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한길, 부정선거 주장‧尹 탄핵 반대‧헌재 비판 앞장서
네이버 '전한길 한국사' 카페 수험생들, 찬반 논쟁
“시험 두 달도 안 남아” 지적에 전한길 “나라가 먼저”
지난 1일 “비상계엄은 ‘계몽령’” 주장하고선 “尹 비상계엄 지지 안 해”
민주당 "역사 공부부터 다시 하라"
![한국사 '일타강사' 전한길씨가 지난 1일 부산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반대 집회의 연사로 나섰다. [사진=꽃보다 전한길 유튜브 갈무리]](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02/679835_489159_5144.jpg)
[폴리뉴스 고영미 기자] 한국사 '일타강사' 전한길씨가 지난 1일 부산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반대 집회의 연사로 나서 법원 난동을 부추기는 듯 한 선동적 발언과 12‧3 비상계엄을 두고 ‘계몽령’이라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강경 보수 진영의 부정선거 음모론과 윤 대통령 탄핵 반대 등의 스피커 역할을 해온 전 씨의 발언이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전 씨 강의를 듣는 수험생들 사이에서도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재판관 사퇴 안 하면 헌재 휩쓸 것” 발언 논란
앞서 전 씨는 지난 1일 오후 산 부산역광장에서 세이브코리아가 주최한 국가비상기도회에 참석, 연단에 올라 윤 대통령 탄핵에 반대한다며 야당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사법부, 헌법재판관, 언론사 등을 거세게 비판하는 발언을 쏟아냈다.
전 씨는 일부 헌재 재판관의 정치 성향 등을 언급하면서 이들이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심리할 자격이 없다고 주장하며 "만약 재판기피신청이나 자진사퇴를 하지 않을 경우에 모든 국민들은 이러한 불의한 재판관들의 심판에 승복하지 않을 것이며 국민들이 헌재를 휩쓸 것이고, 그 모든 책임은 불의한 재판관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같은 전 씨의 ‘헌재 휩쓸 것’ 발언을 두고 사법부의 독림을 침해하는 수준을 넘어서 법원 난동을 암시하는 협박에 가깝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전 씨 강의를 듣는 수험생들은 네이버 카페 '전한길 한국사'에서 전씨의 최근 발언을 두고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시험 몇 달 안 남았는데” “현직 선관위 제자들이 불법 동조했나”
전 씨가 운영중인 해당 카페는 당초 수험생들이 질문을 올리는 용도로 개설 됐지만, 최근 전 씨가 정치적 견해를 개진하자 이를 두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전 씨가 카페에 8번 올린 소위 '입장문'은 주로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글로 한 수험생은 댓글로 “부정선거를 확신하시는데 많은 제자들 중에는 선생님 수업을 듣고 합격한 선관위 공무원들도 있다. 실무를 하는 사람들한테 직접 의견을 들어 보신 적 있나. 제자들이 불법에 동조했다라는 뜻이냐”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다른 수험생은 “국가직 몇 달 안남은 학생들 분위기는 신경 안 쓰시고 어떻게든 지금 온통 매몰되어 계신 생각을 주입하고 설득하는 데만 혈안되어 계신 것 같아서 씁쓸하다”라고 지적하자 전 씨는 “지금은 나라 살리는 일이 더 중요해서 나라가 살아야 가정도, 직장도 강의도 할 수 있을 듯하다”라고 답변했다.
한편 전 씨는 자신을 ‘극우’라고 표현하는 것에 대해 적극 반박하고 나섰다.
전 씨는 지난 2일 해당 카페를 통해 “아까 ‘극우?’라고 댓글 다신 분이 있던데...역사도 왜곡하면 안 되듯 사람에 대한 평가도 함부로 왜곡하면 안 된다”라며 “‘극우’라고 말하는 분들 스스로 돌아보라. ‘극우’가 도대체 뭘 말하는지 알고 말하는지? 그것 또한 기성 정치인들과 언론들이 짜놓은 프레임에 당신이 가스라이팅 당한 것”이라고 썼다.
그러면서 전 씨는 “적어도 20·30세대라면 이분법적인 역사 프레임을 넘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역사를 볼 수 있길 바란다”며 “한길샘이 가진 역사관은 좌파와 우파의 프레임을 넘어서 합리적인 사고에 의한 객관적인 역사 인식에 의한 ‘상식파’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전 씨는 자신이 ‘노사모 출신’임을 재차 강조하며 자신의 역사관은 ‘극좌’인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어 그는 윤 대통령을 좋아하지 않는다고도 주장하며 "단지 대통령도 없고, 국무총리도 없고, 안보 책임자 국방부 장관도 없고, 치안과 안전 행안부 장관도 없고, 경찰청장도 없고, 대행의 대행마저도 탄핵 협박하는 것을 보고, 저놈들은 국가와 국민은 안중에도 없고, 오직 자기들 권력에만 욕심부리는 역사상 최악의 집단이라고 판단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내 제자들이 살아갈 대한민국이 이대로 침몰하도록 관망하고 침묵하는 것은 비겁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욕먹더라도 목소리 내게 됐다"며 "이게 뭘 잘못한 것인가"라고 물었다.
