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선의 시대정신은 민주주의 다시 세우는 것”
“단일화 파행은 김문수의 착각, 한덕수의 오만, 친윤의 당권욕이 빚어낸 블랙코미디”
“국민의힘, 후보 내지 말고 反이재명 보조 역할 머물렀어야... 보수 폐족 선언해야”
“이준석, 한덕수 이길 수 있어야 빅텐트 참여... 완주하고 대선 후 보수 재편 노려”

[폴리뉴스 대담 김능구 발행인, 정리 서경선 기자]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와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특임교수는 7일 오후 폴리뉴스 본사에서 2025년 5월 정국진단을 진행했다. 김 대표와 차 교수는 김문수와 한덕수 단일화를 둘러싼 갈등의 원인과 배경을 진단하고 전망하는 대담을 가졌다.

7일 오후 김능구 대표(오른쪽)와 차재원 교수가 폴리뉴스 본사 스튜디오에서 정국진단 대담을 하고 있다.
7일 오후 김능구 대표(오른쪽)와 차재원 교수가 폴리뉴스 본사 스튜디오에서 정국진단 대담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 후보 내지 말고 反이재명 보조 역할 머물렀어야... 보수 폐족 선언해야”

▲ 김능구> 10일, 11일이 대선 후보 등록일이죠?

△ 차재원> 예, 10일, 11일 이틀간이 대통령 후보 등록입니다.

▲ 김능구> 직전에 나온 여론조사도 역시 이재명 민주당 후보가 독주하고 있는 양상이고, 김문수랑 한덕수랑. 왜 그렇다고 보십니까?

△ 차재원> 단일화 문제 때문에 상당히 진통을 겪고 있죠.

▲ 김능구> 후보를 토요일에 뽑았는데 이틀 뒤부터 단일화해라, 마라, 지금 난리입니다.

여론조사에서 왜 김문수, 한덕수 후보를 넣었을 때 차이가 없느냐, 그건 양자 대결로 이준석 후보를 넣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왜 차이가 없느냐, 이런 부분에서 말씀을 주셨는데 저는 그렇게 봅니다. 뭐냐 하면 역대 대선에는 시대 정신이 있지 않습니까? 대통령 선거라는 것은 그 시기에 그 나라가 당면한 모든 문제와 그걸 풀기 위해서 어떤 사람, 어떤 세력이 필요하다라는 부분을 정확하게 국민이 선택하고, 판단을 해 왔다고 합니다. 그런 부분에서 욕심이 지나쳐서 오버한 경우도 있죠. 예를 들면 첫 번째 직선제 선거였던 87년도에 YS, DS가 민주 두 양대 세력의 단일화를 못하는 바람에 합하면 28%, 26%. 54%를 받았는데도 36%를 받은 노태우 대통령한테 뺏겼어요. 그 이후로 보면 IMF 위기에서 김대중 대통령이라든지, 새로운 정치를 요구했을 때 노무현 대통령이라든지, 그리고 경제가 어려워서 경제 대통령을 정말 요구하는 민심이 있을 때 이명박 대통령이라든지, 그리고 사회가 뭔가 혼란스럽고 이럴 때 그래도 저 사람은 곧은 정치를 하지 않을까, 기대 속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나왔던 거거든요. 윤석열 대통령은 뭡니까? 본인이 공정과 상식을 이야기하니까, 실제로 20~30대에서 이전에는 보수정당 후보에 그런 지지가 없었죠. 그 속에서 0.73%p차이로 된 거잖아요. 그러니까 그때도 보면 심상정 정의당 후보가 6% 받아서 우리나라가 결선 투표제가 있었으면 억울한 욕도 안 얻어먹을 건데 어쨌든 6% 받아서 0.73%로 진 데 대해서 가장 책임자다, 사후에 그런 얘기가 있었지만 실제로 그때 후보 단일화를 제대로 안 했어요.

그렇기 때문에 그렇게 된 건데 역대 대선은 각각이 어쨌든 그 시점에서, 그 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어젠다를 풀어줄 사람, 세력을 선택하는데 지금 이번 대선은 뭡니까? 느닷없이 조기 대선이 됐는데 이건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이라는 정말 박물관에 가 있을 그걸 끄집어내서, 또 그것도 계엄령이면 계엄에 맞게, 헌법에 맞게 해야 되는데 그것도 순 엉터리로 했어요. 그다음에 박근혜 대통령은 그래도 국정농단 이후에는 조용히 있었어요. 탄핵 과정에 들어가고 나서는 조용히 있으면서 헌법재판소 결과를 기다렸잖아요. 그런데 이건 매일같이 광화문에서 난리를 치고, 도대체 누가 잘못했는지 이걸 헷갈리게 만들면서 헌재 재판을 해서 탄핵되고 나서 사저 집에 돌아가면서 승리했다고, 이기고 돌아왔다고. 그거 보고 아마 사람들 전부 다 돌아버렸어요. 바로 그 가운데서 벌어지는 선거라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이번 대선에서 그 무엇보다도 땅에 진짜 처박힐 뻔했던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다시 세우는 것이 시대정신입니다. 우리가 그 민주주의를 위해서 얼마나 피를 흘린 민족입니까? 4·19부터 시작해서 5·18 광주 그다음에 6·10 그다음에 모든 노동 현장과 이 속에서 세월호. 이런 피를 흘린 민족의 나라인 민주주의를 그냥 내팽개쳐서 그 속에서 벌어지는 대선이기 때문에 한덕수 총리가 왜 김문수 전 장관보다 월등하게 안 나오느냐? 이 사람은 2인자였잖아요. 2인자를 2년 반 동안, 사실 본인은 탄핵 안 당했다 하더라도 살아났잖아요. 안 당했더라도 정말 자기 말마따나 50년 공직을 정말 공명한 선거, 공정한 선거를 치르고 그다음에는 석고대죄하고 있어야 돼요. 그런데 어떻게 다시 나라의 운명을 맡겨 달라고 나오는지 도무지 이해가 안 되는 거예요. 어제 관훈토론회를 계속 봤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봤어요. 말 잘하시데요, 보니까.

△ 차재원> 토론에 강점 있다고 자신이 여기고 지금 그거 믿고 나온 거 아니에요.

▲ 김능구> 그러니까, 강력할 때는 강력하게 하고, 토론의 기본이잖아요. 나긋나긋할 때는 나긋나긋하게 하고 잘하더라고요. 그런데 우리 국민들이 바보입니까, 대한민국 국민들이? 그래서 그게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겁니다. 한덕수 후보의 대선 출마를 반대하는 게 60~70%입니다. 도대체 이런 국민들의 민심을 알면서 왜 나오려고 하는 거예요? 어떻게 보십니까?

