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은 ‘윤석열 없는 윤석열의 당’... 尹 반대 후보 경선 탈락”
“국힘 후보, 경선에서 尹 지지 받아도 중도 확장 위해 尹 손절 가능성”
“이재명 중도보수 행보 신뢰 떨어져... 개헌은 살짝 언급에 그칠 듯”
“국힘, 反이재명 연합 위해 개헌 고리로 민주당 反明과 손잡을 수도”

[폴리뉴스 대담 김능구 발행인, 정리 서경선 기자]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와 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 소장은 26일 서울 여의도 폴리뉴스 스튜디오에서 가진 <닥터둠의 전망 2월>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될 경우 펼쳐질 조기 대선의 판세를 전망하는 대담을 가졌다.

“국힘은 ‘윤석열 없는 윤석열의 당’... 尹 반대 후보 경선 탈락”

▲ 김능구> 국민의힘이 경선 룰을 바꿀 수 있을까요?

△ 황장수> 바꿀 겁니다. 그러다가 난리가 날 거예요.

▲ 김능구> 어떤 사람은 바꾸더라도 겨우 7:3 정도로 바꾸지 않겠나, 100% 이건 어려울 거다. 7:3. 7:3의 역선택이 있으면 바꾸나 마나죠.

△ 황장수> 지금 중요한 건 윤통이 국민 후보를 내면서 개헌을 강하게 들이밀 것 같아요. 그러면 국민의힘의 중진 다수가 속으로 개헌을 원하고 있잖아요. 다 원하고 있죠. 그렇다면 이번에 경선 과정에서의 여러 결과들이 결국 윤통 손을 못 벗어날 거다,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 김능구> 경선이?

△ 황장수> 네, 자기가 나름 투쟁을 해서 거리의 사람을 긁어 모았다. 그리고 그 사람들이 아주 강경하게 뭉쳐 있고, 윤통 탄핵이 인용되면 그 분노가 당분간 조기 대선 국면을 계속 덮을 거다. 그러면 그 속에서 도대체 윤통한테 찍힌 순서대로 도토리 키 재기하는 대선 후보들이 자기의 입장을 발의할 수 있을 것인가, 그 문제고요. 그다음에 명태균 문제도 예사롭지가 않아요. 왜냐하면 민주당이 명태균으로 자기들이 봤을 때는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오세훈을 겨냥하고 있고, 두 번째로는 홍준표를 겨냥하고 있지 않습니까? 대선 후보 기간 내내 명태균 문제를 떠들 건데. 오늘 보니까 경찰이 또 압수수색 들어갔더구먼요. 김한정인가 하는 사람한테.

▲ 김능구> 김한정 후원회장, 여론조사비 대납한 사람.

△ 황장수> 그건 또 뭘 의미하는가, 이렇게 봤을 때 적어도 제가 생각할 때는 두 가지. 탄핵 찬성에 연루된 사람 그리고 명태균한테 연루된 사람은 이번에 국민의힘의 후보에서 다 탈락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 김능구> 명태균 특검이 내일 본회의에서 처리할 예정이라는데 정권 말기에 검찰이··· 명태균이 지금 대검으로 올라왔잖아요. 제대로 수사할 것 같아.

△ 황장수> 제대로 하겠죠. 새 정권이 민주당 이재명이 아주 유력하다고 보기 때문에 그쪽에 이번에 제대로 투자해서 공을 세워서 또 그 정권에서 출세 좀 하고 싶다고 생각할 거 아닙니까?

▲ 김능구> 대검 차장이 처음부터 새로 하겠다, 이렇게 이야기했잖아요.

△ 황장수> 그러니까요.

▲ 김능구> 황 소장님은 국힘이 윤석열 없는 윤석열당이 될 것 같다. 대선 주자도 그렇고 이후 당권에서도 또 영향을 미치고 이럴 것 같아. 사실 정치를 모르는 사람이 갑자기 그렇게 하는 게 쉽지 않잖아요. 윤석열이 갑자기 10단이 됐나, 어떻게 봐요?

△ 황장수> 대통령할 때는 저분이 가진 개인적인 장점들이 하나도 안 나타났어요. 오만하고 독선적이고 또 부인에 대해서 지나치게 보호하고. 그러다가 이렇게 걸렸는데 자기가 위기에 몰리면서 윤석열이라는 개인이 가진 최대의 장점은 고집불통, 밀고 나가는 근성이라고 봅니다. 그러니까 9수 하지, 아니면 9수를 할 수 있었겠어요? 9수하는 과정에서 온갖 모욕을 겪었을 건데. 그리고 9수하고 검찰에 들어가면 나이는 많고, 한참 지보다 어린 서울 법대 후배들이 지보다 훨씬 앞에 가 있는데 그걸 견디고 또 검찰을 하다가 변호사로 갔다가 다시 들어와서 검찰을 하고 그러다가 또 검찰 생활도 순탄하지가 않았잖아요, 박근혜 때. 그러니까 저 사람한테 있는 건 제가 볼 때 일본말로 이야기하는 곤조, 그리고 고집. 이게 이번에 탄핵의 과정을 통해서 발현된 것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인용이 되면 아마 그 분노의 게이지가 훨씬 올라갈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탄핵 찬성한 것들이나 또 형식적으로 탄핵 반대하면서 제대로 하지 않은 사람들은 그냥 있지 않겠다. 본인이 자기가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 국민 변호인단이라는 그런 것도 만드는 거 아니겠습니까? 보수 정서를 보면 윤석열을 욕하던 사람이 보수에서 한 5~10%밖에 안 남아 있고, 욕을 하던 사람들도 이제 욕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돼 있어요. 그러니까 야권이 생각하는 합리적인 보수가 윤을 여전히 비토 놓고 있다가 아니라 합리적인 보수 다수도 이제 비토는 안 놓고 이재명은 막아야 되고, 친북은 막아야 된다, 이렇게 된 거예요. 그래서 본인을 어떻게 만들어 놨는가 하면 한국 사회에 들어와서 오랫동안 스며든 친북 세력하고의 전쟁을 자기가 계엄을 함으로써 밖에 다 까발리게 됐다. 그래서 어제 자신의 최후 진술에서 그 부분이 제일 길었잖아요. 그렇게 돼 있기 때문에 이제 사람들은 분노···

▲ 김능구> 간첩을 계속 강조하고.

△ 황장수> 네, 강조하고요. 그러니까 사람들이 이제 윤을 어떻게 보면 한국 사회에서 체제 전쟁에서 희생을 당하면서 계엄을 해서 그걸 국민들한테 까발렸다, 이런 식으로 지금 보수에 해석이 되고 있습니다. 자신도 생각할 거예요. 내가 탄핵이 인용이 되면 어떻게 할 거냐, 인용이 되었을 때는 내가 가진, 내가 모아놓은 이 영향력을 발휘해서··· 본인이 체포될 때 그랬잖아요. 나는 이제 가니까 당신들이 정권 재창출을 꼭 해라. 그런데 그 이후에 두 번째 면회 갔을 때, 당 지도부가요. 모래알이라고 그랬잖아요. 쌍권이 면회 갔을 때 모래알이라 했거든요. 이 말은 뭔 말이겠습니까? 일치해서 탄핵 반대를 해야 될 건데 당이 조기 대선에 관심 쓰는 사람, 탄핵 찬성하는 사람 엉망이다. 그리고 너 둘은 왜 나한테 풀 베팅을 안 하냐, 그걸 두 사람한테 질타를 한 내용이라고 봅니다, 모래알 같다는 게. 그렇게 보면 저 근성으로 봤을 때 대선까지 끝을 보려고 들 거예요. 그러면 보수의 판에는 윤통 영향에서 벗어난 사람이 대선 경선판이나 후보판에서 힘을 쓸 수 없다는 부분은 어쨌든 분명한 겁니다. 그 이후에는 윤통의 영향력이 어떻게 될지 모르더라도요.

