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승(大勝) 가능성에 '부자 몸조심'... 3권장악 절대권력 두려움 불식시켜야”
“대선 이후 보수 정계개편 불가피... 이준석 15%이상 득표로 정계개편에 역할해야”

[폴리뉴스 김능구 발행인, 정리 서경선 기자]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와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은 16일 폴리뉴스 스튜디오에서 가진 '직언직썰'에서 조기 대선 시 대선 판세와 후보 동향을 전망하는 대담을 가졌다.
“이재명 대승(大勝) 가능성에 '부자 몸조심'... 3권장악 절대권력 두려움 불식시켜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18일 대구 북구 사회혁신커뮤니티연구소 협동조합 소이랩에서 열린 K-콘텐츠 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04/690288_500501_4237.jpg)
▲ 김능구> 이번 조기 대선에서는 이전에 70% 이상, 76% 했던 이런 투표율은 어렵고, 지금 제 감으로는, 이건 감입니다, 그냥. 촉으로는 60~65% 정도.
△ 장성철> 이명박 때 그 정도 나왔었나요, 60% 초반?
▲ 김능구> 아마 그 정도일 겁니다. 조선일보에서 정확한 칼럼을 썼어요. 뭐라고 썼냐 하면 국힘이 50만 표 이기거나, 500만 표 이상 대패하거나. 지금 예측은 후자죠. 대패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니까 51:49가 아니라, 이재명 대표가 야당 연합 오픈 프라이머리도 안 하고 그리고 당에서 요구했던 오픈 프라이머리, 당내 오픈 프라이머리도 안 하고 그리고 김경수 후보 같은 경우는 6개월에 한 번 당비 낸 사람이라도 선거인단에 투표권을 줬으면 좋겠다, 당원 50%에. 그런데 그것도 안 하고, 그냥 기존대로 밀어붙이잖아요. 후보 토론회도 두 번만 합니다, 경선에. 우리가 흔히 하는 말은 부자 몸조심이고, 혹시라도 돌발 변수를 줄여야 되는. 그렇기 때문에 그런 상황이 벌어지는 장 자체를 회피하는 것도 전략인 거죠. 97년도부터 대선 후보들의 TV 토론이 있었어요. 그런데 그전에도 할 수 있다고 돼 있어요. 그런데 YS는 92년도에 안 했어요. 그렇게 요청했는데도 안 했어요. 왜냐? 그게 전략입니다. TV 토론 나왔다가는 오히려 안 한다고 욕 얻어먹는 것보다는 해서 문제 되는 것, 그때 무슨 변수가 생길지 모른다고 해서 안 하는 걸 전략으로 삼았거든요. 아주 탁월한 선택이었죠.
△ 장성철> 그렇죠. 그때 전술핵, 원자로 막 하면서 "모르는 거 아니야!"···
▲ 김능구> 그러니까 이재명 대표도 뭐가 나올지 모르죠, 실제로. 그래서 그런 여지를 차단한 건데 그 원인이 바로 이번 대선이 가장 낮은 투표율의 500만 표 이상의 보수의 대패, 본인의 대승이 예측되기 때문에 돌발 변수의 여지를 없애는, 그렇게 방향을 잡고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여러 군데서 문제 제기가 있었지만, 이재명 후보가 큰 정치를 해야 된다. 왜냐하면 제가 이야기하는 게 조기 대선이든 뭐든 대선이라는 것은 향후 대한민국의 5년간 운명을 결정짓는 사람을 뽑는 거거든요. 그걸 계기로 해서 지금까지를 평가하고, 앞으로 어찌 나갈 건지 설계도를 국민들한테 내놓고, 그게 5년으로 끝나는 게 아니잖아요. 조기 대선이라고 해서, 그리고 대승이 예상된다 해서 그냥 지나가서는 안 된다. 왜 비상계엄이라는 정말 구시대적인 이런 현상이 왜 벌어졌는지부터 시작해서, 그리고 이재명 대통령이 되면 막강한 의회 권력에다가 행정 권력에다가 또 사법부까지도.
△ 장성철> 독재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김능구> 국힘에서는 벌써부터 공포 마케팅을 하고 있잖아요.
△ 장성철> 공포스러워요, 사실은.
▲ 김능구> 그러니까 그 부분에서 국민들을 안심시켜야 되는 거예요.