△ 차재원> 제가 지지난 주였죠. 폴리뉴스 칼럼에 한덕수 출마에 대해서 이렇게 썼습니다. '국민이 그렇게 만만한가?' 제목을 달았었는데 국민들의 눈높이에서 봤을 때 정말 말이 안 되는 정치적인 행보를 하고 있는 거지 않습니까? 어떻게 보면 55년의 공직에서 누릴 거 다 누렸잖아요. 장관부터 시작해서 부총리에다가 총리 두 번에다가 주미대사까지. 아마 대한민국의 헌정 역사상 이 정도의 화려한 커리어를 가진 사람은 단 1명도 없을 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딱 하나 못했잖아요. 그게 바로 대통령인데 지금 나온 것은 자기가 어떤 이야기를 한다 하더라도 결국은 자신의 입신양명을 위한 것밖에로 설명이 안 되잖아요. 앞서 말씀하신 것처럼 윤석열 정권이 비상계엄으로 인해서 스스로 자폭한 측면이 분명히 있지만 윤석열 정권이 계속적으로 간다고 하더라도 지난 정권을 어떻게 성적표를 매길까요? 지금 사실상 경제가 파탄 났잖아요. 그리고 외교 안보에 있어서도 잘했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지만 소위 말하는 균형 외교가 무너짐으로 인해서 북러가 밀착되는 그러한 안보 위기를 온 측면도 분명히 있거든요. 그런 측면에서 봤을 때는 한덕수 예비 후보는 석고대죄를 해도 모자랄 판인데 여기에 나온다 하니까 국민 여론조사를 보면 출마 반대 여론이 60%가 넘는 상황이 계속적으로 나오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이 나오는 이유는 뭐겠습니까? 첫 번째는 자기가 대통령 후보로 나오고 하면 아직 내란 관련된 수사가 완전히 종결되지 않았거든요. 그 부분에 있어서 일단 꼬리표를 뗄 수 있고, 향후 진행되는 수사에 자기가 대통령이 되면 그걸 돌파할 수 있다고 보는 거죠. 두 번째는 이번에 내란 세력이라고 일컬어지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친윤, 그리고 지금 국민의힘 당 지도부까지 한 몸이 돼서 한덕수를 밀고 있잖아요. 이런 걸 본다고 한다면 이번 대통령이 탄핵되고 석고대죄를 해도 모자랄 판인데 자신들의 정치적 기득권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한덕수하고 짬짬이를 한 것이 아닐까라는 의구심이 저는 상당히 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또 본인 스스로가 상당히 착각을 하고 있는 거예요. 지금 트럼프발 관세 전쟁과 관련해서 이 상황에서 내가 지금 통상전문가고, 내가 미국 통인데 이 정도 커리어면, 잘하면 대통령 선거 내가 이길 수 있어. 그런 일종의 착각과 오만 속에서 이런 무모한, 말도 안 되는 정치적 행보를 함으로써 오히려 지금 공당인 국민의힘에서 선출된 후보가 완전히 낙동강 오리알이 되고, 여기에 반발하는 것 때문에 보수의 입장에서는 이번 대선은 그냥 해보나 마나 한 그런 선거의 결과를 갖고 올 수밖에 없는데 여기의 가장 큰 원인 제공자가 바로 한덕수 예비 후보입니다.

차재원 교수는 “지금 국민의힘 당 지도부가 자신들의 정치적 기득권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한덕수하고 짬짬이를 한 것이 아닐까라는 의구심이 든다.”라고 말했다.
차재원 교수는 “지금 국민의힘 당 지도부가 자신들의 정치적 기득권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한덕수하고 짬짬이를 한 것이 아닐까라는 의구심이 든다.”라고 말했다.

▲ 김능구> 그래서 어떤 면에서 보자면 이번 조기 대선을 무투표 당선할 수는 없으니까 선거를 치르려고 한다면 국민들한테 어떻게 해야 되는가, 제가 전에도 이야기해 드렸지만 국민의힘이 좋은 당헌·당규를 지켜왔잖아요. 보궐선거에 귀책 사유가 있으면 후보를 내지 않는다. 국힘은 후보를 내지 말고 깨끗이 그렇게 정리했어야 된다고 봐요. 깨끗이 그렇게 정리하고 그리고 이재명의 노선과 정책에 반대하고, 이재명 포비아에 가는, 예를 들면 이재명에 대항할 사람들이 있다. 그러면 그 몫은 그 사람들한테 줘야 돼요. 그러면 거기에 국민의힘은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거죠. 자기들도 투표는 안 할 수 없고 그런 거니까. 그랬을 때 정책 연대를 한다든지 뭐 이렇게 하는 거고, 그런데 후보가 한덕수 총리라는 것은 블랙코미디도 아닙니다. 예를 들어서 잼버리 있잖아요.

△ 차재원> 네, 전북 잼버리에서.

▲ 김능구> 잼버리 거기에서도 그때부터 총리 내놓는다 했는데 대안이 없다고 했고, 가까이는 작년에 총선 끝나고 나서 아예 본인도 총리…

△ 차재원> 사의를 밝혔죠.

▲ 김능구> 밝혔잖아요. 그런데도 도무지 국회에서 통과될 사람이 없다, 청문회를 헤쳐 나갈. 다 사양했다잖아요. 그래서 지금까지 온 겁니다. 잘해서 온 게 아니고, 바뀌어도 몇 번은 바뀌어야 되는데 대통령을 하겠다? 헌재에서 탄핵이 안 된 건 다른 이유죠. 그 당시만 해도 내란에 대해서 제대로 수사된 게 없잖아요. 그래서 내란으로 인해서 헌재 재판관 임명 안 했다고, 그 부분에 대해서 헌재에서 기각시킨 거지, 그런데 이분이 경기고등학교, 서울대 나왔어요. 그러면 옛날에 우리나라에는 'KS' 해서 최고의 엘리트들입니다. 그래서 지금 나는 최고의 엘리트 집단, 윤석열 전 대통령을 떠나서, 윤석열도 서울대잖아요. 이 최고의 엘리트 집단 또 어떤 면에서는 그게 우리나라의 전부 다 가진 자라고 볼 수도 있겠죠. 결합된 분들이 이재명은 도저히 인정 못하겠다. 그래서 나섰고, 거기에 나서려고 하니 그래도 그 욕망을 갖고 있는, 대통령 외에는 다 한 욕망을 갖고 있는 한덕수를 어떻게 구워삶았든지 네 밖에 없다고 하니까 이분이 착각에 빠져서 나온 거 아니냐. 어제 보니까 아내가 무속인이라 하니까 거기에 대해서 아주 강력하게 부정하더라고요. 그러니까 윤석열하고 대통령하고의 인연도, 김건희 여사랑 부인과의 관계, 무속의 관계, 뭐 이런 이야기도 많잖아요.

제가 만약에 그분 조카였으면, 후배였으면 정말 공정한 선거를 하고, 안 그래도 지금 흙탕물 다 뒤집어썼지만 그래도 이거라도 헌법이 정한 길이니까 하시고 그걸 마저 하는 게 좋겠다고 말했을 겁니다. 나는 50년 공직을 마감하겠다 해서 그런 뜻인 줄 알았어요. 그런데 지금 이렇게 나오는 건… 제가 전에 한번 이야기했잖아요. 이재명 대통령 되는 데 1등 공신은 윤석열 전 대통령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에서 이재명 사법 리스크와 포비아는 한 방에 날아가 버렸죠. 국민들이 선택과 판단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게 만들어 버렸어요. 그런데 그걸 연장시키고 있는 사람이 한덕수라고 봅니다. 김문수 장관도 마찬가지라고 봐요. 그래서 이분도 탄핵 반대 집회에 나와서 계속 그랬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이런 사람들은 전부 석고대죄해야 합니다.

어제 관훈토론을 보니까 조갑제 보수 논객께서 나와서 유튜브 찍고 있던데 그분이 이야기한 대로 정말 보수는 이번에는 폐족을 선언해야 합니다. 그리고 중도 보수라든지 합리적 보수에서 나와서 빅텐트를 치고 한다면 그게 나름대로 거기에서 정책 대결도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어떤 세력과 연대하고 해 나가느냐, 저는 우리 정치가 이제는 합의제 정치를 하지 않으면 또다시 반복이라고 봅니다. 악순환의 반복이 되기 때문에 이번 대선 과정이 얼마나 국민의, 나라의 많은 자산과 힘이 투자되지 않습니까? 그런 의미 있는 효능성 있는 선거가 될 건데 그게 아니고 판을 이런 식으로 깔아버리면 이건 두 번, 세 번 내란하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 차재원> 맞습니다. 그런데 국민의힘과 기존의 집권 세력들은 일종의 반성 차원에서, 혁신적인 차원에서 정말 자신들의 기득권을 포기해야 되는데 포기하지 못하는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이 사람들이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설사 정권을 빼앗긴다 하더라도 자신 개인의 정치는 계속적으로 하고 싶은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들이 대선에서 진다고 하더라도 향후 당권 경쟁에서 우위를 가져가야 된다. 자신들의 정치적 포션을 빼앗기기 싫은 거죠. 그렇기 때문에 한덕수 내세워서 자신들이 이번에 선거를 주도하면서 다음에 대선 이후에, 대선에서 실패하더라도 차기 당권에서 당권을 잡아야만 내년의 지방선거 그리고 3년 뒤의 국회의원 선거까지 공세는 자신들이 확보할 수 있다고 보는 거죠.