황장수 소장은 "국힘 후보를 능력이 검증된 외부인을 데려와서 그 사람이 '아주 짧게만 대통령 하고 개헌하고 물러나겠다'고 공약하고 윤석열 대통령이 그 사람을 밀게 되면 굉장히 파급력이 클 거라고 봐요. 그렇게 되면 조기 대선이 한국 정치에 좋은 쪽으로 작용할 소지가 충분하다"라고 말했다.
황장수 소장은 "국힘 후보를 능력이 검증된 외부인을 데려와서 그 사람이 '아주 짧게만 대통령 하고 개헌하고 물러나겠다'고 공약하고 윤석열 대통령이 그 사람을 밀게 되면 굉장히 파급력이 클 거라고 봐요. 그렇게 되면 조기 대선이 한국 정치에 좋은 쪽으로 작용할 소지가 충분하다"라고 말했다.

“국힘 후보, 경선에서 尹 지지 받아도 중도 확장 위해 尹 손절 가능성”

▲ 김능구> 금방 말씀하신 한 축은 분명한 것 같아. 의미 있는 영향력을 끼칠 거라고 생각이 들고, 그런데 그 부분의 변수는 뭐냐 하면 대선 주자들이 어떤 모습을 보이면서 그 부분을 가져갈 것인가, 거기에 또 민심은 어떻게 반응할 거냐.

△ 황장수> 제가 만약에 후보라면 일단 주자가 되는 데까지는 윤통에 대한 모든 부분을 총대를 메고, 지지하고 옹호하는 행태를 보이고, 주자가 되고 나면 내가 당선이 돼야 당신도 사니까 과감하게 보수로서 할 수 없는 만큼의 중도층의 과감한 정책으로 다가가야지 그거 말고는 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렇게 하면서 그걸 선택할 거라고 봐요. 선택해야 된다고 봐요. 만약에 그 선택을 안 한다면 이번에는 그냥 원사이드하게 질 거다,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 김능구> 그런 과정을 통해서 윤에 대한 손절 과정은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고 봐요. 그런 과정을 통해서. 말은 그렇게 하지만 민심이 실질적으로도 요구할 거거든. 그렇기 때문에 말은 그렇게 나누지만 실질적으로는 윤하고 손절 과정에 갈 수밖에 없고, 그리고 윤석열은 반국가 세력이라고 늘 이야기했지만 어쨌든 좌파적인 상황에 대한 분노를 가진 그 보수 세력을 자기가 결집했다고 이야기하지만 그것도 어떤 면에서는 이미지거든요. 자기가 뭘 한 건 없잖아요. 적폐 청산의 제일 선두에 나서서 문 정부 때 그걸 했던 거고, 그래서 윤석열이라는 아까 말한 고집, 일본말로 곤조, 이렇게 표현했는데 그것이 자기의 뿌리가 없다는 이야기죠. 정치적인 뿌리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건 오래 가지 않을 거다.

△ 황장수> 이럴 수 있겠죠. 만약에 이재명이 당선 되면 보수의 분노가 대통령이 정권을 뺏겼다, 이러면서 좀 더 갈 수 있습니다, 쭉. 그리고 자기로서는 만약에 국민의힘이 정권을 가까스로 되찾았다고 하면 새로 뽑힌 대통령이 멀지 않아서 윤석열을 사면복권시켜 줄 것이라는 부분에 기대를 가질 수 있겠죠. 그러니까 자기는 상황이 좋아지고 정권 재창출을 하면 이 굴레에서 빠져나갈 시간이 빨라지고 그다음에 만약에 최악의 상황이 와서 이재명이 대통령이 된다면 또 계속 저항이 있을 거예요. 아마 재판 문제 때문에 5년 내내 시끄러울 거예요. 그러면 그 문제에 대해서 저항하는 세력의 구심점 역할로 메시지를 내고, 어차피 자기는 포기하지 않겠습니까? 이재명 정권 내내 감방에 있겠다고 생각해야 되겠죠. 그렇기 때문에 그런 방식으로 자기의 힘이 발현될 거다. 그래서 A 케이스, B 케이스 다 준비를 했을 거다,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 김능구> 저는 윤석열이 플랜 A, 플랜 B 모두를 실제 운용을 해낼 수 있을 만한 정치력과 역사와 기반이 없다고 평가하죠.

△ 황장수> 그건 없죠. 저 양반이 아무 말도 안 하고 앉아 있다가 1월 1일에 편지 내고 잡혀 가면서 폰으로 영상 찍고, 그 이후에 감방에서 메시지 내면서 사태가 이렇게 됐는데 본인도 그걸 긴가민가하면서 사실은 좀 더 빨리했어야죠. 한참 있다가 1월 1일에 움직인 거라니까요? 그런데 불과 한 2~3주 만에 이게 보수 돌풍이 일어나면서 서부지법 사태의 사건이 없었다면 지금보다 더 나았을 거라고 봅니다. 그러니까 이런 걸 보면서 그때 배웠다고 봐요. 그렇기 때문에 보수 진영에서는 탄핵이 인용되고 나면 분노가 이재명 정권 5년 내내 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영향력이 오래 갈 수 있다고 보겠죠.

▲ 김능구> 여론조사가 계엄 이후에 한 달 그다음에 설까지 또 한 달, 그 이후 과정에서 지지층이 결집되면서 국힘이 올라갔다가 지금 주춤 내지는 하향된 게 윤석열 탓이라고 보거든요. 왜냐, 헌재에 나와서 이야기하는 게 보수 지도자로서의 모습이 아니었어. 뭐냐 하면 자기가 모든 것을 책임지고, 안고 이런 것이 아니라 어찌 말하면 계속 변명이 일관됐고, 합리적인 사람이 볼 때는 앞뒤 안 맞는 이야기를 계속해 댔고. 이렇기 때문에 중도층에서 간극이 더 벌어질 수밖에 없었고, 하지만 어떻게 말하면 보수가 또 윤석열을 활용하고 있다, 전 그렇게 봐요.

△ 황장수> 그런 효과도 충분히 있죠.

▲ 김능구> 있죠.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는 있어야 되는데.

△ 황장수> 누군가는 있어야 돼요, 그 구심점이.

▲ 김능구> 지금 다른 대선주자가 그걸 맡을 수가 없죠. 윤석열이라는 구심점을 통해서 보수가 지금 격노하고 있고, 결집하고 있다인데 이게 막상 조기 대선으로 넘어 가서 아까 말한 대로 보수가 이기려면 중도적인 걸 넘어서 좌파적인 정책까지 내놓고 이러려면 이게 일정 정도 절연의 모습을 가져가지 않을 수 없고, 그런데 그것을 하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윤석열의 지지층은 아마 국힘 지지층 중 반 정도 되지 않을까 싶어요. 그런데 점차적으로 그것은 줄어들었고, 이전에 봤던 극우 강경 세력이 5%라고 그랬는데 지금은 한 15%까지 올라갔다고 봐요.