△ 장성철> 맞아요, 옳으신 말씀이에요.
▲ 김능구> 본인이 개헌이 됐든 정치 개혁이 됐든 모든 부분에 있어서, 문재인 정부 시즌 2가 되면 안 되거든요. 그때 보면 각 부처에 적폐청산위원회 같은 걸 설치했어요. 제가 알기로는 KBS에서도 그걸 설치했어요. 설치해서 사람들···
△ 장성철> 정상화위원회 막 이런 거.
▲ 김능구> 그런 걸 해서 다 불러서 뭐 했냐고, 지난 시절에. 그래서 반성문 아닌 반성문을 받게 하고, MBC에서도 그랬어요. 그것뿐만 아니라 각 부처마다, 정부 부처마다 그런 걸 다 했고, 그래서 적폐 청산한다고 세월을 다 보냈어요. 그래서 그건 안 된다, 이번에는 정말 족집게 외과 수술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봐요. 내란이라든지 그리고 김건희 특검, 명태균, 채 해병 특검. 이런 부분들도 딱 거기에 핵심들만 압축해서 그것을 외과 수술로 도려내고, 나라 전체는 미래를 보고 함께 손잡고 나가야 된다.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합의제 정치를 이뤄내는 게 가장 큰 주어진 과제 아닌가. AI에 100조 투자한다는데··· 한동훈 대표는 200조 투자한다 했죠. 그건 전문가들이 다 알아서 그 부분들을 내다보고 있고 또 그건 서로 결정해서 나가면 됩니다. 그런데 우리 정치가 정말 전쟁 벌이듯이 이렇게 서로 간에 하면 항상 반동을 불러일으키게 돼 있어요. 사람이 자기 죽는데 가만히 있을 놈이 누가 있겠어요. 그래서 상생하는 합의제 정치의 제도와 실제적인 모습, 오늘 <유시민의 알릴레오>입니까? 거기에서 대담 인터뷰한 걸 방송에서 틀었는데 자기는 정치 보복할 생각은 1도 없다고 이야기하고 있어요. 그 부분을 국민들이 제일 주목하니까 그것도 물어보고 답한 거거든요. 그러면 실제 경선 과정에서부터 보여줘야 되는데 첫 출발은 아닌 거죠, 민주당 경선을 저렇게 하는 건. TV 토론이나 이런 데서 그 모습을 보여줘야 됩니다.
△ 장성철> 옳으신 말입니다. 대한민국 국민들이 독재에 대한 근본적인 거부감과 두려움이 있어 보여요. 말씀하신 것처럼 입법·사법·행정. 대한민국이 삼권 분립의 나라인데 그것을 한 진영과 한 정당이 또 이재명이라는 대통령이 손아귀에 지고 있다고 하면 국민들이 또 어떻게 판단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먼저 권력을 내려놓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좋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드네요.
“대선 이후 보수 정계개편 불가피... 이준석 15%이상 득표로 정계개편에 역할해야”
![개혁신당 대선 후보인 이준석 의원이 17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퇴근길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04/690288_500500_423.jpg)
▲ 김능구> 이번 대선에서 만약에 뭔가 변화의 그게 있다면 아까 말한 김문수가 후보가 되고, 한덕수가 출마해서 단일화되는 그게 아니라, 합리적 보수가 거기에 끼어들 틈이 없다고 그랬잖아요. 그건 투표율 저하와 민주당의 대승으로 끝날 거라고 했고, 그게 변화할 수 있는 건 딱 하나예요. 이준석 카드다.
△ 장성철> 변수가 될까요?
▲ 김능구> 예, 저는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지금 3자 대결에서 거의 10% 내외가 나오고 있어요. 이건 쉽지 않은 겁니다. 당은 거의 1% 지금 나올까 말까 한 상태고, 본인도 막판에는 허은아 대표랑 여러 가지 그것도 있었고, 기스도 나고 했는데 여전히 그 10%가 거기에 답하고 있어요. 그거 어떻게 보십니까?