국민의힘 108명의 의원들 중에서 수도권과 충청도는 거의 없잖아요. 영남에 다 있기 때문에 이 사람들 입장에서는 정권이 바뀌더라도 국회의원 선거는 자기가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고, 또 하나는 이번 선거에 자신들이 후보를 내야만 선관위에서 지원받는 게 기본적으로 200억이거든요. 거기다가 선거 비용을 쓰고 나면 또 거기서 보전받는 게 한 400억이 되니까 600억이라는 돈이 걸려 있는 겁니다. 이 돈을 놓치기 싫은 거예요, 이 기득권을 놓치기 싫은 거고.

또 하나 문제가 앞서 경기고, 서울대 나왔던 우리나라의 지배 엘리트들이 지금 이재명이라는 사람을 새로운 대통령으로 인정 못하겠다는 사고방식 자체가 저는 이번에 대법원의 판결에서 분명히 드러났다고 봅니다. 윤석열 정부 들어서서 대법원에 임명됐던 10명이 공교롭게도 그 사람들이 전부 이재명 후보에 대해서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을 했잖아요. 그 사람들이 과거 대법관을 선정할 때 항상 나오는 말, 서오남. 서울대 50대 남성이잖아요. 그 사람들이 위주가 돼서 그 사람들이 전형적인 대한민국의 지배 엘리트들이거든요. 그 사람들이 생각했을 때는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이야기했듯이 서울대 법대를 나온 지배 엘리트들이 소년공 출신의 대통령을 인정 못한다는 심리가 깔려 있는 거예요. 그런 기득권이 그대로 작용된 것이죠.

거기에다가 한덕수 후보가 출마하면서 내세운 명분이 개헌이잖아요. 개헌도 말이 안 되는 게… 개헌이 중요한 명분이 될 수 있어요. 우리가 제7공화국 열어야 된다는 이야기를 많이 해왔는데 그런데 본인이 뭐라고 이야기했냐면 나는 개헌은 분권과 그런 방향은 제시하고, 구체적인 내용은 국회와 국민이 토론하시라고 자기는 발을 빼버린 거예요. 자기가 대통령 되면 대통령이 차고 앉아 갖고 구체적인 거 하고 정치력을 발휘해서 가야 되는데 중요한 문제에는 발 빼고 나 빼고 당신들끼리 하라는 식으로 떠밀어버려요. 그건 말이 안 되잖아요. 그리고 한덕수가 지금 열심히 해명하고 있는 게 뭐냐 하면 내가 의원내각제 바라는 거 아닙니다, 이 이야기를 하고 있거든요. 그때 당시 개헌 이야기하면서 도대체가 분권은 어떤 방향을 이야기하는 건지 한마디 말도 안 했어요. 그러니까 일종의 뭐랄까, 구체성이 없이 그냥 던지는 거예요. 그리고 또 하나는 뭐냐 하면 대통령이 된다고 해서 개헌 됩니까? 개헌을 하면 대통령이 발의해서 바로 국민투표 못 부치잖아요. 국회를 거쳐야 되는데 국회에서 개헌 의결 정족수가 3분의 2잖아요. 200명이 넘어야 되거든요. 그러면 만약에 자신이 국민의힘 후보가 된다 하더라도 108명이면 약 90석이 넘는 의석을 갖고 와야 되는데 이걸 어떻게 할 것인지, 아무런 말이 없어요. 사실 2018년도에 2017년에 집권한 문재인 정부가 대통령 발의로 헌법 개헌안을 냈지만, 대통령이 앞장서서 했지만 당시 그때 3분의 1이 넘는 의석을 갖고 있던 자유한국당이 반대하는 바람에 투표 불성립으로 개헌이 안 됐잖아요. 자기가 대통령 된다고 무조건 개헌할 수 있는 게 아니거든요. 그러니까 이건 정말 얼렁뚱땅이에요. 이런 식의 이야기를 갖고 국민들에게 어필한다는 것이 진짜 말이 안 된다는 거죠.

▲ 김능구> 김문수 그리고 한덕수, 막 이러는 게 국힘 의원들이 대통령 진짜 만들려고 하기보다는 당권에 대한 욕심이 크다, 이런 말씀을 하셨고, 그게 주로 TK다 보니까… 윤상현 의원이 이야기했잖아요. 1년만 지나면 오히려 탄핵 반대한 사람 지지한다, 뭐 이런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실제로 어떻습니까? 

△ 차재원> 이번에 당내 경선에 나섰던 사람들 중에 4강에 올라간 사람이 김문수, 홍준표, 안철수, 한동훈이잖아요. 여기에 안철수 빼고 김문수 후보도 단일화 거부하고 이렇게 하는 것 중의 하나는 오늘 김문수 후보를 지지하는, 전직 의원이 200명이 넘게 지지를 했어요. 이분들이 왜 갑자기 지지를 했을까 생각해 보면 이분들도 소위 말하는 김문수 체제가 되면 뭔가 자신에게 정치적인 기회가 오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분명히 작용했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그거보다 또 하나는 홍준표 전 시장도 이번에 미국 간다고 그러잖아요. 많은 사람들이 지난 2017년도 대선에 나가서 떨어지고 난 뒤에 미국 가서 돌아오자마자 바로 당권에 도전해서 대표가 됐거든요. 그 코스를 답습하는 거 아니냐고 보는 사람도 있고, 또 하나는 한동훈 전 후보 같은 경우도 그저께 저녁이니까 먹방하면서 완전 당내 내홍 사태를 즐기는 듯이 이야기하면서 "그래도 여러분, 당원 가입 많이 해줘라. 그러니까 달에 1천 원밖에 안 된다." 이런 식으로 당원들을 지금… 이럴 줄 몰랐냐는 식으로 그러면서 완전히 강 건너 불구경 이야기하듯이 그렇게 이야기하는 걸 보면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이 상황에서 봤을 때는 각자가 전부 "이번 대선은 어차피 망했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 야당이 될 수밖에 없다. 제1 야당이 된다고 한다면 특히 강세를 갖고 있는 영남 쪽에는 강력한 공천권을 쥐면 그래도 어떤 식으로든 정치적 생명을 연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까 그런 것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그거와는 별개로요. 이번에 김문수, 한덕수 단일화와 관련 관련해서 이 내용이 이렇게 격해지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오늘 제가 방송에서 그 이야기했어요.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어보더라고요. 그래서 내가 당사자들만 애써 외면했던 예고된 결과 아니냐, 지금 3자가 잘못한 거 다 눈에 보이잖아요. 공당인데 국민의힘에서 민주적인 절차 안에서 선출된 후보를 아예 누군가가 될지 모르지만 그 사람은 무조건 한덕수하고 단일화해야 된다는 식으로 딱 스케줄을 만든 사람들이 쌍권 체제 아닙니까? 그리고 그 뒤에 있는 친윤들 아닙니까? 이게 말이 되는 거냐는 거예요. 그러니까 이게 어떻게 보면 정치적 업보죠. 당에서 공식적으로 선출할 법적 정당성을 갖고 있는 후보를 플랜 b로 해서 말 안 들으면 쫓아내서 전당대회 못 하도록 전국대회 같은 걸 통해서 갈아치우겠다는 거 아니에요, 3일 만에. 그러면 김문수 후보가 법적인 하자를 갖고 법원에다가 가처분 신청하잖아요? 100% 인용될 거라고 봅니다. 그렇게 되면 완전히 당이 망가지는 거예요. 그러니까 국민의힘이 그런 식으로 생각을 한다는 것 자체가 잘못된 거예요.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이 뭐라고 이야기했습니까? 아니, 우리가 왜 망했느냐. 권력에 줄 서서 망했다고 그러잖아요. 그런데 한덕수가 조금 지지율이 높게 나온다니까 거기에 또 줄 선 거예요, 공당의 원칙 다 무너뜨리고

김능구 대표는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은 헌정질서 회복이고 민주주의 회복이다”라고 말했다.
김능구 대표는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은 헌정질서 회복이고 민주주의 회복이다”라고 말했다.

