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기자 회견 열고 尹 대통령, 정부에 ‘간토 학살’ 입장 촉구
조총련 행사 관련해선 “수십년간 진행된 추도식… 주최 측 정치적 성향 따질 이유 없어”
경찰, 윤 의원 국보법 위반 혐의 내사 착수… “사실관계 파악하고 있다”
![윤미향 의원과 간토학살100주기추도사업추진위가 12일 국회에서 추도식 공안몰이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309/619549_420979_2228.jpg)
[폴리뉴스 양원모 기자] 무소속 윤미향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색깔론’을 악용해 정권 비판 세력의 입을 막고, 일본 관련 활동에 족쇄를 채우려 하고 있다”며 간토(관동) 대학살에 대한 정부 입장을 촉구했다.
윤 의원은 12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간토학살100주기추도사업추진위원회와 ‘간토학살 100주기 추도식 공안몰이, 남북교류협력법 부당 적용 규탄’ 기자 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윤 의원은 기자 회견문에서 “간토 학살 100주기를 맞아 일본 단체들이 주최한 추도식에 참석한 간토 추도 순례단을 윤석열 정부가 남북교류협력법,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를 씌워 조사하고 있다”며 “보수 언론은 조사를 보도로 흘리며 공세에 나서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 의원은 먼저 일본 정부, 현지 의원들이 “기록이 없다”, “기록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간토 학살을 부정하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일본 도쿄에서만 간토 학살에 대해 1100가지 증언을 모은 책이 출판돼 있고, 최근 가나가와현이 내무성에 학살 상황을 보고한 것으로 보이는 문서를 찾았다는 요코하마 시민 단체의 영상 인터뷰도 방송됐다”고 반박했다.
윤 의원에 따르면 아베 신조 전 총리가 회장을 역임했던 중앙방재회의 전문조사회는 2009년 간토 대지진 관련 보고서를 통해 “살상 대상이 된 것은 조선인이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2003년 일본변호사연합회도 일본 정부에 학살의 국가 책임을 인정하고, 사죄할 것으로 권고했다.
윤 의원은 “’100년 전 일을 갖고 일본을 무릎 꿇게 하고 싶지 않다는 말로 역사적 진실을 외면하고 일본 편에 설 것이냐”며 간토 학살에 대한 윤 대통령의 입장을 재차 요구했다.
윤 의원은 최근 언론 보도로 논란이 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주최 간토 학살 추도식과 관련해서도 “지난 수십년간 같은 자리에서 엄수됐던 추도식”이라며 정부가 ‘공안몰이’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재일동포들은 남북이 분단되기 전부터 간토 지역 곳곳에서 추도 활동을 이어왔다”며 “추도 주최가 어떤 정치적 성향을 띠고 있는지, 참가한 수많은 사람들의 국적과 소속을 가릴 이유가 없다. 그저 함께 슬퍼하고, 함께 위로하는 자리”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윤석열 정부는 반공 파시즘을 되살려 추도를 ‘반국가 행위’로 협박하고, 일본의 식민주의 범죄 해결을 위한 운동에 유독 적대적 공격을 일삼고 있다”며 “추도식에 참석한 것을 빌미로 반국가 단체와 교류했다고 몰아가며 국가보안법 위반, 남북교류협력법 위반을 운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 의원은 “이런 행태는 윤석열 정부가 어떻게 법을 무시하며 국민의 정당한 권리를 가로막고 있는지, 색깔론을 동원해 일본 관련 활동에 족쇄를 채우려 하는지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며 간토 학살 추도식에 대한 공안몰이와 남북교류협력법 적용 시도를 중단할 것으로 촉구했다.
이어 “정부는 간토 학살에 대한 일본 정부의 국가 책임을 묻고, 당장 진상 규명에 나서야 한다”며 “국회도 여야 의원 100명이 공동 발의한 ‘간토 대학살사건 진상규명 및 피해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안’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경찰은 윤 의원과 조총련 행사에 참석한 인사들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내사 중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12일 기자 간담회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시 행사에는 윤 의원을 비롯해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한충목 한국진보연대 대표 등 8명이 더 참석했다. 경찰은 대법원 판례상 반국가 단체에 해당하는 조총련과 접촉한 사실만으로도 국보법 위반 가능성이 있어 필요한 수사를 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편 이날 회견에는 김명준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사람들 몽당연필 사무총장, 박덕진 시민모임 독립, ‘1923 간토대학살 침묵을 깨라’ 저자 민병래 작가 등도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