△ 장성철> "이재명 싫어." 그다음에 "윤석열 당인 국민의힘 싫어." 그런 분들이 "그래? 그러면 여기도 싫고 저기도 싫으니까 대한민국 미래, 정치의 미래 이준석 찍어줄까? 관심 가져볼까?" 그런 단계인 것 같아요. 그러니까 지금 나오는 여론 수치가 높을 수도 있고, 아니면 낮을 수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그거는 이준석 대표가 하기 나름인 부분도 있지만 양당이 정말 얼마나 negative한 정치에 신물이 나는 국민들이 보기에 그러한 경선이나 본선 과정을 거치게 되면 상대적으로 이준석 후보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아질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이준석 후보는 기본적으로 15%가 목표가 되어야 할 것 같아요, 안정적으로.
▲ 김능구> 이준석 후보가 이번에 본선 출마한다면 최연소, 이번 3월에 만 40세가 넘어가서 출마 자격이 부여되는 거잖아요. 대선은 만 40세 이상이니까. 그래서 아마 최연소 출마자가 될 건데 여기에 보면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의 3자 대결을 한국 갤럽에서 나온 게 45:29:14 나왔어요.
△ 장성철> 14는 상당히 큰 거죠.
▲ 김능구> 아주 높은 거죠. 그런데 18~29세까지, 즉, 20대에서는 26% 나왔어요. 이재명 대표 36, 김문수 12, 30대에서도 20% 나왔어요.
△ 장성철> 많이 나왔네요.
▲ 김능구> 많이 나왔죠? 국힘 후보는 거의 다 15% 내외가 나왔어요. 그러니까 이건 3지대를 기웃거리는 분들이라든지 이런 사람들한테는 꿈의 수치입니다. 왜냐하면 10% 이상이 나오면 후보 자격을 국민들로부터 동의받은 겁니다.
△ 장성철> 두 자리 숫자면 그렇죠.
▲ 김능구> 동의 받은 겁니다. 동의 받았기 때문에 큰소리 치는 거죠. 자기가 국회의원 당선된 데 어디죠?
△ 장성철> 동탄.
▲ 김능구> 동탄식 선거를 치르겠다. 그때 국힘, 민주당 후보, 본인 해서 이겼잖아요. 그래서 이 동탄식 대선을 치르겠다.
△ 장성철> 대구·경북에서는 몇 프로 나왔어요?
▲ 김능구> 대구·경북에서는 19%.
△ 장성철> 많이 나왔네요.
▲ 김능구> 거기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27인데 이준석은 19 나왔어요. 지역으로 보면 제주도는 세 후보가 거의 비슷하고요. 대구·경북에서 제일 높게 나왔어요, 19%. 하여튼 간에 이준석 후보는 이번 조기 대선에서 하나의 빅카드다. 저는 그렇게 보이고, 어떤 면에서는 한덕수 총리가 출마하는 게 아니고, 출마 가능성도 불투명하잖아요.
국힘 후보가 나오면서 이준석 후보를 둘러싸고 3지대가 모여서 이 3지대와 국힘이 보수 진영의 단일화를 이루어낸다면 이건 아까 말한 대로 합리적 보수를 안을 수 있잖아요. 3주 전만 하더라도 어떤 이야기들이 여의도에서 많이 들려왔냐 하면 문재인 정부의 3총리, 이낙연, 정세균, 김부겸. 3총리 플러스 이준석, 플러스 유승민. 이런 3지대가 후보를 내고, 이 후보와 국힘 후보. 그런데 국힘 후보는 극단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자기들 때문에 대선이 있었으니까 귀책 사유가 있기 때문에 후보를 안 낸다, 이렇게 해서 오히려 3지대 후보를 지지, 지원하는 이런 모습으로 일대일 대결이 있을 때는 모른다. 이게 소설이죠. 소설인데 그런 이야기들이 막 돌아다녔었어요.