“단일화 파행은 김문수의 착각, 한덕수의 오만, 친윤의 당권욕이 빚어낸 블랙코미디”

▲ 김능구> 본인도 그런 말한 것 같은데, 윤희숙도.

△ 차재원> 윤희숙이 그렇게 이야기했잖아요. 윤희숙이 그래놓고 지금 김문수 바꾸자고 그러잖아요. 말이 안 되잖아요. 그리고 또 하나는 김문수의 착각이죠. 김문수 후보는 뭐라고 생각하냐면 본인이 경쟁력이 있어서 된 걸로 완전히 착각하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아니, 내가 지금 공당의 후보고 한데 당장은 지지율은 떨어지지만 시간은 내 편인데 내가 본선에 가서 무소속으로 올라올 한덕수하고 붙으면 내가 돈도 있고, 조직도 있는데 내가 꿀릴 게 뭐가 있어?' 이런 생각을 하는 거예요.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화장실 들어갈 때하고 화장실 나올 때하고 다른 그런 측면도 분명히 있지만 김문수는 본인 스스로 완전히 업이 돼 있는 거예요. 아마 이분이 정치하면서 최고의 화양연화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그것도 있죠.

또 하나는 한덕수의 오만이에요. 한덕수 자신이 우리가 아까 이야기했듯이 윤석열 정권이 이렇게 파탄이 날 지경에 가장 큰 책임이 있는 사람인데 자기가 나는 대미 통상 제일 잘하고, 경제 제일 잘할 사람이니까, 자신 있으니까. 아니, 그럴 자신 있으면 그러면 국민의힘 경선에 들어와야죠. 경선에 안 들어오고 난 바깥에 있다가 너네도 다 끝나고 와. 그럼 나하고 단일화해서 나는 그거 밟고 나면 국민의힘 후보로 등록하겠다는 것 자체가 과정의 민주주의, 절차의 민주주의를 완전히 깔아뭉개고 있는 거잖아요. 이 3자의 잘못된 생각과 행동들이 현재 이 말도 안 되는 상황을 맞이하고 있는 겁니다. 누구를 탓하고 누구를 원망할 겁니까?

▲ 김능구> 저는 TK에서 선거 혁명이 일어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해 봅니다. 왜냐하면 금방 이야기한 대로 국힘이 이럴 수 있는 게 다수가 국힘 지역 국회의원들이고 그리고 TK는 이후에도 국힘 소속 후보들을 지지해서 당선시켜 줄 거니까, 지금 이런 어처구니없는 행위들이 벌어지고 있다는 거잖아요. 아까 한덕수는 국민이 만만하게 보이냐 하지만 그러면 TK 사람들은, 이건 자기 졸보보다 못한 거죠, 예를 들어서. 그래서 민주당이 그래도 대선 때 TK에서 9~10% 나오다가 지금은 아마 20%가 훨씬 넘었을 거라고 봐요. 그런데 이게 소선거구제다 보니까 안 되는 거예요. 그러니까 선거구제 개편, 이재명 대표가 그건 늘 이야기해 왔잖아요.

이번에야말로 진짜 목숨 걸어야 돼요. 민주당 의원들도 목숨 걸어야 돼요. 지난번에 DJ가 하려고 했는데 호남 국회의원들이 결사반대해서 못 했잖아요. 이번에는 꼭 해서 정말 지역을 배경으로 해서 끊임없는 진영 정치, 진영 대결 속에서 기득권이 고착화되는 양당 체제, 이게 문제의 본질이라고 봐요. 이걸 깨지 않으면 개헌을 하더라도 빛 좋은 개살구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이재명 대표가 이걸 해야 되고, 그다음에 국민의힘에 양식 있는 분들도 여기에 다 동참해야 돼요. 동참해서 나가야지, 그렇지 않고 윤상현 의원 말마따나 1년 지나면 다시 찍어준다? 옛날에 노무현 대통령이 한창 혈기 왕성할 때 그랬어요. 92년도 지방선거에서 민자당이 압승했어요, 3당 합당을 해서.

△ 차재원> 맞습니다, 압승했죠.

▲ 김능구> 그때 내가 직접 들었어요. 3당 합당을 한 민자당에 압승을 안겨준 국민들이 책임져야 된다. 뒤에서 사람들이 웅성거리더라고. 얻다 대고 유권자한테 그러냐고. '손님이 왕이다'처럼 '국민이 왕이다' 이거라는 모양인데 그게 아니라 민주주의는 국민이 책임져야 합니다. 그 업보를 결국 국민들이 받는 거잖아요. 지자체가 정말 온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경쟁을 갖고 행복하게 되고 하려면 자기들 대표를 잘 뽑아야 되는 거예요. 그 대표를 경쟁하게 만들고, 호남하고 TK 봐 보세요. 전부 특정 정당 깃발 들면 무조건 찍어주다 보니까 그나마 그래도 안철수가 국민의힘 3당 해서 다당제를 한 건 잘한 겁니다. 그런 다당제를 이재명 대표가 꼭 만드셔야 된다.

△ 차재원> 그게 바로 아까 합의제 정치로 나아갈 수 있는 하나의 조건이죠.

▲ 김능구> 그렇죠. 한덕수, 지금 예비 후보 등록한 모양인데요?

△ 차재원> 예비 후보 등록했습니다.

▲ 김능구> 이분이 어느 정도 넓힐 수 있을까요? 이낙연 총리하고도, 손학규 전 대표도 만났고.

△ 차재원> 손학규, 이낙연 그리고 정대철, 김종인, 소위 올드 보이들이잖아요. 올드 보이들이고, 이분들이 무슨 팬덤이 있습니까, 뭐가 있습니까? 그리고 본인이 출마 선언하고 첫날 서울 쪽방촌 가서 약간 쇼하고 그리고 광주 가고, 그거 말고는 아무런 행보를 안 보여주고 있는 거예요. 지금 뜬구름 위에 올라가 있는데 물론 원로들을 만나서 소위 말해 7공화국을 열어야 된다, 그런 이야기하는 건 좋아요. 문제는 본인이 지금 개헌 말고는 보여줄 수 있는 게 없는 거예요. 그러니까 본인이 50년 동안 공직에 있었다고 하지만 아까 말씀하신 대로 시대 정신이 헌정질서 회복이고, 민주주의 회복이라면 여기에 내가 뭘 할 것인가를 분명히 이야기해 줘야 되는데 대표적으로 문제가 뭐냐 하면 출마 선언하면서 개헌 이야기했잖아요.

개헌 이야기하고 바로 자기 꼭 개헌하겠다고 하면서 광주 갔는데 광주 5·18 묘역에서 딱 막혔잖아요. 막혔을 때 그러면 그때 그 이야기를 해야 되는 거예요. 내가 개헌하는데 5·18 정신은 개헌 전문에 반드시 명시하겠습니다, 그렇게 이야기했으면 그분들이 안 막았을 겁니다. 그런데 거기서 뭐 했나요? 광주 사태라고 그랬잖아요. 그런 몰 역사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사람이 아무리 개헌을 백날 이야기해 보고, 제7공화국 이야기해 본들 그 사람이 열어갈 새로운 공화국의 미래가 일반 국민들 눈에는 뻔하게 보이잖아요. 그게 한계라는 겁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8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후보 단일화 관련 회동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8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후보 단일화 관련 회동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준석, 한덕수 이길 수 있어야 빅텐트 참여... 완주하고 대선 후 보수 재편 노려”

▲ 김능구> 이준석 단일화에 합류할 것 같아요, 안 할 것 같아요?