△ 황장수> 지금은 그 이상 올라갔죠.

▲ 김능구> 그러니까 전체 국민의 15% 정도 된다고 봐요. 이 사람들이 국힘에서 가지는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여전히 있을 것이다.

△ 황장수> 결정질 수 있죠.

▲ 김능구> 그렇게 되면 국힘은 정치 세력으로서 그것을 대표, 대변할 수는 있을지언정 전체적인 국정을 주도하는 세력으로는 어렵기 때문에 변화하지 않을 수 없다.

△ 황장수> 그 점에 있어서는 극우 보수 세력들이, 뭐 독일의 극우나 유럽의 극우나 미국의 극우처럼, MAGA처럼 자신들의 정책 가치를 명확하게 가지고 있다면 그게 문제가 크게 될 거예요.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빼도 박도 못한다. 그런데 극우들은 감성적 극우입니다. 한국에는 이 극우화가 외노자나 이민에 대한 반대 그다음에 외국에 돈 퍼주는 데 대한 반대. 이런 부분에서 나온 게 아니라 반공이라는 말 외에는 실질적으로 내용성이 없어요. 그렇기 때문에 만약에 어떤 후보가 국민의힘 후보가 됐다. 그러면 좌파 정책을 편다 하더라도 이게 좌파, 빨갱이다, 이렇게 연결이 안 된다니까요. 그리고 또 극우의 싱크탱크 핵심으로 들어가 보면 거기에 무슨 정책연구소라 해서 극우의 가치를 정리해 놓은 것도 없어요. 그냥 강경하게 투쟁한다는 부분, 분노의 강도가 강하다는 극우를 형성하고 있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전향적인, 굉장히 좌파적인 정책을 펼친다 하더라도 그것이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으니까 양해를 하라 그러면 그것 때문에 휘둘릴 것 같지는 않아요.

▲ 김능구> 부정선거 있잖아요. 어제 윤석열 측의 피청구인의 변호인단도 그랬고, 본인도 부정선거에 대해서 또 이야기를 했어요. 그런데 부정선거는 이미 판결로도 증명이 됐고, 지난 총선 같은 경우는 알다시피 수개표가 하나 더 추가 돼서 이건 조작을 하려야 할 수 없는 선거라는 걸 알면서도 불구하고 국힘 지지층은 거의 50% 이상이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서 믿고 있거든요. 이게 전염병이다. 보수에서도 여기에서 헤어나지 않으면 보수의 미래가 없다고 이야기하는 분들이 많아요. 이건 어떻게 보십니까?

△ 황장수> 조갑제 씨도 그렇게 이야기하는데. 이번에 중국인 99명을 오키나와로 압송했다는 것. 그놈들을 처음에 이런 사기꾼이 있냐, 나도 미국에 대해서 좀 아는데 이런 게 말이 안 된다. 트럼프가 집권하기도 전에 트럼프가 지시해서 그렇게 움직였고, 그걸 가지고 부정선거 문제를 한국에 제기해서 윤통이 석방된다. 찰떡같이 믿고 있었고, 그다음에 윤통이 계엄을 한 사유도 부정선거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서 그러면 난 이 서버를 확보해야겠다. 그래서 내가 볼 때 이 모든 부분은 대통령 탄핵을 기각시키는 데 아무런 도움이 안 될 거라는데 제가 온 사방에서 욕 많이 먹었어요. 희망의 동력을 왜 꺾냐, 니 잘났다. 너는 매사를 다 아는 척하는데 틀렸다. 욕을 많이 먹었지만 내가 그 말을 했어요. 차라리 이번에 보수가 부정선거를 말하지 않고, 일부 투개표에서 오류는 있어요, 증명이 된 게. 그러면 그런 문제가 있으니까 그런 정도로만 언급을 하고 또 헌재에서의 탄핵에 대한, 계엄에 대한 다툼에서 부정선거를 뺐더라면 오히려 중간층을 확보하는 데 더 도움이 됐을 건데 그런 망상적인 부정선거 이야기, 특히 스카이데일리의 그런 보도들을 하고, 뭐 부정선거 제보에 따른 캡틴 아메리카는 미국 국적도 없고, 미국에 간 적도 없고, 한국에서만 살았고, 병장으로 제대한 삼류 거짓말쟁이라는 거 아닙니까? 그래서 보수의 수준이 어떻게 이 정도인가, 이 부분은 보수가 굉장히 반성하고 개혁해 나가야 된다. 나도 매일 그 이야기하고 있어요. 이런 정보를 믿고, 트럼프가 윤통을 구원해 줄 거라고 믿고, 트럼프 부정선거와 한국의 부정선거가 공통점이 있다. 그런데 이게 미국에서 갖고 온 게 많아요. 나는 중국을 굉장히 싫어하는 사람입니다. 이번에 이 탄핵 국면에서 반중은 조금 다른 분위기였거든요. 미국에서 반중 분위기가 있는 걸 그대로 들고 와서 이야기하거든요. 그래서 이것도 보면 이 한국 보수에 영향을 미치려고 하는 미국 출신 몇 명이 있어요, 교포 출신. 그 사람들이 한국의 보수 유력 인사들에게 또 유튜버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뭐 재력이 뒤에 있으니까 그렇겠죠. 그렇기 때문에 그런 사람의 영향이 보수 상층에서 퍼져 나오면서 부정선거 이야기나 반중으로 갔다, 이렇게 봅니다. 그건 보수가 굉장히 개혁해야 된다. 만약에 조기 대선 이야기에 이거 물고 들어가면 대선 못 이긴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이재명 중도보수 행보 신뢰 떨어져... 개헌은 살짝 언급에 그칠 듯”

김능구 대표는 "이재명 대표의 중도보수 정당 발언은 (조기 대선을) 진영 대결에서 정책 대결로 합리적인 논쟁이 될 수 있는 장으로 만드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라고 말했다.
김능구 대표는 "이재명 대표의 중도보수 정당 발언은 (조기 대선을) 진영 대결에서 정책 대결로 합리적인 논쟁이 될 수 있는 장으로 만드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라고 말했다.

▲ 김능구> 다음 주제로 이재명의 중도 보수 정당. 그러면서 상당히 이익 분배형 정치를 하고 있다, 이렇게 보이는데 저는 지평을 넓히는 것을 긍정적으로 봅니다. 그리고 일찍이 민주당을 진보 정당이라고 규정한 적도 없잖아요. 진보를 대변한다고 이야기는 할 수 있지만 민주당을 이념적으로 진보 정당이라고 한 건 그 누구도 없다고 봐요.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 중도 보수 정당을 제기한 부분들은 어떻게 말하면 정책 대결이 있을 수도 있는 거 아니냐, 이런 기대도 갖게 하고, 진영 대결로 돼 있는 부분을 조금 넓힐 수 있는. 그리고 그 부분들을 합리적인 논쟁이 될 수 있는 장으로 만든 측면이 있지 않나. 아까 말한 대로 강성적인 적과 아군이 아니라. 그런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봤다는 이야기죠.