그런데 정세균, 김부겸 총리는 민주당을 떠나기 어려울 것이다, 저는 그렇게 봐요. 그래서 그건 안 된다. 일대일 되면 어쩌냐고 저한테 자꾸 물어봐요. 그런데 돼도 않는 가설에서 별로 이야기하기 싫다, 내가 그런 말을 한 적이 있는데, 이준석 후보가 이낙연 후보랑 작년 총선 전에 합했다가 떨어졌잖아요. 그 가능성은 여전히 있다. 이낙연 총리가 자기는 대통령 될 꿈은 접었다는 이야기도 많이 들었어요. 그렇지만 무언가 반명 연대라는 게 무조건 국힘 중심의 반명 연대는 실패한다고 봐요. 반명 연대가 만약에 이루어진다면 국힘이 아니고 개헌 연대와 미래 연대로서 다른 사람들이 중심이 되는. 그래서 다크호스로 이준석 후보가 그 중심이 된다면 반명 연대가 힘을 얻는다는 거예요. 자기는 반명 연대에 대해서 부정했어요. 뭐에 대한 반대하는 것이 성공한 적이 없다고 봤는데 실질적으로 그런 모습이 이루어져서 500만 표 이상의 대승이 예상되는 이재명 후보한테 맞설 자는 누구냐, 맞설 세력이 어디냐고 했을 때는, 그게 역동적으로 만들어진다면 그때 가서는 이준석 후보가 15% 하고 차기를 위한 노림수가 아니라 급부상할 수 있다, 뭐 이런 이야기인데 어쨌든 간에 이준석 후보는 완주만 하더라도 의미가 있다.
△ 장성철> 그럼요. 완주만 해도 성공적이고, 더 성공적이려면 15% 이상 득표율이 나오고, 아니면 진짜 대통령 당선되면 대박이고.
▲ 김능구> 그렇죠, 제가 늘 이야기하는 건 진보와 보수는 좌우의 날개로 날아야 몸통인 대한민국이 잘 나가는 거거든요. 이후에 보수의 정계 개편은 불가피하다고 봅니다. 그때 역할을 하기 위해서라도 최선을 다해서 15% 이상을 득표하는 것이 모두를 위한 길이고, 그 과정에서 이준석 대표가 내놓는 어젠다와 이슈들은 미래 지향적일 겁니다. 그 부분의 토론이 이루어진다면 우리 대선에서도 정책 토론이 한번 기대됩니다.
△ 장성철> 지켜보겠습니다.
▲ 김능구> 이준석 후보한테 상당히 말을 아끼시네요.
△ 장성철> 저는 지난주에 1시간 반 정도 둘이 얘기도 해보고, 방송도 같이 찍었어요. 그래서 이준석 후보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잘 알고 있어서 대표님 말씀하시는 거에 전적으로 동의해서 제가 가만히 있었어요.
▲ 김능구> 그 이야기를 아주 짧게, 압축적으로 1분만요. 그러면 끝내겠습니다.
△ 장성철> 본인은 끝까지 완주하겠다, 단일화는 없다. 그런 식으로 얘기를 했고, 제가 농담처럼 이렇게 얘기했거든요. "나는 이준석이 대통령인 대한민국에서 살고 싶다." 그랬더니 "60일만 기다리시면 될 거예요."라고 하면서 이번 대선에서 상당한 자신감을 보였다고 생각이 들고, 제가 가장 눈여겨 본 건 대구에서 처음 선거 운동을 시작하고, 거기에 주민들의 마음을 얻겠다고 전략적인 판단을 한 건 정말 잘 선택한 거다. 대구에서 인정받아야 보수 우파 후보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잖아요. 그런 선거 전략들을 보면 앞으로 이준석 후보가 하는 선거 캠페인이라든지 메시지가 기대가 된다. 대표님하고 똑같은 생각이에요.
▲ 김능구> 5월 15일에 폴리뉴스가 주최하는 대선 전망 토론회에서 장성철 소장님과 함께 대선을 예측하고 전망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Kim Neung-gu and Jang Seong-cheol's Straight Talk, April ②] [Full Text] "Anti-Ming alliance, People Power Party-centered, will definitely lose... Lee Jun-seok must be the center of the storm"
"Lee Jae-myung's landslide victory is possible, so the rich should be careful... We must dispel the fear of absolute power"
"Conservative political realignment is inevitable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 Lee Jun-seok should play a role in political realignment by receiving more than 15% of the votes"
[Polynews Publisher Kim Neung-gu, Organized by Seo Kyung-sun] On the 16th, Polynews CEO Kim Neung-gu and Public Opinion Center Director Jang Seong-cheol had a conversation at the Polynews Studio in 'Straight Talk,' where they forecasted the presidential election landscape and candidate trends.
"Lee Jae-myung's landslide victory is possible, so the rich should be careful... We must dispel the fear of absolute power"
▲ Kim Neung-gu> In this early presidential election, it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the voter turnout rate of over 70%, 76%, as it was in the past, and in my opinion, this is just a feeling, it's just a feeling. The polls are around 60-65%.
