400억짜리 형법상 일반 업무상 배임죄로 둔갑했는데도 불구하고 항소를 포기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대장동 일당에 대한 판결이 10월 31일 선고됐는데 10월 30일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검찰에 무리한 항소라면서 무죄에 대한 항소는 잘못된 것이다'라고 질타했다"며 "그 비판을 듣는 사람들은 대통령 후보 시절 몸조심하라는 대통령의 그 말이 생각나지 않았겠는가"라고 덧붙였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어제 전국 지역위원장 워크숍을 열고 당·정부·대통령실이 한 몸의 공동체라고 하면서 '명비어천가를 부르며 승리를 다짐했다"며 "하지만 이번 선거는 국민과 함께 국민의힘이 승리해야만 한다. 민심은 분명히 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5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며 "지난주까지 팩트시트를 공개하겠다고 호언장담을 대통령실,비서실장이 했는데, 아직까지도 나오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부동산 문제가 지금 난리다. 이미 문재인 정부 때 완전히 망했는데 이번에 시즌2가 되는 것 같다"며 "왜 통계를 정상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이미 그전에 확인된 통계가 있는데 그 전 달 것을 가지고 서울시 전역을 부동산 투기지역으로 지정하는가"라고 언급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지방선거총괄기획단-시도 광역단체장 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11/713420_527234_1422.jpg)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정을 공격하며 오세훈 죽이기에 돌입했다"며 "여당은 물론이고 국무총리와 장관까지 서울시를 매도하고 전형적인 지방정치에 관여하지만 정작 공조가 필요한 주택 정책 과정에는 서울시를 패싱한다"고 밝혔다.
이어 "권력을 쥐었다 해서 민주주의 위에 설 수는 없다"며 "정치적산으로 법과 지방자치를 흔들면 결국 그 부메랑은 국민의 심판으로 되돌아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대한민국은 이미 선진국 대열에 올랐기 때문에 그 선진국은 제도와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것"이라며 "최근에 새 정부에서 나타나는 일은 사유화된 권력에 의해 국가가 포획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지방선거에서 국힘이 집권여당에 자리를 내주게 된다면 그 자체가 국가 포획 사태를 심화시키는 일이 될 것"이라며 "지역 민심의 흐름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폴리뉴스 박형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