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관세협상 후속조치로 진행하고 있는 팩트시트(Fact Sheet) 작업과 관련해 "경제 분야 시트는 거의 마무리 됐고 안보 분야가 마무리 되면 사인을 하게 된다. 빠른 시일 내에 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11/713692_527572_5852.jpg)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과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해 "외환수급 불균형이 지속될 경우 가용 수단을 적극 활용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고환율 흐름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정부가 시장 안정 조치를 예고한 것이다.
구 부총리는 14일 열린 시장상황점검회의에서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억원 금융위원장,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등이 참석해 외환시장 불안 요인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연일 상승하며 전날 1467.6원에 마감, 3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한은의 금리 인하 사이클 종료 우려로 국채 금리가 급등한 점, 일본 정부의 재정 확대 기대에 따른 엔화 약세가 원화 약세를 자극한 점, 개인 투자자의 해외주식 환전 수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참석자들은 "국내 주식시장은 단기 변동성은 있으나 대체로 안정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채권시장은 금리 방향성에 대한 시장 기대 변화로 국채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며 불안 요인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내년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이 예정돼 있어 중장기적 수요 기반은 견조하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외환시장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장중 1470원을 넘어서는 등 불확실성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내국인의 해외투자 증가가 수급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핵심 원인으로 지적됐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해외투자 증가로 원화 약세 기대가 고착화할 경우 환율 하방 경직성이 강화될 수 있다"며 경계감을 드러냈다.
구 부총리를 비롯한 참석자들은 "외환수급 불균형이 지속될 경우 시장 안정 조치를 위해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는 필요 시 외환시장 개입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국민연금, 수출 기업 등 주요 수급 주체들과 협의를 강화해 시장 심리를 안정시키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구 부총리는 "외환·금융당국은 환율 상승 요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시장 안정 대응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폴리뉴스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