△ Jang Seong-cheol> Was it around that level during Lee Myung-bak’s time? Early 60%?
▲ Kim Neung-gu> It’s probably around that level. The Chosun Ilbo wrote an accurate column. What it said was that the People’s Power Party would win by 500,000 votes or be crushed by more than 5 million votes. The current prediction is the latter. The possibility of a crushing defeat is increasing. So it’s not 51:49, but Representative Lee Jae-myung is not holding an open primary with the opposition party, nor is he holding an open primary or an open primary within the party that the party demanded. And in the case of candidate Kim Kyung-soo, he wants to give voting rights to the electoral college to those who paid party dues once every six months, 50% of party members. But he’s not doing that, and he’s just pushing ahead as before. He’s only holding two candidate debates, in the primary. What we often say is that the rich should be careful, and we need to reduce unexpected variables. That’s why avoiding the very situation where such a situation occurs is also a strategy. There have been TV debates between presidential candidates since 1997. But they said they could do it before that. But YS didn’t do it in 1992. He didn’t do it even though he was asked to do so. Why? That’s the strategy. Rather than appearing in a TV debate and getting criticized for not doing it, he decided not to do it because he didn’t know what variables might arise at that time. It was an excellent choice.
△ Jang Seong-cheol> That’s right. At that time, they were talking about tactical nuclear weapons and nuclear reactors and saying, “You don’t know!”···
▲ Kim Neung-gu> So, even Lee Jae-myung doesn’t know what will come out. That’s why he blocked that possibility. The reason is that this presidential election is predicted to be a landslide defeat for conservatives with the lowest voter turnout of over 5 million votes, and a landslide victory for him, so I think he’s taking that approach to eliminate any possibility of unexpected variables. However, although there have been issues raised in various places, Lee Jae-myung needs to do big politics. Because what I’m talking about, whether it’s an early presidential election or something else, a presidential election is about electing a person who will determine the fate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next five years. We should use that as an opportunity to evaluate the past and present a blueprint for the future to the people, and that doesn’t end in five years. Just because it’s an early presidential election and a landslide victory is expected, we shouldn’t just let it go. We should start with why this really old-fashioned phenomenon called martial law came about, and if Lee Jae-myung becomes president, he will have enormous legislative power, administrative power, and even the judiciary.
△ Jang Seong-cheol> I think he could become a dictator.
▲ Kim Neung-goo> The People’s Power Party is already doing fear marketing.
△ Jang Seong-cheol> It’s scary, actually.
▲ Kim Neung-goo> That’s why we need to reassure the people in that area.
△ Jang Seong-cheol> Yes, you’re right.
▲ Kim Neung-goo> Whether it’s constitutional amendments or political reforms, we can’t let it become Season 2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n any area. At that time, each ministry set up something like a committee for clearing out corruption. As far as I know, KBS also set up one. They set up people...
△ Jang Seong-cheol> A normalization committee, something like that.
▲ Kim Neung-gu> They called everyone in and asked what they had done in the past. So they received a letter of reflection that wasn't a letter of reflection, and MBC did the same. Not only that, each ministry, each government ministry did the same, and they spent all their time clearing out corruption. So I think that's not right, and this time, we really need to do surgical surgery. For example, the internal strife, and the special prosecutors Kim Gun-hee, Myeong Tae-gyun, and Chae Hae-byeong. We need to compress the core issues and surgically cut them out, and the entire country needs to look to the future and join hands. If Lee Jae-myung becomes president, isn't achieving consensus politics the biggest task? They say they're investing 100 trillion won in AI... Representative Han Dong-hoon said he's investing 200 trillion won. Experts are all aware of those parts, and they can decide on those things. However, if our politics really fight each other like this, it will always cause a backlash. Who would stay still while someone dies? So, the system and actual appearance of the mutually beneficial agreement politics, today's <Yoo Si-min's Galileo>? There was a bold interview on TV, and he said that he has no intention of political revenge. Since the people are paying the most attention to that, he asked and answered that too. Then, they should show it from the actual primary process, but it's not the beginning, doing the Democratic Party primary like that. They should show it in TV debates and such. △ Jang Seong-cheol> That's right. It seems that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have a fundamental aversion to and fear of dictatorship. As you said, the Republic of Korea is a country with three branches of government: legislative, judicial, and executive. If one faction and one party are in the hands of President Lee Jae-myung, I don't know how the people will judge it. So I think it would be better to first show that you are stepping down from power.
