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 강화 행보, 바이든과 대북 확장억제 강화 논의, 의회 연설, 하버드대 연설도 주목

[폴리뉴스 김명식 뉴욕특파원]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12년 만에 윤석열 대통령이 5박7일 간의 미국 국빈 방문을 시작했다. 이번 방미에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을 자임한 윤 대통령의 경제 외교가 기대와 주목을 받고 있다. 순방 둘째 날인 25일(이하 현지 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투자 신고식과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한미 첨단산업 포럼을 통해 현지 진출과 투자 유치 방안을 논의한다.

미국을 국빈 방문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4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 환영 행사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미국을 국빈 방문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4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 환영 행사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같은 날 미항공우주국(NASA) 고다드 우주센터를 방문, 한국계 전문가들과 만나고 우주 경제 선점을 위한 양국 간 협력을 도모한다.

당일 저녁, 윤 대통령 부부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부부가 함께 한국전쟁기념비를 방문해 동맹의 의미를 되새기며 친교의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오는 26일에는 백악관 앞마당인 사우스론에서 열리는 공식 환영 행사에 이어 한미정상회담이 열린다. 대북 확장억제 강화, 경제안보 협력, 미래세대 교류 지원, 글로벌 이슈 공조 등이 주요 핵심 의제로 볼 수 있다.

지난주 윤 대통령이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조건부 가능성을 시사한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등이 거론될지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회담 결과는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서 발표된다.

회담 당일 저녁, 양국의 부부들이 참여하는 국빈 만찬에는 한미 정·재계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다.

오는 27일, 윤 대통령은 30여 분간의 미국 상·하원 합동 의회 영어 연설을 통해서 한미동맹 70년의 역사를 돌아보고 당면한 도전 과제를 진단하며 미래 동맹의 청사진을 제시할 계획이다.

의회 연설 후,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부부와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주재하는 국빈 오찬이 개최된다. 이어 미군 수뇌부로부터 한반도 정세 등에 대해서 직접 브리핑 받는 일정을 통해서 한미 안보 협력 강화에 나선다.

같은 날 글로벌 영상 콘텐츠 리더십 포럼에서는 ‘K-콘텐츠’ 산업에 대한 주요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협력이 논의된다.

윤 대통령은 이후 보스턴으로 이동, 오는 28일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디지털·바이오 분야 석학들과 대담하고 한미 클러스터 라운드 테이블 행사에 참석한다.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에서는 ‘자유를 향한 새로운 여정’을 주제로 정책 연설에 나서며, 저명한 국제정치학자인 조지프 나이 석좌 교수와 토론도 예정되어 있다.

윤 대통령은 보스턴 일정을 끝으로 29일 귀국길에 오른다. 한국시간으로는 30일 귀국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