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대학신입생-신진연구자-혁신기업인-우주동아리 회원 등과 ‘우주개척자와의 대화’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꿈과 도전의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경제 개척자와의 대화'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꿈과 도전의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경제 개척자와의 대화'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정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우주는 국가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개인이 가치를 창출하는 공간”이라며 “우주경제에는 경계가 없다. 또 우주경제는 우리에게 무한한 기회를 열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 열린 ‘꿈과 도전의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경제 개척자와의 대화’ 오찬행사에서 “20세기까지 우주는 미지의 세계였고, 탐구의 대상이었고, 또 첨단기술 강국들의 경연장이었다. 우주 탐사와 활용, 또 이를 위한 발사체와 위성 개발, 제작, 발사, 운용은 물론 관련한 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활동이 바로 우주경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OECD는 회원국 기준 2020년 우주경제가 4,000억 달러의 가치를 창출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우주산업은 다양한 첨단 기술개발에 기여하고 통신개선, 기상예보, 재난관리 등 인류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할 것”이라며 “우주경제가 창출하는 이런 가치가 4,000억불을 넘어서 전후방 연관 효과까지 생각한다면 어마어마한 그런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낸다”고 했다.

또 윤 대통령은 “우주는 이미 기술 혁신과 경제성장 그리고 국가안보를 이끌어가는 핵심 동력”이라며 참석자들에게 “여러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불모지에 가까운 우주 분야에서 흔들리지 않고 대한민국의 우주산업을 키운 그 열정으로 우주경제 시대를 열어가자”고 했다.

이어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 수 있도록 정부는 여러분의 든든한 파트너가 되겠다”며 “정부는 출범과 동시에 우주항공청의 설립을 준비해 왔다. 지난 대선 때 저의 핵심 공약이기도 하다. 우주항공청을 최고의 전문가 중심의 연구개발 플랫폼으로 만들어서 대한민국 우주경제 시대를 열어갈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여러분의 열정과 도전으로 대한민국이 30여 년의 짧은 기간 안에 세계 7대 우주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었다. 우주경제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여정을 여러분과 함께하겠다, 우리 또 한 번 도전해 보자. 그리고 꼭 이루어내자”고 격려했다.

이번 행사는 고등학생부터 대학 신입생, 신진 연구자, 혁신기업인, 우주동아리 회원, 우주경연대회 수상자까지 우주경제 개척자들의 도전정신을 격려하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함께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발사체·위성 개발, 우주탐사, 우주의학, 위성영상 활용 기업 등 우주 분야 스타트업과 우주 분야 벤처투자사와 문화예술인으로서 우주를 소재로 한 음반을 발표하고 우주 문화를 알리고 있는 가수 윤하가 함께했다.

윤 대통령은 오찬 간담회에 앞서 우주 분야 스타트업과 각종 경연대회 수상자들이 개발한 소형발사체, 초소형위성, 위성영상분석 소프트웨어, 달탐사로버 등 다양한 전시품을 관람했다. 시연제품은 큐브샛사출기(카이로스페이스), 초소형위성(져스텍), 위성영상분석 소프트웨어(에스아이에이), 고체로켓(전북대), 캔위성(이화여대), 소형발사체(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달 탐사 로버(무인탐사연구소) 등이다.

참석한 기업인들은 민간 중심의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우주 스타트업에 특화된 지원책과 우주항공청의 조속한 설립, 우주시험 인프라의 구축을 건의했고, 학생들과 신진연구자들은 우주 관련 탐구활동을 하며 경험했던 다양한 에피소드를 소개했다. 간담회에서는 전국대학교로켓연합회(NURA, 누라)의 최나린 회장이 윤 대통령을 누라의 명예회원으로 위촉하는 회원증을 윤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행사에는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우주 관련 기업인․연구자․학생․문화예술인 등이 참석했고 대통령실에서는 최상목 경제수석, 조성경 과학기술․이기정 홍보기획․김일범 의전비서관, 이도운 대변인, 김용현 경호처장 등이 참석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