△ 황장수> 이재명이 아닌 다른 누가 이런 이야기를 진지하게 했더라면 먹혀 들었을 겁니다. 그런데 저 양반이요. 미국이고 일본이고 모든 문제에 대해서 이랬다가 저랬다가 또 하루 만에 바꾸기도 하고. 그래서 이재명이 무슨 옷을 입고 오더라도··· 요즘은 뭐 태극기 달고 다닌대요, 큰 거. 이번에 보면 이렇게 옮기는 이념 좌표에서의 핵심이 하나는 안보고, 하나는 경제일 거라고 봐요. 안보에서 뭐라 합니까? 트럼프가 북미 대화하는 걸 적극 환영한다. 우크라이나 보면 100% 한국도 패싱될 가능성이 높아요. 그러면서 노벨상 추천하겠다고 했잖아요. 또 경제에서 보면 반도체법 반대 또 상법 개정, 주 52시간 반대.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그럴 것처럼 하다가 발 빼고 나와요. 그다음에 또 상속세 부분도, 물론 본인은 아주 초부자들한테는 세게 때려야 된다지만 그러면 진짜 우경화를 했다면 우측의 사고는 초부자들한테도 세게 안 때리는 감세, 이런 부분이 미국도 그렇고 지금 분위기가 있어요. 유럽도 그렇고요.

그러면 이재명이 과연 왔다 갔다 두 가지 캐릭터를 하나는 자신의 주 캐릭터고, 하나는 부캐라고 부르는 부 캐릭터인데 이걸 잘 할 수 있느냐, 이 대목에서는 솔직히 본인의 인내도 너무 약하고, 본인의 자제력도 약하고 그리고 완전히 이랬다가 저랬다가 야누스적인 두 얼굴을 보이는 데 적합하지 않은 유형이기 때문에 이러다가는 오히려 마이너스가 더 클 수 있다, 이렇게 봅니다. 본인들이 생각할 때는 국민의힘이 극우로 갔다. 그래서 자신들은 국민의힘이 빠진 중간 자리와 그리고 또 연성 보수 자리를 차지하겠다,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데 아마 밑에 가까운 참모··· 내가 누군지는 대충 알겠는데 그 사람이 안을 낸 것 같아요. 그런데 이건 아니라는 거죠. 왜냐, 절대 이재명 부분은 얼굴을 못 감춰요. 포커페이스가 안 돼요. 그리고 속을 감추고 앉아 있지도 못해요. 그래서 지난번에 보면 법륜스님 만나러 가서, 법륜스님이 왼쪽에 가깝지 오른쪽에 가까운 스님도 아니잖아요. 그런데 거기 가서 "민주당도 좀 고쳐야 된다, 어쩐다." 이 말하니까 "국민의힘 계엄은 잘못된 거다." 하고, 그런데 "민주당도 그렇게 마구잡이로 밀어붙여서는 안 된다." 이 말하니까 그 직후에 뭐라고 했어요? "이만합시다." 하고 일어서 버렸잖아요. 그러니까 그게 본인한테 적절한 캐릭터가 아니다. 그게 오히려 사람이 진정성이 없어 보이고, 차라리 진정한 사회 계약을 주장하는 좌파라고 하는 게 더 낫지 않나요?

▲ 김능구> 그러니까 이재명 대표가 해서 문제다, 이런 거잖아요, 캐릭터가.

△ 황장수> 네, 이재명이 해서 문제다. 이낙연이 했더라면 받아들여졌을 거예요.

▲ 김능구> 요즘 이낙연 전 총리는 윤석열과 이재명을 같이 아웃시키자, 이 주창을 계속하고 있다고 그러더라고요.

△ 황장수> 좀 더 온건하고 합리적이면서 여야가 이렇게 죽기 살기로 싸우지 않고 갈 수 있는 사람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꼭 극단적인 사람이 당을 장악하고 대통령이 되고 이러더라고요.

▲ 김능구> 이재명 대표가 탄핵되고 나면 개헌 문제를 어쩔 것 같아요?

△ 황장수> 탄핵 되도 안 합니다. 자기가 당선되면 개헌을 진지하게 고려해 보겠다, 딱 이 수준으로 하고, 절대 안 나간다고 봐요. 엊그제도 김부겸 의원이 이야기하니까 뭐라 했습니까? 지금 내란의 잔불이 꺼지지 않았는데 그것부터 잡고 보자, 이런 말 했잖아요.

▲ 김능구> 그러니까 그게 탄핵이 선고가 되면 그 이야기로서는 충분치 않죠, 안 되니까.

△ 황장수> 그러면 뜻을 모아서 개헌을 할 수 있는 부분의 여러 가지 검토를 전향적으로 생각해 보겠다, 이 선에서 딱 끝날 거라고. 죽을 둥 살 둥 해서 대통령 자리 갔는데 이걸 개헌해서 임기 단축하고 물려줘요? 안 할 거라고 봅니다.

▲ 김능구> 저건 공약을 내걸 수밖에 없고, 정치 개혁에서 지난번에도 내걸었기 때문에 자기가 4년 중임제 개헌, 분권형 대통령, 지방자치 강화. 이런 정도의 지난번 수준에서의 개헌안은 내걸 것 같아요.

△ 황장수> 가끔 세미나나 하면서 시간 끌고 가다가 나중에 막판에 죽게 되면 또 한다고 하겠죠.

▲ 김능구> 제가 말하는 게 시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라는 거거든. 일반론을 이야기하지 말고 개헌을 언제 할 거냐, 국민투표 언제 할 거냐, 언제 적용할 거냐.

△ 황장수> 한국의 대통령을 보면 박근혜 대통령도 죽게 돼서 개헌했고, 개헌이라 말하고 그다음에 문재인은 지방분권 개헌이라고 바람만 살살 피우면서 자기 임기 5년 다 때웠고, 지금 윤도 죽게 돼서 개헌을 말하잖아요. 그러니까 이건 어떻게 보면 최고 권력에 도달하고자 하는 사람의 마음에서는 지금은 개헌이 진심으로 안중에 없다. 다만 필요하다면 적절한 수준에서 양념 치듯이 살짝 언급은 하는 정도로 갈 거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 김능구> 그러면 시기에 대해서는 제대로 이야기를 안 하겠네요.

△ 황장수> 안 할 거라고 봅니다. 절대 안 할 거라고 봅니다.

▲ 김능구> 양 진영이 또 붙고 있어요. 49:51의 대결이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이고, 이광재 의원은 7:3으로 돼야 그다음 진영 대결을 극복할 수 있다, 이런 말을 하는데 대체적인 예측은 또다시 49:51이 될 것이다.

△ 황장수> 그럼요. 좌파 진영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어떻게 보면 내란 수괴라고 혐오하듯이 우파 진영에서 이재명이라는 사람에 대해서 도덕적으로, 법률적으로 문제가 엄청 많은, 어떻게 보면 좀 비정상적인 인물이라고 생각하는···

▲ 김능구> 한동훈 대표가 대한민국에서 제일 위험한 인물이라고 이야기했더구먼요.

△ 황장수> 그러니까 그 이야기한 건 이재명을 비판해야 그래도 보수에 발이라도 좀 디뎌볼까 하고 했다고 봅니다.

“국힘, 反이재명 연합 위해 개헌 고리로 민주당 反明과 손잡을 수도”

▲ 김능구> 야당은 헌정 수호 연대를 주창해서 민주당이 포괄하고 있는 야 5당. 개혁신당은 거기서 이제 빠진다고 이야기했고, 그런데 여당은 반이재명 연합, 뭐 이런 부분에서 개헌 연대를 활용하지 않을까 싶어요.