△ 차재원> 이준석 후보는 합류할 가능성이 거의 없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 김능구> 없다?

△ 차재원> 왜냐하면 누가 단일 후보가 될지 모르잖아요. 국민의힘 쪽에 누가 단일화 후보가 될지 모르겠는데 만약에 김문수 후보가 버텨서 김문수 후보가 올라오잖아요? 그러면 김문수 후보는 계속적으로 탄핵에 반대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계엄 세력하고 자기가 선을 긋는다는 부분은 명분이 안 맞는 것이고, 또 한덕수 후보가 올라온다고 하면 일종의 하하 연대라고 하더라고요. 하버드 나왔다고 해서 하하 연대라 하는데 그건 진짜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생각하지만, 그래서 하버드 동문 모임에서 자주 만난대요. 어쨌든 그런 부분들이 부각되면 오히려 마이너스가 될 것 같고, 아마 이준석의 입장에서는 한덕수의 불쏘시개 역할은 절대 안 할 것 같아요. 김 후보 본인이 생각했을 때는 한덕수 후보하고 만약에 단일화를 하겠다고 나서는 순간 내가 한덕수를 밟고 올라갈 수 있다, 내가 단일 후보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있으면 할 거예요.

결국은 이번에 대선에서 나와서 자기가 이야기하는 게 동탄 모델이잖아요. 지난 총선 때 자기가 제3자로 나와 갖고 동탄 모델을 그렇게 이야기하면서 자기가 했던 그런 걸 이야기를 하는데 그게 설사 안 된다고 하더라도 자기 입장에서는 완주를 해야만 어차피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당선되고 난 뒤에 보수는 완전히 해체할 가능성이 높고, 그때 자신이 정치적 명분을 갖고 가기 위해서라도 독자 완주를 할 가능성이 높고, 단 하나는 만약에 한덕수 후보하고 붙어서 내가 저 사람을 이길 수 있다는 판단이 있으면 아마 할 거예요. 그렇지 않고는 할 가능성이 없다고 봅니다.

▲ 김능구> 그냥 상상력으로 이야기하자면 한동훈 전 대표가 만약에 국힘 후보가 됐다면 그러면 한동훈, 한덕수, 이준석 원샷 경선에서는 응할 가능성이 높다.

△ 차재원> 저도 그렇게 봤습니다.

▲ 김능구> 이번에(국힘 경선) 당원과 국민 비율이 5:5였잖아요. 그래서 유심히 봤어요. 역시 당원의 격차는 컸고, 그런데 국민에서 못 뒤집었더라고. 홍준표 후보는 지난 대선 경선에서 윤석열이랑 붙었을 때 국민에서 12% 앞섰었거든요. 이번에 한동훈은 그것도 못 뒤집은 거야. 그래서 아직까지 한계가 있구나 싶었고, 종합적으로 봐서는 국힘이 그런 상황을 연출할 만한 그 어떤 명분과 힘도 없는 거죠.

△ 차재원> 만약에 한덕수라는 변수가 없었다고 하면 한동훈하고 김문수하고 어금버금했을 거예요. 결과를 몰랐을 가능성이 높은데 문제는 한덕수가 밖에 있으면서 한덕수하고 단일화를 통해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사람이 누굴까, 그것 때문에 상당히 김문수가 덕을 본 게 있는 거거든요. 그러니까 소위 말해서 이번에는 한동훈이 진 게 아니라 정확하게 얘기하면 김문수가 이긴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한덕수라는 존재 자체가 국민의힘의 보수 진영의 프라이머리(primary, 당내 경선)를 완전히 엉망으로 만든, 완전히 잘못된 단초라는 거죠. 그렇지 않습니까?

▲ 김능구> 이준석 후보가 하는 말이 지금 이 빅텐트에는 윤석열, 김건희가 어른거린다, 그러니까 지금 조기 대선의 시작도 이렇게 표현하데, 윤건희라고. 윤건희가 시작하고, 아마 마무리도 윤건희가 하는 모양입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7일 "윤석열이 나라를 망치고 이제 당도 망치고 있다"고 페이스북에 썼습니다. “용산과 당 지도부가 합작해 느닷없이 한덕수를 띄우며” “왜 김문수를 비난하느냐. 무상열차 노리고 윤석열 아바타를 자처한 한덕수는 왜 비난하지 않느냐"고 꼬집었습니다.

정말 보수의 많은 분들이 정신 바짝 차려야 될 것 같아요. 더 이상 나라를 그렇게 흘러가게 해서는 안 된다. 이재명 대통령 후보가 대통령이 됐을 때 그분들도 다 안고 가는 합의제 정치를 해야 되는데 그걸 하려면 서로 간에 호흡이 맞아야 되잖아. 완전히 절로 가버리는데 그거 어떻게 해요?

△ 차재원> 완전히 극으로 가버리면 하기가 힘들죠.

▲ 김능구> 뭐 이번에 보여줬잖아요. 조갑제 보수 논객들이 보여주고, 많은 보수 인사도 그걸 하고 있는데 이 사법 쿠데타가 참 저는… 우리가 그래도 그동안 삼권 분립 속에서 인정해 왔던 게 사법부의 권위잖아요. 사법부의 권위가 무너지면 이건 삼권 분립에서 답이 안 나오는 거 아닙니까? 사법부가 지금까지 독재 시대 때 본인들이 앞잡이한 걸로 사과한 적 있나요?

△ 차재원> 재심 판결하면서 한 번 한 적은 있는데 그게 국민들한테 크게 각인된 게 없어요.

▲ 김능구> 지나가듯이 했네요. 이번 대선은 참 여러 가지에서 우리한테 많은 과제를 주고 있는 것 같아요. 사법 개혁도 정말 반드시 해야 될 그런 개혁으로 제시해 줬습니다. 이번 대선이 국민들한테 우리나라의 많은 문제점을 제시해 주고 그리고 정치 세력들이 정말 그것을 어떻게 받아서 풀어나가야 될지를 국민들과 함께 논의하고, 선택하는 그런 대선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Kim Neung-gu and Cha Jae-won's Political Diagnosis, May ①] [Full Text] "Kim Moon-soo-Han Deok-soo Unification Is a 'Yoon Kun-hee' Work... Party Power Rather than Presidential Election"

"The Unification Chaos is a Black Comedy Created by Kim Moon-soo's Delusion, Han Deok-soo's Arrogance, and Pro-Yoon's Desire for Party Power"

"The People's Power Party Should Have Played an Anti-Lee Jae-myung Supporting Role Instead of Nominating a Candidate... Conservatives Should Be Declared Dead"

"Lee Jun-seok, Must Win Han Deok-soo to Participate in Big Tent... Complete the Race and Aim for Conservative Reorganization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

[Polynews Interview with Publisher Kim Neung-gu, Organized by Reporter Seo Kyung-sun] On the afternoon of the 7th, Polynews CEO Kim Neung-gu and Busan Catholic University Special Professor Cha Jae-won held a political diagnosis for May 2025 at the Polynews headquarters. CEO Kim and Professor Cha had a conversation to diagnose and forecast the cause and background of the conflict surrounding the unification of Kim Moon-soo and Han Deok-soo.

▲ Kim Neung-gu> The 10th and 11th are the presidential candidate registration days, right?

△ Cha Jae-won> Yes, the 10th and 11th are the two days for presidential candidate registration.

▲ Kim Neung-gu> The opinion poll that came out just before also showed that Democratic Party candidate Lee Jae-myung is in a lead, followed by Kim Moon-soo and Han Deok-soo. Why do you think that is?

△ Cha Jae-won> They are going through a lot of growing pains because of the unification issue.

▲ Kim Neung-gu> They chose the candidate on Saturday, and two days later, they are saying, “Unify, don’t unify,” and now it’s chaos.