이같은 전 씨의 태도에 커뮤니티 탈퇴 인증을 하거나 전씨 정치 관련 발언에 실망감을 드러내는 내용도 적지 않았다. 수험생들은 "(일부 가입자들의) 활동내역 들어가 보면 수험 관련이나 현직 생활 관련 게시글·댓글은 하나도 없고 그저 정치 선동 글밖에 없다", "극우파가 된 모습이 너무나도 실망" 등이라고 댓글을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일부 수험생은 "저도 부산 집회 참가했다", "사전투표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등의 지지를 보내기도 했다.
“비상계엄은 ‘계몽령’”→“비상계엄 지지 한 적 없어”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가 올린 '울면서 호소 드립니다' 영상 [사진=꽃보다 전한길 유튜브 갈무리]](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02/679835_489163_5835.jpg)
이어 전 씨는 지난 2일 해당 카페에 올린 입장문을 통해 자신이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지지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비상계엄선포는 잘못됐다고 밝혔고, 비상계엄을 지지한 적 단 한 번도 없었다"며 "다만 그 뒤로 일어난 선관위 관련 의혹들과 법과 절차를 무시한 체포와 영장과 수사 과정 등에 대한 고발을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전 씨는 지난 1일 부산에서 열린 집회에서 윤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에 대해 “비상계엄을 통해 그동안 감추어졌던 언론의 편파보도 현실을 알게 됐고 법치와 공정과 상식을 모두 무너뜨린 공수처와 서부지법 재판관, 헌법재판소의 실책까지도 모두 알게 된 ‘계몽령’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또한 전 씨는 자신이 윤 대통령이나 국민의 힘 지지자가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비판했더니 더불어민주당이 저를 고발했다", "민주당이 자기들 말 안 들으면 대통령, 국무총리, 대행의 대행도 탄핵하겠다고 협박한다"며 민주당을 비판했다.
그는 "내 연봉은 60억원인데 이를 못 벌지도 모르고, 행보를 이해하지 못하는 제자들한테 욕먹을 각오 하고 목소리를 내는데 뭐가 잘못됐냐"라고도 하기도 했다.
이처럼 전 씨는 자신이 연봉 60억 원을 포기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전 씨의 유튜브 채널 '꽃보다전한길'은 구독자 수가 급증해 2일 기준 114만 명으로 지난달 19일 구독자 수가 57만 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배가량 늘었다. 전 씨가 지난달 30일 올린 '울면서 호소드립니다'라는 영상에서는 "연봉 60억을 포기하고 나라를 살리기 위해 이렇게 호소한다"면서 눈물을 보인 영상은 조회수 404만 회를 넘어선 상태다.
한편 전 씨는 지난달 29일 경찰서를 찾아 “협박성 이메일을 여러 건 받았다”며 신변보호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동작경찰서는 신변보호를 요청한 전씨에게 스마트워치를 지급했다고 2일 밝혔다.
민주당 "역사 공부부터 다시 하라"
전씨의 '극우적 발언'에 민주당 박창진 부대변인은 3일 논평을 내고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를 향해 "역사 공부부터 다시 하라"고 성토했다.
박 부대변인은 "전한길 씨의 폭동 선동은 헌정질서를 훼손하는 것은 물론이고 내란 선동으로까지 볼 수 있는 범법 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는 "일명 한국사 일타강사 전한길 씨가 부정선거 주장에 편승해 계엄을 ‘계몽령’이라며 궤변을 늘어놓더니 “헌재 결정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헌재를 휩쓸 것”이라며 폭동을 선동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부대변인은 "1987년 전국민 투표로 확정한 현행 헌법은 이념과 진영을 뛰어넘어 대한민국이 합의한 헌법적 가치를 해석하기 위해 헌법재판소를 신설했다"며 "그런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훼손하는 것은 헌법적 가치를 바로 세우기 위한 헌법의 정신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역사를 가르친다는 사람이 헌재가 신설된 일련의 과정을 모를 리 만무하다"며 "그런데도 억지 주장으로 헌정질서를 훼손하는 사람은 역사교육자가 아니라 역사팔이로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