△ 황장수> 여당이 개헌 연대를 활용할 거라고 봅니다. 왜냐하면 윤통이 개헌도 이야기했고 또 본인의 탄핵이 확정되면 더더욱이 개헌 연대를 밀어붙일 거라고 봐요. 그래서 반이재명 연대라고 하자면 궁극적으로 이번에 국민의힘에 나선 후보가 조기 개헌을 날을 박아서 하겠다, 임기 단축도 하겠다는 말을 할 가능성도 있어요. 그러면서 이재명을 싫어하는 민주당, 구민주당이나 또 호남의 인물들을 영입하고, "우리는 확실하게 당선되면 개헌하겠다." 그래서 이재명이 이야기하는 개헌 수준을 훨씬 넘어서는 구체적인 못을 박는 개헌을 하겠다고 하면서 반이재명 연대를 만들어서 이재명을 포위할 수 있다. 그러면 이번에 경선에서 탈락되는 후보더라도 이번에 대통령 당선되는 사람은 관리형 대통령이다. 그렇다면 쟤 보고 관리하고 개헌하라고 시키고 나는 다음에 도전해야 되겠다,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죠. 그렇기 때문에 그렇게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봅니다.

▲ 김능구> 꼭 국힘 후보가 아니더라도 아까 말한 국민 후보, 이런 식으로.

△ 황장수> 국힘 후보부터 외부에서 능력이 검증된 사람을 데려와서, 그래서 그 사람이 "아주 짧게만 대통령을 하고 개헌하고 물러나겠다." 이렇게 하는 것이 훨씬 낫다고 보고 만약에 윤통이 그걸 밀게 되면 그건 굉장히 말빨이 받을 거라고 봐요. 그렇게 되면 결국은 이번에 조기 대선이 굉장히 좋은 쪽으로 한국 정치에 작용할 소지도 충분히 있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 김능구> 이런 분 같으면 내년 지방선거까지 하고 7공화국을 열겠다고 할 수도 있겠네요?

△ 황장수> 할 수도 있죠. 저는 대통령을 한 번 했다라는, 당선되어서 그리고 개헌을 해서 한국 사회의 정치적···

▲ 김능구> 1년이 남아 있으니까.

△ 황장수> 네, 정치적 충돌을 서로 화합하고 협조하는 방식으로 바꾸었다. 이것만 해도 굉장히 영광적인 거잖아요. 역사에 남겠죠. 그렇다면 이럴 때 그런 사람을 하나 밀고, 나머지들이 출마를 자제하면서. 이왕 개헌하기로 했으면 빨리 하는 게 좋겠죠. 그렇게 생각합니다.

▲ 김능구> 자기는 다음 기회가 있으니까.

△ 황장수> 네, 자기는 다음 기회가 있으니까요. 그런 방식으로 정리할 가능성도 있어요. 그건 오히려 이번에 보수 후보들 속에서 그런 방식으로 진행이 되면서 그걸 약속한 사람이 나와야 된다, 이런 부분으로 갈 수도 있어요. 저도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가야 된다고 주장할 겁니다.

▲ 김능구> 한 달 안에 그 부분들 다 해나가기가 쉽지는 않겠지만.

△ 황장수> 보수의 행태로 보면 '니 잘났네 내 잘 났네' 하면서 그게 안 돼요. 그래서 윤통이 그걸 내다보고 나는 물러난 사람으로서 그건 없지만 한국 정치가 개혁돼야 된다는 데 대해서 동감을 한다. 개혁이 되면, 개헌이 되고 하면 정리해 주자, 그런 부분이 될 거 아니에요. 그러니까 그런 사람을 윤통이 밀고 그다음에 윤통을 지지하는 강성 보수들이 그걸 받아들이면 그러면 쉽게 정리될 수 있죠, 오히려.

▲ 김능구> 윤통도 지난번에 제3지대로부터 출발하려고 하다가 전격적으로 국힘에 입당했죠. 입당하고 순식간에 대선 후보가 됐잖아요. 그러니까 거기에 맞는 국민 후보가 있다면, 뭐 그런 과정으로 거치면 그게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네. 입당을 하고, 지지하고 이런 부분들이.

△ 황장수> 이번에 보면 윤통이 헌재 앞에서··· 사실은 헌재 재판관들한테 개헌을 이야기한다고 그걸 갖고 탄핵하고 안 하고 하겠습니까? 이 말을 갖다가 운을 뗀 게 아닐까, 저는 그렇게도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운을 떼고 본인의 탄핵이 인용된 이후에 그 부분을 본격적으로 구상으로 던지면서 이렇게 하라, 이런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있겠죠.

▲ 김능구> 다음달 대담은 탄핵 결정이 난 이후가 아닐까 싶고 지금 예상으로는 뭐 8:0, 6:2까지도 있을 수 있다는데, 거의 탄핵은 인용되지 않을까 하는데 또 의외의 변수가 생길 수도 있겠죠.

△ 황장수> 네, 그런데 인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게 현실적이죠.

▲ 김능구> 그러면 그때부터는 60일 대장정이 벌어지는 건데 그때 다시 뵙도록 하겠습니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Kim Neung-gu and Hwang Jang-soo's Doctor Doom's Outlook for February②] [Full text] "People's Power candidate supporting Yoon is likely to throw a decisive move for the president to open the 7th Republic with a one-year term"

"People's Power is 'Yoon Seok-yeol's party without Yoon Seok-yeol'... Candidate opposing Yoon dropped out of the primary"

"People's Power candidate, even if supported by Yoon in the primary, may cut ties with Yoon to expand the center"

"Lee Jae-myung's moderate conservative moves are falling in trust... Constitutional amendment likely to be mentioned only briefly"

"People's Power may join hands with the Democratic Party's anti-Ming faction as a link to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anti-Lee Jae-myung coalition"

[Polynews interview with publisher Kim Neung-gu, organized by reporter Seo Kyung-sun] On the 26th, at <Doctor Doom's Outlook for February> held at the Polynews Studio in Yeouido, Seoul, Kim Neung-gu, CEO of Polynews, and Hwang Jang-soo, director of the Future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had a conversation to forecast the early presidential election situation that would unfold if President Yoon Seok-yeol is impeached.

“The People’s Power is ‘the party of Yoon Seok-yeol without Yoon Seok-yeol’... Yoon’s opposition candidate drops out of the primary”

▲ Kim Neung-goo> Can the People’s Power change the primary rules?

△ Hwang Jang-soo> They will change them. Then there will be chaos.

▲ Kim Neung-goo> Even if some people change them, they will only change them to around 7:3. It will be difficult to do this 100%. 7:3. If there is a reverse selection of 7:3, it will be a waste of time to change them.

△ Hwang Jang-soo> What is important now is that Yoon Tong-soo will likely strongly push for constitutional amendments while fielding a national candidate. Then, many of the People’s Power’s senior members are secretly wanting constitutional amendments. They all want it. Then, I think the various results of the primary process this time will ultimately not be able to escape Yoon Tong-soo’s hands.

▲ Kim Neung-goo> The primary?

△ Hwang Jang-soo> Yes, he fought in his own way and gathered people from the streets. And those people are very strongly united, and if the impeachment of Yoon is approved, that anger will continue to cover the early presidential election situation for the time being. Then, in that situation, will the presidential candidates who are raising the acorns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marked by Yoon be able to propose their positions? The next problem is that the Myeong Tae-gyun issue is not trivial. Because the Democratic Party is targeting Oh Se-hoon, who they think is competitive, and secondly, Hong Jun-pyo, isn’t it? They’ve been talking about the Myeong Tae-gyun issue throughout the presidential election period. Today, I saw that the police raided again. To someone called Kim Han-jung.