In the opinion poll, why is there no difference when you put in Kim Moon-soo and Han Deok-soo? It’s the same even if you put in Lee Jun-seok as a two-way race. Why is there no difference? You mentioned this, and I think so. What I mean is, isn’t there a zeitgeist in every presidential election? They say that the people have accurately chosen and judged all the problems the country is facing at that time and which person or force is needed to solve them. In that regard, there are cases where greed is excessive and goes too far. For example, in 1987, the first direct election, YS and DS failed to unify the two major democratic forces, so they combined received 28% and 26%. Even though they received 54%, they lost to President Roh Tae-woo, who received 36%. After that, there was Kim Dae-jung during the IMF crisis, Roh Moo-hyun when new politics were demanded, Lee Myung-bak when the economy was difficult and the public really demanded an economic president, and then there was the expectation that Park Geun-hye would do classical politics when society was in chaos. What about President Yoon Seok-yeol? He talked about fairness and common sense, so in reality, there was no support like that amo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before. In that situation, he got 0.73%. So, even back then, Justice Party candidate Sim Sang-jeong received 6%, so if our country didn’t have a runoff system, we wouldn’t have been unfairly criticized, but anyway, she received 6% and lost to 0.73%, so there was talk afterward that she was the most responsible, but in reality, they didn’t unify the candidates properly at that time. That’s why it happened, but each previous presidential election was about choosing the person or force that would solve the most important agenda in the country at that point in time, but what about this presidential election? Suddenly, an early presidential election was held, but former President Yoon Seok-yeol brought up martial law, something that should have been in a museum, and if it was martial law, it should have been done in accordance with martial law and the Constitution, but it was done completely haphazardly. Then, President Park Geun-hye stayed quiet after the state affairs scandal. After the impeachment process began, she stayed quiet and waited for the resul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But this is a mess at Gwanghwamun every day, and they are confusing who is at fault, and after the Constitutional Court trial, he was impeached, and he returned home and said he won, and he came back. I think everyone went crazy after seeing that. This election was held right in the middle of that. That is why this presidential election is, more than anything, about setting right the democracy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was on the verge of being crushed to the ground. How much blood have we shed for democracy? Starting with April 19, Gwangju on May 18, then June 10, and then all the labor sites and the Sewol Ferry disaster. This is a presidential election that is being held in the midst of the democracy of the people who shed all this blood, and why is Prime Minister Han Duck-soo not much better than former Minister Kim Moon-soo? He was the number two. He was the number two for two and a half years, and even if he wasn't impeached, he survived. Even if he didn't get hurt, he should have held a fair election after 50 years of public service, just like he said, and then he should apologize. But I just don't understand how he can come out and ask for the fate of the country to be entrusted to him again. I watched the Gwanhun debate yesterday. I watched it from beginning to end. He speaks well, you see.

△ Cha Jae-won> He thinks he has strengths in debate and he came out believing that.

▲ Kim Neung-gu> So, when he's strong, he's strong, and when he's soft, he's soft and he's good at it. But are our people stupid,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s why the opinion polls showed that. 60-70% of people oppose this person's presidential candidacy. Why on earth are you coming out knowing the public sentiment like this? What do you think?

△ Cha Jae-won> It was last week. I wrote this about Han Deok-soo's candidacy in the Polly column. 'Are the people that easy?' I gave it a title, but isn't he taking a political course of action that is really absur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 In a way, he enjoyed everything he could have enjoyed in his 55 years of public service. Starting as a minister, then as deputy prime minister, then as prime minister twice, and even as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There is probably no one in the history of the constitut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o has had such a splendid career. Despite that, he failed to do one thing. That was the president, and no matter what he says, what he has come out with now can only be explained as his own personal advancement. As you said earlier, there is clearly an aspect of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self-destructing due to martial law, but even if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continues, how can we give a grade to the previous administration? The economy is practically bankrupt right now. And some say he did well in terms of diplomacy and security, but there is also an aspect of the security crisis that has occurred due to the collapse of the so-called balanced diplomacy, which has led to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In that sense, Han Deok-soo, the prospective candidate, is in a situation where he should be punished for his sins, but if you look at public opinion polls, more than 60% of people are against his candidacy.

Why is he running despite all this? First, if he runs as a presidential candidate, the investigation into the internal rebellion has not yet been completely concluded. He thinks he can get rid of that label and overcome the ongoing investigation if he becomes president. Second, former President Yoon Seok-yeol, who is called the internal rebellion force, his close associates, and the current leadership of the People Power Party are all working together to support Han Deok-soo. If you look at this, I think it is quite reasonable to suspect that he is doing this to maintain his political vested interests, even though the current president is being impeached and should be punished for his sins.

And he himself is quite mistaken. In relation to the current tariff war initiated by Trump, in this situation, I am a trade expert and an expert on the United States, and with this level of experience, if I do well, I can win the presidential election. With this kind of delusion and arrogance, by making such reckless and absurd political moves, the candidate elected by the current ruling party, the People Power Party, has become a complete duck egg in the Nakdong River, and because of the opposition to this, from the conservative perspective, this presidential election has no choice but to result in an election that is just a dud. The biggest cause of this is the prospective candidate, Han Deok-soo.

▲ Kim Neung-gu > So, in some ways, since this early presidential election cannot be won without a vote, if we are going to hold the election, what should we do for the people? As I have said before, the People Power Party has maintained good party constitution and party rules. If there is a reason for the by-election, we do not nominate a candidate. I think the People Power Party should not nominate a candidate and should have resolved it cleanly. Let's clean it up like that, and there are people who oppose Lee Jae-myung's course and policies, who have Lee Jae-myung phobia, and who oppose Lee Jae-myung. Then, we have to give that share to those people. Then, the People's Power Party plays a supporting role. They can't not vote either. When that happens, they do things like forming a policy alliance, and the fact that the candidate is Prime Minister Han Deok-soo is not a black comedy. For example, there's Jamberry.

△ Cha Jae-won> Yes, at Jeonbuk Jamberry.

▲ Kim Neung-goo> At Jamberry, they said they would nominate a prime minister at that time, but they said there was no alternative, and closer to that, after the general election last year, they even said they would no longer be prime minister...

△ Cha Jae-won> He announced his resignation.

▲ Kim Neung-goo> He announced it. But there was no one who would pass the National Assembly, and he declined to go through the hearing. That's why he came this far. It's not because he did well, and even if he changed, he had to change several times, so he said he would become president? There is another reason why the Constitutional Court did not impeach him. At that time, there was no proper investigation into the internal rebellion. So the Constitutional Court rejected the appoint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s because of the internal rebellion. But this person graduated from Gyeonggi High Schoo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So in the past, in our country, they were the best elites, called 'KS'. So now, I am the best elite group, not to mention former President Yoon Seok-yeol, but Yoon Seok-yeol is also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best elite group, in some ways, can be seen as the ones who have everything in our country. Those who combined could not accept Lee Jae-myung. So they came forward, and when they tried to come forward, they somehow boiled Han Deok-soo, who had that desire, who had the same desire as everyone except the president, and said that there was no one else, so I thought he came forward because he was mistaken. When I saw yesterday, his wife was a shaman, so he strongly denied it. So the relationship between Yoon Seok-yeol and the president, and his wife Kim Gun-hee.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relationships, shamanistic relationships, and such. If I were his nephew or junior, I would have said that he should have held a fair election, and that he should do this because it is the path prescribed by the Constitution, even though he has already been through a lot of mud. I thought he meant that because he said he would finish his 50-year public service. But why is he saying this now… I said this before. The person who contributed most to Lee Jae-myung becoming president was former President Yoon Seok-yeol. During President Yoon Seok-yeol’s martial law, Lee Jae-myung’s judicial risks and phobia were blown away in one fell swoop. He made it impossible for the people to make choices and judgments. But I think Han Deok-soo is the one who is prolonging that. I think Minister Kim Moon-soo is the same. That’s why he came out to the anti-impeachment rally and kept doing that. That’s why all these people should be punished.

