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신원식·유인촌 7일 임명 재가.. '청문회 파행' 김행 임명 시 야당 반발 불가피
전여옥 "김 후보자 철회가 진정한 정면돌파" 전원책 "이번엔 윤 대통령 양보해야"
국힘 "청문회 파행은 민주당 책임" "김 후보자 도망가지 않고 1시간 대기"
민주 '김행 방지법' 발의 추진.. "정당한 이유없이 불출석·중도이탈하면 사퇴로 간주"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5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310/621730_423588_2331.jpg)
[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유인촌 문체부 장관 임명을 강행한 가운데 청문회 도중 자리를 이탈하고 복귀하지 않고 있는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임명도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여권 일각에서도 여론 악화를 우려해 임명 철회 요구가 고개를 들고 있으나 9일 국민의힘은 일제히 김 후보자를 옹호하면서 윤 대통령의 부담을 덜어주는 모습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7일 신 장관과 유 장관 임명을 재가했다. 신 장관의 경우 국회가 인사청문보고서를 채택하지 않은 상태로 임명했다. 이번 정부 들어 보고서 채택 없이 임명된 18번째 사례다.
여당은 이에 대해 "더 이상의 안보 공백을 막고 엄중한 국제 정세에 발 빠르게 대처해 제대로 일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 표명"이라고 평했지만, 야당은 "대통령의 오만과 불통"이라고 반발했다.
문제는 김행 후보자이다. 김 후보자의 청문회는 지난 5일부터 현재까지 파행인 상태다. 김 후보자가 청문회 도중 자리를 박차고 나간 후 돌아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이를 두고 '김행랑' '김행방불명'이라며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으며, 김 후보자의 주식 파킹 의혹, 배임 의혹 등에 대해서 고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김 후보자 임명마저 강행한다면 야당의 반발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또 야당에서는 계속된 인사 참사를 두고 법무부 산하 인사정보관리단을 총괄하는 한동훈 장관의 책임론도 제기하고 있다.
전여옥 "김 후보자 철회가 진정한 정면돌파" 전원책 "이번엔 윤 대통령 양보해야"
이에 여권 일각에서도 김 후보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분위기다. 국민의힘 출신인 전여옥 전 의원은 전날 "김 후보자는 청문회장을 끝까지 지키지 못했다. 김 후보 임명을 거둬들이는 것이 진정한 정면돌파"라며 임명 철회를 촉구했다.
전 전 의원은 김 후보자에 대해 "의혹에 대해 전혀 방어도 하지 못했다. '주식 파킹', '인터넷 매체 보도', '코인 의혹'에 딴소리만 되풀이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더 기막힌 것은 '청문회를 깨자'고 나선 국민의힘 위원들이었다. 민주당 여성 의원들 싸움에 어처구니없는 명분을 주고 말았다"며 "국민들 눈에 정말 꼴사나운 모습을 보여준 것이다. 청문회를 파행시킨 건 정도가 아닌 꼼수"라고 했다.
그는 "김 후보자는 청문회장을 끝까지 지키지 못했는데, 장관직은 어떻게 지키냐"며 "35일 만에 사임한 조국보다 더 빨리 물러날 수도 있다. 김 후보자가 자진 사퇴하길 요청한다"고 했다.
전원책 변호사는 9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윤 대통령의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전 변호사는 "돈에 얽힌 문제가 계속 나오고 그게 투명하게 아주 증명이 되지 않으면 국민들이 정말 실망한다"며, 김 후보자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지금 윤 대통령이 아직 하나도 양보를 안 했다"면서 여성가족부를 어차피 없애겠다는 부처라고 한다면 "윤 대통령께서 국민들 앞에 이런 부분에 있어서 한번 정도 그러면 이번에 나는 양보하겠다"라고 물러서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국힘 "청문회 파행은 민주당 책임" "김 후보자 도망가지 않고 1시간 대기"
하지만, 여당인 국민의힘은 9일 일제히 김 후보자를 옹호하고 나서며, 윤 대통령의 부담을 덜어 주는 모습이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9일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 철회'를 요구하는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민주당은 우선 반성부터 해야 한다. 인사청문회를 한 게 아니라 망신을 준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김태우 후보 지원 유세를 한 후 기자들과 만나 "세상에 인사청문회를 그렇게 하면 안 된다"며 "자기들 잘못은 생각도 안 하고 남 비판만 하면 되겠나"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 도중 도망갔다는 민주당 주장에 "야당이 (김 후보자에게) 그만두라고 했다. 밤 12시가 다 됐는데 그만두라고, 나가라고 그랬다"고 비판했다.