▲ Kim Neung-gu> The chairman of Kim Han-jung’s support group, the person who paid for the opinion poll.

▲ Hwang Jang-soo> What does that mean? When I look at it this way, at least in my opinion, there are two things. Those who were involved in supporting the impeachment and those who were involved with Myeong Tae-gyun are very likely to be eliminated from the People’s Power Party’s candidates this time. ▲ Kim Neung-gu> Special prosecutor Myung Tae-gyun is scheduled to be processed at the plenary session tomorrow, but at the end of the administration, the prosecution... Myung Tae-gyun has now been promoted to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I think they will investigate properly.

△ Hwang Jang-soo> They will do it properly. Since the new administration sees Lee Jae-myung of the Democratic Party as a very strong candidate, they will invest properly in him this time and make contributions to him so that they can rise in that administration.

▲ Kim Neung-gu> The deputy chief of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said that they will start from scratch.

△ Hwang Jang-soo> That's right.

▲ Kim Neung-gu> Director Hwang, I think the People's Power Party will become the Yoon Seok-yeol Party without Yoon Seok-yeol. It will also have an impact on the presidential candidates and the party leadership. In fact, it's not easy for someone who doesn't know politics to suddenly do that. Did Yoon Seok-yeol suddenly become a 10th-dan? What do you think?

△ Hwang Jang-soo> When he was president, none of his personal strengths were evident. He was arrogant, self-righteous, and overly protective of his wife. Then, he got caught like this, and when he was in a crisis, I think the biggest strength of Yoon Seok-yeol as an individual was his stubbornness and tenacity. So, he must have tried 9 times, or could he have tried 9 times? He must have suffered all kinds of insults during the process. And after trying 9 times and entering the prosecution, he was older, and his juniors from Seoul Law School who were much younger than him were far ahead of him, and he endured that and worked as a prosecutor, then became a lawyer, then came back and worked as a prosecutor, and his life as a prosecutor was not smooth either, during the Park Geun-hye era. So, what I see in him is stubbornness, as I say in Japanese, and stubbornness. I think this was expressed during the impeachment process. That is why I think his anger gauge will go up a lot if he is cited. Those who supported the impeachment this time or those who opposed the impeachment formally but did not do it properly will not just sit there. Isn't he creating something called the National Defense Corps to exert his influence? Looking at conservative sentiment, only about 5-10% of conservatives are left who used to curse Yoon Seok-yeol, and those who used to curse him are now in a situation where they can no longer curse him. So, the opposition party’s rational conservatives are not still vetoing Yoon, but the majority of rational conservatives are now saying that they should block Lee Jae-myung and block pro-North Korea forces, and that’s how they’ve made themselves. So, the war against pro-North Korea forces that have permeated Korean society for a long time has been exposed to the public by declaring martial law. That’s why that part was the longest in his final statement yesterday. Because of that, people are now angry…

▲ Kim Neung-gu> He keeps emphasizing spies.

△ Hwang Jang-soo> Yes, he emphasizes it. So, when people look at Yoon, they think that he sacrificed himself in the systemic war in Korean society and exposed it to the public by declaring martial law. That’s how conservatives interpret him now. He’ll think about it too. What will I do if I am impeached? When I am impeached, I will exert the influence I have and have accumulated... When I was arrested, I said, "I am leaving now, so you must recreate the government." But when I went to see the party leadership for the second time after that, they said, "A grain of sand." When Ssang-kwon went to see the party, they said, "A grain of sand." What does that mean? They should be unanimous in opposing impeachment, but the party is a mess of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an early presidential election and people who are in favor of impeachment. And why don't you two bet everything on me? I think that's what he was criticizing the two of them for, "A grain of sand." If you look at it that way, with that kind of determination, they will try to see it through to the end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that case, it is clear that in the conservative camp, no one who is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e Yoon faction can exert influence in the primary or the candidate field. Even if we don't know what happens to the influence of the Yoon faction after that, “People Power Party candidate, even if Yoon is supported in the primary, there is a possibility of cutting Yoon’s hand to expand the moderates”

▲ Kim Neung-gu> I think the one axis you just mentioned is clear. I think it will have a meaningful influence, but the variables in that area are how the presidential candidates will act and take that part, and how the public will react to it.

△ Hwang Jang-soo> If I were a candidate, I would first take the lead in all aspects of Yoon’s administration until I become the candidate, and show support and advocacy, and once I become the candidate, I would boldly approach the moderates with bold policies that conservatives cannot do because you will also live if I am elected. There is no other way, and I think I would choose that. I think I have to choose. If I don’t make that choice, I think I will lose this time by one-sidedly.

▲ Kim Neung-gu> I think the process of cutting Yoon’s hand is inevitable through that process. Through that process. I say that, but the public will actually demand it. That's why they say things like that, but in reality, they have no choice but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cutting ties with Yoon, and Yoon Seok-yeol has always said that he is an anti-state force, but he says that he has united the conservative forces that are angry about the leftist situation, but that is also an image in some ways. He didn't do anything. He was the first to clear out corruption and did it during the Moon administration, so Yoon Seok-yeol's stubbornness, which I mentioned earlier, is expressed in Japanese as gonzo, and it means that he has no roots. Since he has no political roots, it won't last long.

△ Hwang Jang-soo> That could happen. If Lee Jae-myung is elected, the conservatives' anger could continue, saying that the president has lost power. And for him, if the People's Power Party barely regains power, he could expect that the newly elected president will pardon Yoon Seok-yeol and reinstate him soon. So, if the situation improves and the government is re-established, the time to escape this shackle will be shortened, and if the worst happens and Lee Jae-myung becomes president, there will be continued resistance. There will probably be noise for 5 years because of the trial issue. Then, he will send a message as the center of resistance to that issue, and he will give up anyway, right? He must think that he will be in prison for the entire Lee Jae-myung administration. That is why his power will be expressed in that way. That is why he must have prepared both Case A and Case B. That is what I see.

▲ Kim Neung-gu> I evaluate that Yoon Seok-yeol does not have the political power, history, and foundation to actually implement Plan A and Plan B.

△ Hwang Jang-soo> That is not the case. That guy sat there without saying anything, sent a letter on January 1, was arrested, took a video with his phone, and sent a message from prison, and that is how things turned out. He also wondered if it was a long time, and in fact, he should have done it a little sooner. It was a long time ago, but it moved on January 1st, right? But in just 2-3 weeks, if the conservative storm had not occurred and the Western District Court incident had not occurred, I think things would have been better than they are now. So I think they learned from that. That is why the conservative camp’s anger after the impeachment is approved continues throughout the five years of the Lee Jae-myung administration. That is why they think their influence can last a long time.

▲ Kim Neung-gu > I think the fact that the People’s Power Party went up after martial law and then another month until Lunar New Year, and then after that, as the support base gathered, and now it has stalled or gone down, is Yoon Seok-yeol’s fault. Why? Because coming to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speaking was not the way a conservative leader should be. What I mean is,

He didn’t take responsibility for everything, he just kept making excuses, and he kept saying things that didn’t make sense to a reasonable person. That’s why the gap in the middle class was bound to widen, but if you look at it that way, the conservatives are using Yoon Seok-yeol again. That’s what I think.