“Conservative political reorganization is inevitable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 Lee Jun-seok should play a role in political reorganization by receiving more than 15% of the votes”
▲ Kim Neung-gu> If there is any change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it is not that Kim Moon-soo becomes the candidate and Han Deok-soo runs for the unification, but that there is no room for rational conservatives to get involved. You said that it would end with a low voter turnout and a landslide victory for the Democratic Party, and there is only one thing that can change that. It is the Lee Jun-seok card.
△ Jang Seong-cheol> Will it be a variable?
▲ Kim Neung-gu> Yes, I think it can be. Right now, in the three-way race, it is coming in at around 10%. This is not easy. The party is barely getting 1% right now, and I also had various issues with Representative Heo Eun-ah at the end, and there were some scratches, but the 10% is still there. What do you think about that?
△ Jang Seong-cheol> "I hate Lee Jae-myung." Then, "I hate the People Power Party, which is Yoon Seok-yeol's party." Those people are like, "Really? Then, since I don't like this and I don't like that, should I vote for Lee Jun-seok, the future of politics and the future of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I be interested?" I think it's at that stage. So, the current public opinion figures could be high or low. That's partly up to Representative Lee Jun-seok, but I think that if the people, who are fed up with the negative politics of both parties, go through the primary or general election process, the interest in candidate Lee Jun-seok could relatively increase. However, I think candidate Lee Jun-seok should basically aim for 15%, steadily.
▲ Kim Neung-gu> If candidate Lee Jun-seok runs in the general election this time, he will be the youngest, and he will be over 40 years old in March, so he will be eligible to run. The presidential election is for those who are over 40 years old. So he will probably be the youngest candidate, but if you look here, the three-way race between Lee Jae-myung, Kim Moon-soo, and Lee Jun-seok was 45:29:14 according to Gallup Korea.
△ Jang Seong-cheol> 14 is quite a lot.
▲ Kim Neung-gu> It's very high. But among those aged 18-29, that is, in their 20s, 26% came out. Representative Lee Jae-myung 36, Kim Moon-soo 12, and even in their 30s, 20% came out.
△ Jang Seong-cheol> That's a lot.
▲ Kim Neung-gu> It's a lot, right? Almost all of the People's Power candidates came out around 15%. So this is a dream number for those who are hanging around the three major regions. Because if they get over 10%, they have received approval from the people to be a candidate.
△ Jang Seong-cheol> If it's a two-digit number, that's right.
▲ Kim Neung-gu> They received approval. They're making a big statement because they received approval. Where did you get elected as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 Jang Seong-cheol> Dongtan.
▲ Kim Neung-gu> I will hold a Dongtan-style election. At that time, the People's Power Party candidate and myself won. So I will hold this Dongtan-style presidential election.
△ Jang Seong-cheol> How many percent did you get in Daegu and Gyeongbuk?
▲ Kim Neung-gu> 19% in Daegu and Gyeongbuk.
△ Jang Seong-cheol> That's a lot.
▲ Kim Neung-gu> Even there, Lee Jae-myung got 27, while Lee Jun-seok got 19. By region, the three candidates in Jeju Island are almost the same. He got the highest in Daegu and Gyeongbuk, 19%. In any case, Lee Jun-seok is a big card in this early presidential election. I think so, and in some ways, Prime Minister Han Duck-soo is not running, and the possibility of him running is unclear.
