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LH·주민대표 참여…주민 참여형 공공주택 조성 추진

▲ 광주산정 공공주택지구사업 민광공 협의체 출범식(사진=광주광역시 제공)
▲ 광주산정 공공주택지구사업 민광공 협의체 출범식(사진=광주광역시 제공)

[폴리뉴스  박용철(=호남) 기자] 광주광역시는 18일 시청 비즈니스룸에서 '광주산정 공공주택지구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민·관·공 협의체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민·관·공 협의체는 광주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민대표가 함께 공공주택지구 조성에 대한 의견을 모으고 협력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출범했으며, 앞으로 사업 관련 현안과 의견을 정기적으로 공유·소통할 예정이다.

광주산정 공공주택지구사업은 국토교통부의 '공공주도 대도시권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2030년까지 광산구 산정·장수동 일대에 1만2875세대를 공급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2030년까지의 공공주택 보급계획 물량이 예상 수요보다 2만8000세대 부족한 상황을 고려해, 해당 사업의 공공주택 비율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강기정 시장은 지난 10월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LH가 광주산정 공공주택지구사업을 민간에 매각하지 말고 공공주택 100%로 추진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변성훈 공간혁신과장은 "협의체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예상되는 갈등을 조정하고 최소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특히 지역 주민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해 '상생과 협력의 공공주택지구'를 조성하도록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의체 출범으로 기대되는 효과는 다각적이다. 먼저, 주민 의견을 사업 초기부터 반영함으로써 갈등을 최소화하고 지역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공공주택 공급 확대를 통해 주거 안정성을 강화하고, 청년·신혼부부·저소득층 등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 복지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나아가 대규모 주택지구 조성을 통해 건설 및 관련 산업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기반시설 확충 등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도 기대된다.

광주시는 향후 협의체를 통해 주민 의견을 정기적으로 수렴하고,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현안을 조정함으로써, 공공주택의 질적 향상과 지역 사회와의 상생을 동시에 달성할 계획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