△ Hwang Jang-soo> That effect is also quite effective.

▲ Kim Neung-goo> Yes. That’s why someone has to be there.

△ Hwang Jang-soo> Someone has to be there, that focal point.

▲ Kim Neung-goo> No other presidential candidate can take on that role right now. The conservatives are furious and united through the focal point of Yoon Seok-yeol, but if this actually goes into an early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conservatives want to win, as I mentioned earlier, by going beyond the moderates and putting forth leftist policies, they can’t help but have a certain degree of isolation, and in the process of doing that, I think Yoon Seok-yeol’s support base will be about half of the People’s Power supporters. But it gradually decreased, and the far-right hardliners that I saw before were 5%, but now I think they have risen to about 15%.

△ Hwang Jang-soo> It has risen even higher now.

▲ Kim Neung-gu> So I think they are about 15% of the entire population. The influence these people have on the People's Power Party is limited, but it will still exist.

△ Hwang Jang-soo> It can be decided.

▲ Kim Neung-gu> If that happens, the People's Power Party can represent and speak for it as a political force, but it will be difficult for it to lead the overall state affairs, so it cannot help but change.

△ Hwang Jang-soo> In that regard, if the far-right conservative forces, like the far-right in Germany, the far-right in Europe, or the far-right in the US, have their own clear policy values ​​like MAGA, that will be a big problem. If they don't get out of here, they can't do anything. However, the far-right is an emotional far-right. In Korea, this far-rightization is opposition to foreign workers and immigration, and then opposition to giving money to foreign countries. It didn’t come from this part, and other than the word anti-communism, there’s no real content. That’s why if a candidate becomes the People Power Party candidate, even if he or she pursues leftist policies, it’s not connected to the left or communists. And if you go into the core of the far-right think tank, there’s no policy research institute that organizes the values ​​of the far-right. It’s just that they’re forming the far-right by fighting hard and having strong anger. That’s why even if they pursue progressive, extremely leftist policies, if they say they can’t help it in order to win the presidential election, so if they say they understand, I don’t think they’ll be swayed by that.

▲ Kim Neung-gu > There’s election fraud. Yesterday, the defense team for the defendant on Yoon Seok-yeol’s side said the same thing, and I also talked about election fraud. However, the fraudulent election has already been proven by the ruling, and in the case of the last general election, as you know, there was one more vote count, so it was an election that could not be rigged, but despite that, over 50% of the People Power Party supporters still believe in the suspicion of fraudulent election. This is an epidemic. Many conservatives say that if they don’t get out of this, there is no future for conservatism. What do you think about this?

△ Hwang Jang-soo> Jo Gap-je also says the same thing. This time, they sent 99 Chinese people to Okinawa. At first, they said, “Are there such fraudsters?” I know a little about the US, but this doesn’t make sense. Even before Trump took office, Trump ordered them to do so, and with that, they raised the issue of fraudulent elections in Korea, and Yun Tong was released. I believed it perfectly, and the reason Yun Tong declared martial law was to secure evidence of fraudulent elections. Then, I should secure this server. So, in my view, all of this will not help in dismissing the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and I got a lot of hate from all sides. Why are you destroying the power of hope? You’re so great. You’re wrong for pretending to know everything. I got a lot of hate, but I said that. Rather than the conservatives talking about election fraud this time, they should have just mentioned that there were errors in some of the votes counted, which has been proven. If they had left out the issue of election fraud in the Constitutional Court’s impeachment and martial law debate, it would have helped secure the middle class more. But they kept talking about such delusional election fraud, especially Sky Daily’s reports, and Captain America, who was reported to have been a fraudulent person, did not have American citizenship, never visited the US, lived only in Korea, and was discharged as a sergeant, isn’t he a third-rate liar? So how can the level of the conservatives be like this? The conservatives need to reflect and reform themselves. I talk about that every day. Believing this information, believing that Trump will save Yun Tong, and that Trump’s election fraud and Korea’s election fraud have something in common. However, many of these things were brought over from the US. I am a person who really hates China. This time, during the impeachment, the anti-China sentiment was a little different. They brought up the anti-China sentiment in the US and talked about it. So if you look at this, there are a few people from the US, Koreans living abroad, who are trying to influence Korean conservatives. Those people are influencing influential Korean conservatives and YouTubers, and I guess that’s because they have money behind them. That’s why the influence of those people spread from the upper echelons of the conservatives, leading to talk about election fraud and anti-China. That’s why I think the conservatives need to reform a lot. If they bring this up in the early presidential election, they won’t win the presidential election.

“Lee Jae-myung’s moderate conservative actions are losing trust… Constitutional amendments will probably only be mentioned briefly.”

▲ Kim Neung-gu> Next topic: Lee Jae-myung’s moderate conservative party. And while doing so, he seems to be doing a lot of profit-sharing politics. I think this is a positive thing to see as he broadens his horizons. And the Democratic Party has never been defined as a progressive party. You can say that it represents progress, but I don’t think anyone has ever said that the Democratic Party is an ideologically progressive party. That’s why the parts that brought up the idea of ​​a moderate conservative party this time, in a way, raised expectations that there could be a policy confrontation, and it could expand the parts that are considered a confrontation between camps. And it could make those parts into a place where rational debates can take place. As I said earlier, it’s not a hard-line enemy and an ally. In that sense, I’m saying that it was viewed positively.

△ Hwang Jang-soo> If someone other than Lee Jae-myung had seriously talked about this, it would have been accepted. But that guy. He changes everything about the US and Japan in one day. So no matter what Lee Jae-myung wears… These days, he’s wearing the Taegeukgi, a big one. This time, I think the core of the ideological coordinates that are changing like this will be one that doesn’t have security and the other that is the economy. What do you mean by security? I actively welcome Trump’s North Korea talks. If you look at Ukrain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Korea will also pass. And you said you would recommend him for the Nobel Prize. Also, in terms of the economy, he opposes the semiconductor law, the revision of the commercial law, and the 52-hour workweek. If you go into details, he acts like he will, but then backs out. Then, regarding the inheritance tax, of course, he says that the super-rich should be hit hard, but if he really went right, the right-wing thinking is that he will not hit the super-rich hard with tax cuts. This is the case in the US and the current atmosphere. It is the same in Europe.

Then, can Lee Jae-myung do well with two characters, one of which is his main character and the other is his sub-character? In this part, honestly, his patience is too weak, his self-control is weak, and he is not the type to show two faces like Janus, so if he continues like this, the negative effects could be greater. In their opinion, the People Power Party has gone far right. So they are thinking that they will take the middle position that the People Power Party is missing and also the soft conservative position, but I think the staff member who is close to them… I know who he is, but I think he made a mistake. But this is not it. Why is it that Lee Jae-myung can never hide his face. He can’t have a poker face. And he can’t sit there hiding his feelings. So last time, when he went to meet the monk Beopryun, the monk Beopryun was not a monk who was close to the left or the right. But when he went there and said, “The Democratic Party needs to fix itself, what should we do?”, he said, “The People Power Party’s martial law is wrong.” But when he said, “The Democratic Party shouldn’t push things forward like that,” what did he say right after that? He said, “Let’s stop here.” And he stood up. So that’s not the right character for him. That makes him seem like he lacks sincerity, and wouldn’t it be better to say that he is a leftist who advocates a true social contract?