As the People's Power candidate emerges, the three regions gather around candidate Lee Jun-seok, and if these three regions and the People's Power achieve a unification of the conservative camp, then this can embrace rational conservatism, as I mentioned earlier. Even three weeks ago, what kind of stories were often heard in Yeouido? The three prime ministers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Lee Nak-yeon, Chung Sye-kyun, and Kim Boo-kyum. The three prime ministers plus Lee Jun-seok, plus Yoo Seung-min. These three regions are nominating candidates, and this candidate and the People's Power candidate. However, the People's Power candidate, to put it extremely, is saying that the presidential election was because of them, so they are responsible for it, so they are not nominating candidates, and in this way, they are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three regions' candidates. This is a novel. It's a novel, but such stories were going around. However, it will be difficult for Chung Sye-kyun and Prime Minister Kim Boo-kyum to leave the Democratic Party. That's what I think. That's why they can't do that. They keep asking me what would happen if it were a one-on-one. But I don't really want to talk about the hypothesis that doesn't work. I said something like that before, candidate Lee Jun-seok and candidate Lee Nak-yeon joined forces before the general election last year. It fell.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I have heard many stories about Prime Minister Lee Nak-yeon giving up on his dream of becoming president. However, I think that an anti-Myeong coalition centered on the People's Power Party will definitely fail. If an anti-Myeong coalition is formed, it will not be the People's Power Party, but other people will be at the center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coalition and the future coalition. So if Lee Jun-seok, a dark horse, becomes the center, the anti-Myeong coalition will gain strength. I denied the anti-Myeong coalition. I thought that opposing something has never been successful, but when I asked who would stand against Lee Jae-myung, who is expected to win a landslide victory by more than 5 million votes, and what kind of force would stand against him, if it is created dynamically, then Lee Jun-seok could get 15% and rise suddenly, not as a ploy for the next term. In any case, even if Lee Jun-seok runs the race, it is meaningful.
△ Jang Seong-cheol> Yes. Just completing the race is a success, and to be even more successful, you need to get over 15% of the votes, or else you can really get elected president and it’s a jackpot.
▲ Kim Neung-gu> That’s right. What I always say is that progressives and conservatives need to fly on the wings of the left and right for the main body, the Republic of Korea, to do well. I think that a conservative political reorganization is inevitable in the future. In order to play a role at that time, we need to do our best to get over 15% of the votes, which is the path for everyone, and in the process, the agenda and issues that Representative Lee Jun-seok presents will be future-oriented. If there is a discussion on that part, I look forward to a policy discussion in our presidential election.
△ Jang Seong-cheol> I’ll watch.
▲ Kim Neung-gu> You’re being quite reserved with candidate Lee Jun-seok.
△ Jang Seong-cheol> Last week, we talked for about an hour and a half, and we filmed a broadcast together. So I know what candidate Lee Jun-seok thinks, so I completely agreed with what the representative said, so I stayed quiet.
▲ Kim Neung-gu> Let me briefly and concisely talk about that for just one minute. Then I’ll finish.
△ Jang Seong-cheol> He said that he would run to the end, that there would be no unification. That’s what he said, and I said this as a joke. “I want to live in the Republic of Korea where Lee Jun-seok is the president.” He said, “You just have to wait 60 days.” I think he showed a lot of confidence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and what I noticed the most was that he made a really good strategic decision to start his campaign in Daegu and win the hearts of the residents there. He needs to be recognized in Daegu to establish himself as a conservative right-wing candidate. When I see those election strategies, I look forward to Lee Jun-seok’s future campaign and message. I think the same as you, sir.
▲ Kim Neung-gu> On May 15, we will have time to predict and forecast the presidential election with Director Jang Seong-cheol at the presidential election outlook debate hosted by Polynews. Thank you.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김능구·장성철의 직언직썰 4월①][전문] “한덕수와 국민의힘 단일화는 성사도 성공도 어려워”
- [김능구·장성철의 직언직썰 4월①] “국민의힘, 진정한 사죄없이 대선모드 전환…최저투표율로 이재명에 대패 예상”
- [김능구·장성철의 직언직썰 4월②] “이재명, 대승(大勝) 가능성에 부자 몸조심…합의제 정치가 가장 큰 과제”
- [폴리TV][김능구·장성철의 직언직썰 4월①] “한덕수와 국민의힘 단일화는 성사도 성공도 어려워”
- [폴리TV] [김능구·장성철의 직언직썰 4월②] “反明연대, 국힘 중심은 필패... 이준석 중심이어야 돌풍”
- [폴리Shorts] “이준석 15% 돌풍 시 보수 재편 주도” #직언직썰
- [폴리Shorts] “국힘 주도 反明연대는 필패... 이준석 중심이면 돌풍“ #직언직썰
- [폴리Shorts] “이재명, 역대급 대승 전망“ #직언직썰
- [폴리Shorts] “김문수·한동훈·홍준표 3강, 나경원·안철수 4위 경쟁” #직언직썰
- [폴리Shorts] “국민의힘 반성·사과없이 이재명 심판만 반복” #직언직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