전주혜 국민의힘 원내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통해 "민주당의 김 후보자 줄행랑 주장은 명백한 가짜뉴스"라며 "여가부 장관 인사청문회 파행의 책임은 오롯이 민주당에 있다"고 말했다.
전 원내대변인은 "민주당은 이미 '김행 반대'라는 답을 정하고 들어왔다"며 "주식 파킹, 코인 투자, 영부인 찬스 등 근거 없는 의혹을 마치 사실인 양 떠드는 것도 모자라 이를 해명하려는 후보자를 윽박지르기에 바빴다"고 비판했다.
그는 "민주당 소속 권인숙 여가위원장은 본분을 망각한 채 '사퇴'를 종용하는 사상 초유의 편파 진행 사태를 빚었다"며 "이재명 방탄당, 입법 폭주당 출신답게 국민의힘 간사와 한마디 상의 없이 개의와 정회, 속개를 정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후보자는 위원장의 사퇴 종용에 따른 정회 이후 대기실에서 대기하고 있었다. 권 위원장이 일방 선포해 의사일정 합의가 안 된 속개에는 참석할 수 없고 참석해서도 안 된다"며 "그런데도 오히려 적반하장식으로 김 후보자에게 줄행랑이라는 거짓 프레임을 씌웠다"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김 후보자에 대한 가짜뉴스 유포를 즉각 멈추고, 자당 출신 여가위원장에 대한 사퇴와 사과를 조치하라. 이것이 여가부 존치를 금과옥조로 여기는 민주당의 스탠스와 맞다"고 덧붙였다.
윤희석 대변인은 이날 TV조선에 출연해 ▲위원장의 청문회 정회 선포 후 김 후보자의 대기실 이동(오후 10시 42분) ▲속개 선언(오후 11시 43분) ▲청문회 차수 변경(오후 11시59분) 등 당시 상황을 설명하면서 권 위원장이 후보자 사퇴 종용 발언을 사과하면 청문회에 참석하려 했으나 사과가 없어 김 후보자도 참석하지 않은 것이라고 밝혔다.
장예찬 최고위원도 CBS 라디오에서 "김 후보자는 청문회 당일 자정을 넘기고 30분을 더 기다렸다. 그 시간 동안 권 위원장은 왜 사과하지 않았느냐"라며 "권 위원장의 김 후보자 사퇴 요구 발언에 대해 민주당이 먼저 사과하고 바로 잡는다면 나머지 꼬인 매듭도 풀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 '김행 방지법' 발의 추진.. "정당한 이유없이 불출석·중도이탈하면 사퇴로 간주"
한편, 국회 여가위 민주당 간사인 신현영 의원은 인사청문 대상자가 청문회 도중 무단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이른바 '김행 방지법'을 발의하기로 했다.
신 의원은 해당 공지를 통해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에 후보자 본인의 불출석을 시사하거나, 인사청문회 도중 무단이탈해 청문회를 무력화하며 국회와 국민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에, 공직후보자가 정당한 이유없이 불출석하거나 중도이탈한 경우를 사퇴로 간주하고 인사청문회 자료제출을 거부한 경우도 처벌하도록 하여 인사청문 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고자 한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신 의원은 이날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발의 요건인 10명 의원 참여는 이미 다 찼다. 지금도 참여가 계속 늘고 있다"며 "의안과 공식 접수는 내일(10일)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