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공개한 인공지능 활용 학습 시스템 홍보 영상 공개에 "교사 비하"논란
16일 교사 노조 일제히 "교사 조롱" 외치며 강력 반대
17일 경기도의회에 이어 국회까지 "임태희 교육감 사과하라"
![경기도교육청이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2035 하이러닝' 동영상 중 한 장면, '하이러닝 AI'가 학생의 질문에 대답하며, 교사는 옆에서 대응을 하지 않는 모습이다. [사진= 16일 삭제된'2035 하이러닝' 영상 중 갈무리]](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11/713977_527952_2257.jpg)
[폴리뉴스 박비주안(=수도권) 기자] 경기도교육청의 인공지능(AI)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인 '하이러닝'을 홍보하는 과정에서 교사를 부적절하게 조롱하고 모욕했다는 '교사 비하 AI' 논란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도 교육청은 지난 11일 유튜브 채널에 공개한 '2035 하이러닝' 홍보영상에는 국어과목 서술형·논술형 평가 오답에 대한 학생들의 이의 제기에 AI로 분장한 인물이 교사를 도와 설명하는 장면이 담겼는데, 바로 옆에 선 사람을 'AI 시스템'으로 표시했다. 이후 학생들의 개별적인 질문에 교사가 답을 하지 않는 대신 AI가 설명을 도맡고, 이후 AI의 설명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는 교사의 발언이 담겼다.
이어 교사가 학생들을 격려하고 "더 궁금한 점은 쉬는 시간에는 회의가 있으니 점심 이후 찾아오라"고 하자 AI는 "빈말입니다, 동공이 흔들리고 음성에 진심이 담겨있지 않았습니다"라면서 "거짓말입니다, 평소 이 시간에는 화장실을 이용하는 시간입니다"라고 희화화 하는 식의 답을 해 크게 논란이 됐다.
전국중등교사노동조합은 16일 성명을 내고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우스꽝스럽게 왜곡해 표현하고 교육활동을 폄훼했다"며 유감을 표한데 이어,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도 "교사를 AI의 부속품처럼 묘사하고 교사와 교육 본질을 왜곡, 경시하는 태도를 드러냈다"고 했고, 경기교사노동조합은 "단순한 연출 과잉을 넘어 현장 교사를 모독한 인권 침해"라고 비판했다.
![17일 경기도 브리핑룸에서 진행된 더불어민주당 소속 도의원들이 경기도교육감의 사과와 재발방지를 요구하고 나섰다. [사진=경기도의회 영상 갈무리]](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11/713977_527955_2533.png)
경기도의회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17일 오전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의회 더불어민주당은 도교육청이 제작·배포한 'AI 서술논술형 평가시스템' 홍보영상의 반교육적 인식에 경악을 넘어 분노를 금치 못한다"고 밝히며 "임태희 교육감은 교육공동체를 비롯한 경기도민 앞에 머리숙여 사과하고 교육감으로서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경하게 대응하고 나섰다.
민주당 도의원들은 경기도 교육청을 향해 ▲교육감의 사과 홍보영상 전 과정에 대한 진상규명 및 책임자 문책 ▲AI활용정책 전면 재검토 및 교권보호·교육공동체 신뢰 회복을 위한 근본 대책 마련 등도 요구했다.
해당 영상은 17일 국회 기자회견으로 옮겨갔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정을호·백승아 의원과 함께 "영상 속 교사는 학생들의 질문에 제대로 답하지 못하고, 빈말과 거짓말을 늘어놓는 무능한 존재로 그려졌다"며 도교육청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전교조 경기지부, 경기교사노동조합,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좋은교사운동, 실천교육교사모임 등 교원단체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한 가운데 이뤄졌는데, 참가자들은 "교사 조롱과 비하가 담긴 내용이 공공 홍보영상에 담긴 것은 명백한 교육 모독 행위" 라고 비판했다.
강 의원은 "이 영상에는 'AI가 교사를 대신할 수 있다' 는 위험한 인식이 깔려 있는 것이 문제"라면서 "교사의 교육적 전문성과 인간적 신뢰를 훼손하는 심각한 교육관 왜곡"이라고 비판했다. 또, 강 의원은 "해당 영상의 출연자 대부분이 올해 4월에 창립된 신생교원단체 소속"이라며 "임태희 교육감이 출범식에 직접 참석한 인물들과 겹친 것으로 드러났다"며 또 다른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계속되는 비판 여론에 경기도교육청은 16일 영상을 비공개 처리했다. 홈페이지 입장문을 통해 "영상의 본래 의도는 교사의 업무 부담을 덜고 교육 현장을 지원하기 위함을 알리기 위한 것이었지만 취지와 달리 오해를 불러온 장면이 있어 영상을 비공개 처리했다"며 "상처받았을 교사들께 깊이 사과드리고 이번 사안을 무겁게 받아들여 이러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알리며 사태 진화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