Yesterday, I watched the Kwanhun debate, and conservative commentator Cho Gap-je was filming on YouTube. As he said, conservatives really need to declare their demise this time. And if moderate conservatives or rational conservatives come out and set up a big tent, there could be a policy debate there, and if they unite with some force, I think that if our politics don’t do consensus politics now, it will repeat itself again. Since this vicious cycle is repeated, how much of the people’s and the country’s assets and power will be invested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process? It will be a meaningful and effective election, but if the board is laid out like this, it will be the same as two or three civil wars. △ Cha Jae-won> That’s right. However, the People’s Power Party and the existing ruling party really need to give up their vested rights as a form of reflection and innovation, but the most decisive reason they can’t give it up is that even if they lose power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they want to continue their personal politics. That’s why, even if they lose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y need to gain an advantage in the future competition for party leadership. They don’t want to lose their political potency. That’s why they think that if they put Han Deok-soo forward and lead the election this time, and even if they fail in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 they have to take the party leadership in the next party leadership in order to secure the offensive for the local elections next year and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s three years later.

Among the 108 members of the People’s Power Party, there are almost none from the metropolitan area or Chungcheong Province. Since they are all in Yeongnam, they think that they can win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s even if the government changes, and another reason is that if they run a candidate in this election, they will basically receive 20 billion won in support from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On top of that, if they spend money on election expenses, they will receive about 40 billion won in compensation, so 60 billion won is at stake. They don’t want to lose this money, they don’t want to lose this vested interest. Another problem is that the ruling elite of our country, who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ave a mindset that they cannot accept Lee Jae-myung as the new president. I think this ruling by the Supreme Court clearly revealed this time. The 10 people who were appointed to the Supreme Court after the Yoon Seok-yeol government came to power coincidentally all sent Lee Jae-myung back to the court with a guilty verdict. Those people always mentioned the term “Seo Oh-nam” when selecting Supreme Court justices in the past. They are men in their 50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y are the typical ruling elite of South Korea. When they thought about it, as former leader of the Cho Kuk Party, Cho Kuk, said, the ruling elite who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Law School have a mindset that they cannot accept a president who was a former juvenile criminal. That vested interest is at work. In addition, the justification that candidate Han Deok-soo put forward when he ran was constitutional amendment. Constitutional amendment doesn’t make sense… Constitutional amendment can be an important justification. We have been talking a lot about opening the 7th Republic, but what he said was that he suggested the direction of decentralization and such for constitutional amendments, but he left out, saying that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eople should discuss the specific details. If he becomes president, he should sit down and do specific things and exercise his political power, but he pushed aside important issues and said, “You guys should do it among yourselves without me.” That doesn’t make sense. And what Han Deok-soo is trying to explain now is that he is not asking for a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At that time, when he was talking about constitutional amendments, he didn’t say a word about what direction decentralization was going to go in. So, he just threw it out there without any specifics. And another thing is, will the constitution be amended just because he becomes president? If a constitutional amendment is proposed by the president, it can’t be put to a national referendum right away. It has to go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but the quorum for a constitutional amendment in the National Assembly is two-thirds. It has to be over 200 members. Then, even if he becomes the People Power Party candidate, he would have to win over 90 seats out of 108, but there is no word on how he will do this. In fact, in 2018, the Moon Jae-in government, which came to power in 2017, proposed a constitutional amendment as a presidential proposal, but the president took the lead, but the Liberty Korea Party, which had over a third of the seats at the time, opposed it, so the vote did not pass and the amendment did not take place. It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amended unconditionally just because you become the president. So this is really absurd. It is really nonsense to appeal to the people with this kind of story.

▲ Kim Neung-gu > Kim Moon-soo and Han Deok-soo, you said that the People Power Party members are more greedy for party power than trying to make a real president, and since that is mainly TK… As Representative Yoon Sang-hyun said, after a year, they are supporting those who opposed impeachment. What is the reality? Professor Cha is PK. △ Cha Jae-won> Among those who ran in the party primary this time, the four who made it to the semifinals were Kim Moon-soo, Hong Joon-pyo, Ahn Cheol-soo, and Han Dong-hoon. In addition to Ahn Cheol-soo, candidate Kim Moon-soo also refused to unify, and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more than 200 former lawmakers supported candidate Kim Moon-soo today. If you think about why they suddenly supported him, I think they also thought that if the so-called Kim Moon-soo system were established, they would have some political opportunities. But more than that, former Mayor Hong Joon-pyo also said he was going to the US this time. Many people ran for the 2017 presidential election, lost, went to the US, and immediately ran for party leadership and became the party leader. Some people see it as a repeat of that course, and another is former candidate Han Dong-hoon, who seemed to be enjoying the internal strife within the party while eating the night before yesterday, saying, "Still, please join the party. It's only 1,000 won a month." and saying things like, "Didn't you know this would happen?" and completely talking like they were watching a fire across the river, and when you look at the current situation, everyone is saying, "This presidential election is doomed anyway." Nevertheless, they have no choice but to become the first opposition party. If they become the first opposition party, they think that if they secure a strong nomination right, especially in the Yeongnam region where they have a strong presence, they can somehow extend their political life, so I think that's why they're doing that. But that's separate from that. I talked about it on the broadcast today when I saw the content getting so heated about the unification of Kim Moon-soo and Han Deok-soo. They asked me what I thought. So, isn’t this a foregone conclusion that I tried to ignore only the parties involved? Now, all the wrongdoings of the three parties are clearly visible. The People Power Party, which is a public party, made a schedule that the candidate elected through democratic procedures could be anyone, but that person must unconditionally be unified with Han Deok-soo. Isn’t that a dual-power system? And aren’t they the pro-Yoons behind them? Does this make sense? So, in a way, this is political retribution. The party is officially electing a candidate with legal legitimacy as a plan B, and if he doesn’t listen, they will be kicked out and replaced through a national convention or something like that, in just three days. Then, candidate Kim Moon-soo will file an injunction with the court, citing legal defects. I think it will be accepted 100%. If that happens, the party will be completely ruined. So the fact that the People Power Party thinks that way is wrong. What did Yeouido Research Institute Director Yoon Hee-sook say? No, why did we fail? They say we failed because we stood in line with those in power. But since Han Deok-soo's approval rating is a little high, he's lining up again, destroying all the principles of the ruling party,

▲ Kim Neung-gu> I think he said that himself, and Yoon Hee-sook too.

△ Cha Jae-won> Yoon Hee-sook said that. Yoon Hee-sook said that and now she's saying let's change Kim Moon-soo. That doesn't make sense. And another thing is Kim Moon-soo's delusion. Candidate Kim Moon-soo thinks that he's completely delusional because he's competitive. That's why he thinks, 'No, I'm the ruling party's candidate right now, but my approval rating is low right now, but time is on my side, and if I go to the general election and run against Han Deok-soo, who's running as an independent, I have money and an organization, so what's there to lose?' So to put it simply, there are definitely aspects like when he goes into the bathroom and when he comes out, but Kim Moon-soo is completely out of his element. I think he's probably having the best time in politics, and that's also true. Another thing is Han Deok-soo's arrogance. As we talked about earlier, Han Deok-soo himself is the one who is most responsible for the collapse of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but he is the best at dealing with the US and the economy, so he is confident. No, if he is confident, then he should run in the People Power Party primary. If he does not run in the primary, he will stay outside and you will be

Yes, come after everything is over. Then, if you unify with me and I step on that, then register as a candidate for the People Power Party, that is completely trampling on democracy in the process and democracy in the procedure. The wrong thoughts and actions of these three people are what are currently leading to this absurd situation. Who are you going to blame and who are you going to resent?

