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고민을 하고 있는 중… 결심, 결단 이런 거 당연히 필요”
“신당 국민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세력이 나오느냐 별개의 문제”
“민주당 의혹 제기 잘못되지 않아… 원희룡 백지화 선언은 월권이고 직권남용”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 [출처=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 [출처=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폴리뉴스 백윤호 기자]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이 총선 공천을 두고 “윤석열 대통령이 주도하는 국민의힘 공천이나 역할이 주어질 것이라고 전혀 기대하지 않는다”며 “정치에 어떻게 변화와 혁신을 가져올 거냐 조금이라도 역할이 있으면 그 길로 가겠다”고 밝혔다.

10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유 전 의원은 “총선에서 우리 정치를 바꾸기 위해서 뭘 할 거냐, 제가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이 뭐가 있느냐 그걸 가지고 백지에서 지금 고민하고 있다”며 “뭔가 기다리고, 감이 떨어질 때까지 입 벌리고 기다리고 그런 사람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뭘 할지 백지 상태에서 생각하고 있다”며 “국민들께서 국회든 대통령이든 권력을 부여했으면 그 권력을 가지고 하는 일들은 모두 하나하나가 국민들 삶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게 정치”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런 정치를 제가 오랫동안 해왔고, 그런 사람으로서 저한테도 뭔가 이제 결심, 결단 이런 거는 당연히 필요하다”며 “다만 우리 정치가, 특히 보수 쪽에서 탄핵 이전으로 돌아가는 건 역사의 시계만으로 거꾸로 돌리는 거다”고 윤석열 정부를 강도높게 비판했다.

유 전 의원이 '국민의힘 불공천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하면서 '백지상태로 정치 바꾸기 역할에 기여하겠다'고 밝혀 향후 그의 행보가 주목된다. 

“총선 지금 치러지면 박빙”

총선 결과에 대해 유 전 의원은 “결국은 중도층, 수도권, 청년층의 전원을 강조하는 중수청의 마음에 달린 거다”며 “지금 총선 치러지면 박빙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중도층, 청년층, 수도권 유권자들의 마음은 윤석열 정부, 또 여당에 그렇게 호의적이지는 않다”며 “다만, 이재명 대표가 저렇게 이끌고 있는 민주당이 야당으로서, 국회 다수당으로서 너무 못하다 보니 정부 여당 입장에서는 이재명 대표는 진짜 희망이다”고 분석했다.

특히 신당을 두고 유 전 의원은 “자기들은 끝까지 이런 정치를 결과에 관계없이 해나가겠다는 결연한 의지, 행동력 이런 게 없으면 신당은 성공하기 힘들다”며 “몇 석을 얻겠다 그런 욕심, 계산 다 버리고 어떤 정치를 하겠다라는 것만 가지고 죽을 각오로 하라, 그렇지 않으면, 그렇지 않으면 신당 성공하기 힘들다”고 조언했다.

“민주당 의혹 제기 잘못됐다고 생각 안해”

유 전 의원은 서울-양평 고속도로 백지화에 대해 “민주당 입장에서 의혹을 제기하는 것 자체가 잘못됐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예타를 통과한 안이 노선이 아예 자체가 바뀌어 버렸다. 이건 굉장히 중대한 변화인데 강상면이라는 데 그 IC가 가까운 데 있는 거기에 김건희 여사 땅이 많다면 의혹을 당연히 제기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도 야당 때 문재인 대통령 아들, 딸 문제 맨날 의혹 제기하고 김정숙 여사 옷까지 의혹 다 제기했다”며 “의혹을 제기할 수 있는 걸 가지고 국토부 장관이 갑자기 발끈하면서 야당이 의혹을 제기하니까 취소하고 백지화한다 있을 수 없는 직권남용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원희룡 국토부 장관의 독자적인 백지화 판단 발언에 대해 유 전 의원은 “국토부 장관이 독단적으로 취소하고 백지화할 수 있는 거냐”며 “월권이고 직권남용이라고 생각하는 게 왜 이미 결정돼가지고 진행되고 있는 모든 국민이 그렇게 알고 정부도 약속한 사업을 어떻게 장관 한마디로 취소할 수 있냐”고 반문했다.

또한 “그렇게 취소하고 백지화하려면 변경하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며 “그건 국민들을 겁박하는 거다”고 비판했다.

대통령실의 국토부가 알아서 해야 한다는 입장에 대해 유 전 의원은 “알아서 할 일이 아니다”며 “대통령이 다 결정해서 대통령 공약이었고 예타 다 통과돼서 진행되고 있는 1조 8000억이 들어가는 대형 국책 사업인데 이거 왜, 그게 국토부장관 혼자 알아서 할 일이냐”고 반문했다.

이어 “의혹 제기하는 거를 가지고 너무 정쟁화해가지고 이렇게 야당을 몰아붙이는 거는 책임 있는 정부 여당의 자세는 아니다”며 “국회가 의결을 하면 기획재정부 장관이 타당성 재조사를 해서 국회에 보고하도록 돼 있는데 그 절차를 밟고 사실관계가 뭔지는 경위를 조사하는 게 제일 깔끔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원 장관의 인사 책임 발언에 대해 유 전 의원은 “의혹이 제기되면 장관은 국민들한테 해명할 의무가 있는 자리다”며 “절차에 맞지 않게 혼자 막 취소해 버리면서 그렇게 국민을 찍소리 못하게 만들면 안 된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