▲ Kim Neung-gu > So, the problem is that Lee Jae-myung is the one who did it, that’s the character.

△ Hwang Jang-soo> Yes, Lee Jae-myung did it, so it's a problem. If Lee Nak-yeon had done it, it would have been accepted.

▲ Kim Neung-goo> Former Prime Minister Lee Nak-yeon is continuing to advocate for the ousting of Yoon Seok-yeol and Lee Jae-myung together.

△ Hwang Jang-soo> There are more moderate and rational people who can go without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fighting like this, but they always say that an extreme person will take control of the party and become president.

▲ Kim Neung-goo> What do you think will happen with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ssue if Representative Lee Jae-myung is impeached?

△ Hwang Jang-soo> I won't do it even if he's impeached. I think he'll seriously consider constitutional amendment if he's elected, and I think he'll do it at this level and never do it. What did you say when Representative Kim Bu-gyeom spoke the day before yesterday? You said that the embers of the civil war haven't been extinguished yet, so let's start by tackling that.

▲ Kim Neung-gu> So, if the impeachment is declared, that story alone is not enough, because it won’t work.

△ Hwang Jang-soo> Then, we will gather our opinions and proactively consider various aspects of constitutional revision, and it will end at that line. We went to the presidency with our heads down, but we will shorten the term by revising the constitution. Will you pass it on? I don’t think you will.

▲ Kim Neung-gu> You have no choice but to make a pledge, and since you made it last time in political reform, I think you will make a constitutional amendment at the level of the last time, such as a 4-year term constitutional amendment, a decentralized president, and strengthening local autonomy.

△ Hwang Jang-soo> Sometimes you hold seminars and waste time, and when you die at the last minute, you will say you will do it again.

▲ Kim Neung-gu> What I am saying is to talk about the timing. Don’t talk about general theories, but when will you amend the constitution, when will you hold a national referendum, when will you apply it?

△ Hwang Jang-soo> If you look at the presidents of Korea, President Park Geun-hye amended the constitution because she was about to die, and then Moon Jae-in, who was just talking about a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local decentralization, served out his entire 5-year term, and now Yoon is talking about a constitutional amendment because he is about to die. So, in a way, it seems that the mind of someone who wants to reach the highest power is not really interested in amending the constitution right now. However, if necessary, I think it will go as far as to mention it lightly, like seasoning it at an appropriate level.

▲ Kim Neung-gu> Then I won’t talk about the timing properly.

△ Hwang Jang-soo> I don’t think they will. I think they absolutely won’t.

▲ Kim Neung-gu> The two camps are fighting again. It seems highly likely that a 49:51 match will occur again, and Rep. Lee Kwang-jae says that the next matchup can only be overcome if it becomes 7:3, but the general prediction is that it will be 49:51 again.

△ Hwang Jang-soo> Of course. Just as the left-wing camp despises President Yoon Seok-yeol as a rebel, the right-wing camp thinks of Lee Jae-myung as someone with a lot of moral and legal problems, and in some ways, he is an abnormal person…

▲ Kim Neung-gu> Representative Han Dong-hoon said that he is the most dangerous person in the Republic of Korea.

△ Hwang Jang-soo> So, I think he said that because he wanted to criticize Lee Jae-myung and at least get a foothold in the conservative camp.

“People’s Power may join hands with the Democratic Party as a link to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the anti-Lee Jae-myung coalition”

▲ Kim Neung-goo> The opposition party advocated for a constitutional defense coalition, and the five opposition parties that the Democratic Party includes. The New Reform Party said it would leave that now, but I think the ruling party will utilize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coalition in areas such as the anti-Lee Jae-myung coalition.

△ Hwang Jang-soo> I think the ruling party will utilize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coalition. Because Yoon Tong-woo talked about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I think he will push fo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coalition even more if his impeachment is confirmed. So, if we talk about the anti-Lee Jae-myung coalition, ultimate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andidate who ran for the People’s Power this time will say that he will push for an early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shorten his term. In the process, he will recruit the Democratic Party, the old Democratic Party, or people from Honam who dislike Lee Jae-myung and say, “We will definitely amend the constitution if we are elected.” So, if you say you will make a concrete constitutional amendment that goes far beyond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that Lee Jae-myung is talking about, you can create an anti-Lee Jae-myung coalition and surround Lee Jae-myung. Then, even if the candidate who is eliminated in the primary this time is elected president this time, he will be a managerial president. Then, you can think, “I will tell him to manage and revise the constitution, and I will run for it next time.” That is why I think it is very likely that he will do that.

▲ Kim Neung-goo> Even if it is not necessarily the People’s Power candidate, it would be the people’s candidate that I mentioned earlier, something like that.

△ Hwang Jang-soo> I think it would be much better to bring in a candidate from the People’s Power who has proven his ability from outside, and have that person say, “I will serve as president for a very short time, revise the constitution, and step down.” If Yoon Tong-woo pushes for that, I think it will be very eloquent. If that happens, I think there is a good chance that the early presidential election this tim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Korean politics.

▲ Kim Neung-goo> If it is someone like that, you could say you will hold the local elections next year and open the 7th Republic, right?

△ Hwang Jang-soo> It’s possible. I was president once, I was elected, and I made a constitutional amendment, so Korean society’s political…

▲ Kim Neung-gu> There’s still one year left.

△ Hwang Jang-soo> Yes, I changed political conflict into a way to reconcile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That alone is a great honor. It will go down in history. So, at a time like this, it would be better to push for one person like that, and for the rest to refrain from running. If we’re going to amend the constitution, it would be better to do it quickly. That’s what I think.

▲ Kim Neung-gu> Because I have another chance.

△ Hwang Jang-soo> Yes, I have another chance. It’s possible to organize it that way. Rather, it could be that this time, among the conservative candidates, someone who promises it should come forward and do it. I personally would argue that it should go that way.

▲ Kim Neung-gu> It won’t be easy to do all those things in a month, though.

△ Hwang Jang-soo> If you look at the conservatives’ behavior, they say, “You’re great, I’m great,” and that’s not possible. So, Yoon Tong-soo foresees that, and as someone who stepped down, there’s no such thing, but I agree that Korean politics needs to be reformed. If there’s reform, if there’s a constitutional amendment, let’s sort things out, right? So if Yoon Tong-soo pushes for that kind of person, and then the hard-line conservatives who support Yoon Tong-soo accept that, then it can be sorted out easily, rather.

▲ Kim Neung-gu> Yoon Tong-soo also tried to start from the third zone last time, but he suddenly joined the People’s Power Party. He joined the party and became the presidential candidate in an instant. So if there’s a national candidate who fits that description, if we go through that process, it can happen simultaneously. Joining the party, supporting, and things like that.

△ Hwang Jang-soo> This time, Yoon Tong-soo stands in fro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fact, if you talk about constitutional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s, do you think they’ll impeach or not? I think he might have just made a fuss about that. So, after the impeachment is approved, if you throw that part into the mix and say, “Do this,” it could proceed in this manner.

▲ Kim Neung-gu> I think the next interview will be after the impeachment decision, and the current prediction is that it could be 8:0 or even 6:2, so it’s unlikely that the impeachment will be approved, but there could also be unexpected variables.

△ Hwang Jang-soo> Yes, but it’s realistic to think that it’s likely to be approved.

▲ Kim Neung-gu> Then, the 60-day long journey will begin, so I’ll see you again then.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