▲ Kim Neung-gu > I cautiously predict that an election revolution will not occur in TK. Because, as I just said, the reason the People Power Party can do this is because the majority of the People Power Party local lawmakers are there, and TK will continue to support and elect candidates affiliated with the People Power Party, which is why these absurd acts are happening now. Earlier, Han Deok-soo said that the People Party is easy, but then the TK people are worse than their own lackeys, for example. So, the Democratic Party got 9-10% in TK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now I think it is probably well over 20%. But since this is a single-member district system, it won’t work. So, Lee Jae-myung has always talked about electoral district reform. This time, we really have to risk our lives. Democratic Party members also have to risk their lives. DJ tried to do it last time, but the Honam National Assembly members were resolutely opposed, so we couldn’t. This time, we have to do it. I think the essence of the problem is the two-party system where vested interests are entrenched in endless factional politics and factional confrontation based on the region. If we don’t break this, even if we revise the constitution, it could end up being a waste of money. That’s why Lee Jae-myung has to do this, and then all the people with common sense in the People Power Party have to join in. We have to join in and get out there. Otherwise, like Rep. Yoon Sang-hyun said, we’ll vote again after a year? That’s what happened when President Roh Moo-hyun was at his peak. The Democratic Liberal Party won a landslide victory in the 1992 local elections by merging three parties.

△ Cha Jae-won> Yes, they won a landslide victory.

▲ Kim Neung-goo> I heard it myself at that time. The people who gave the Democratic Liberal Party a landslide victory through the three-party merger should take responsibility. People were muttering behind my back. Are you saying that to the voters after getting something? It seems like it's like 'the customer is king' or 'the people are king', but that's not true. Democracy is the people's responsibility. In the end, the people are the ones who receive the karma. If local governments really want the people living in the entire region to compete and be happy, they should elect their representatives well. Make those representatives compete, and look at Honam and TK. They all unconditionally vote for a certain party's flag, so at least Ahn Cheol-soo did a good job of forming the People's Power Party's three parties and creating a multi-party system. Representative Lee Jae-myung should definitely create such a multi-party system.

△ Cha Jae-won> That's one of the conditions for advancing to consensus politics.

▲ Kim Neung-goo> Yes. Han Deok-soo, it seems you've registered as a preliminary candidate.

△ Cha Jae-won> You've registered as a preliminary candidate.

▲ Kim Neung-goo> How much can this person expand? I also met with Prime Minister Lee Nak-yeon and former leader Sohn Hak-kyu. △ Cha Jae-won> Sohn Hak-kyu, Lee Nak-yeon, Jeong Dae-cheol, Kim Jong-in, they are the so-called old boys. They are the old boys. What kind of fandom do they have? And on the first day after declaring his candidacy, he went to a small town in Seoul and did a little show, and then went to Gwangju. Other than that, he has not shown any other moves. He is currently on a high horse, and of course, it is good to meet with elders and talk about opening the so-called 7th Republic. The problem is that he has nothing to show except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So, he has been in public office for 50 years, but as you said earlier, if the spirit of the times is to restore constitutional order and democracy, he should clearly state what he will do. The representative problem is that he talked about constitutional amendment when he declared his candidacy. He talked about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went to Gwangju saying that he would definitely amend the constitution, but he was blocked at the Gwangju May 18th National Cemetery. When he was blocked, he should have talked about it then. When I revise the constitution, I will definitely state the spirit of May 18 i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f I had said that, they wouldn’t have blocked it. But what did you do there? You said it was the Gwangju incident. No matter how much someone with such a lack of historical awareness talks about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the 7th Republic, the future of the new republic that he will open is obvious to the general public. That’s the limit.

▲ Kim Neung-gu> Do you think Lee Jun-seok will join the unification, or not?

△ Cha Jae-won> I think it’s highly unlikely that Lee Jun-seok will join.

▲ Kim Neung-gu> No?

△ Cha Jae-won> Because we don’t know who will become the unified candidate. We don’t know who will become the unified candidate on the People’s Power side, but if candidate Kim Moon-soo holds out and runs, then candidate Kim Moon-soo will run, right? Then, since candidate Kim Moon-soo has consistently opposed impeachment, his claim that he is drawing a line with the martial law forces is not justified, and if candidate Han Deok-soo runs, they say it is a kind of Ha-ha solidarity. They say it is a Ha-ha solidarity because he graduated from Harvard, but I think that is really nonsense, but that is why they often meet at Harvard alumni gatherings. In any case, if such aspects are highlighted, it will rather be a negative, and I think Lee Jun-seok will never act as a fuse for Han Deok-soo. When he thinks about it, if there is a prospect that he can step on Han Deok-soo and become the unified candidate, he will do it. In the end, what he is talking about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is the Dongtan model. In the last general election, he ran as a third party and talked about the Dongtan model, and he talked about what he did, and even if that doesn’t work out, from his point of view, he has to run the race to the end. After Lee Jae-myung is elected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conservatives will completely disintegrate. At that time, he is likely to run the race alone in order to have a political justification. The only thing he will do is if he thinks he can beat Han Deok-soo by running against him. Otherwise, I don’t think he will.

▲ Kim Neung-goo> Let’s just imagine. If former leader Han Dong-hoon had become the People’s Power candidate, he would likely run in a one-shot primary between Han Dong-hoon, Han Deok-soo, and Lee Jun-seok.

△ Cha Jae-won> I saw it that way too.

▲ Kim Neung-goo> It was 5:5 this time. So I watched it closely. The gap in party members was large, but the people couldn’t turn it around. When Hong Joon-pyo ran against Yoon Seok-yeol in the last presidential primary, he was ahead by 12% in the people. This time, Han Dong-hoon couldn't turn that around either. That's why I thought there were still limitations, and comprehensively, the People's Power Party doesn't have any justification or power to create such a situation.

△ Cha Jae-won> If there had been no variable called Han Deok-soo, Han Dong-hoon and Kim Moon-soo would have been on par. It's highly likely that they didn't know the result, but the problem is who can create synergy effects by unifying with Han Deok-soo while Han Deok-soo is out there? Because of that, Kim Moon-soo benefited considerably. So, to be precise, this time, it wasn't Han Dong-hoon who lost, but rather Kim Moon-soo who won. That's why the existence of Han Deok-soo itself is a completely wrong starting point that completely messed up the primary (intra-party primary) of the People's Power Party's conservative camp. Isn't that right?

▲ Kim Neung-goo> Candidate Lee Jun-seok is saying that Yoon Seok-yeol and Kim Gun-hee are hanging out in this big tent right now, so the beginning of the early presidential election is also expressed this way, Yoon Gun-hee. Yoon Kun-hee started it, and it seems Yoon Kun-hee will finish it. Former Daegu Mayor Hong Joon-pyo wrote on Facebook on the 7th, “Yoon Seok-yeol is ruining the country and now the party.” He criticized, “Yongsan and the party leadership are colluding to suddenly promote Han Deok-soo,” and “Why are you criticizing Kim Moon-soo? Why aren’t you criticizing Han Deok-soo, who is aiming for the free train and is an avatar of Yoon Seok-yeol?”

I think many conservatives really need to wake up. We can’t let the country flow like that anymore. When presidential candidate Lee Jae-myung becomes president, they need to have a consensus-based politics that they can all embrace, but to do that, they need to work together. How can we do that when it completely goes away on its own?

△ Cha Jae-won> It’s hard to do if it goes to extremes.

▲ Kim Neung-goo> Well, we showed it this time. Conservative commentators Cho Gap-je showed it, and many conservative figures are doing it, but this judicial coup really… Even so, what we have acknowledged in the separation of powers is the authority of the judiciary. If the authority of the judiciary collapses, isn’t this something that can’t be answered by the separation of powers? Has the judiciary ever apologized for being a stooge during the dictatorship?

△ Cha Jae-won> They did it once during a retrial, but it didn’t leave a big impression on the people.

▲ Kim Neung-gu> They just did it in passing. This presidential election seems to be giving us many tasks in many ways. Judicial reform was also presented as a reform that absolutely must be done. I hope that this presidential election will present many problems in our country to the people, and that the political powers will discuss and choose with the people how to accept and solve them.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