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권역별 도민 의견 수렴하여 행정통합 장단점과 대안 제시
부산시의회와 교류·협력, 충청권 행정통합 추진 사례 벤치마킹
![경남도의회 경남부산행정통합특위가 19일 제4차 회의에서 보고서를 채택하고, 허용복 위원장을 비롯한 의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경남도 허용복 의원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11/714583_528687_5138.jpg)
[폴리뉴스 정하룡 기자] 경남도의회 경남·부산 행정통합 특별위원회는 19일 제4차 회의를 열어 1년간의 활동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채택하며 공식 활동을 마무리했다.
지난해 12월 출범한 특위는 서부권·중부권·동부권 3개 분과위원회, 총 10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경남과 부산의 행정통합 논의 과정에서 도민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이번 활동 결과보고서에는 지난 1년간 진행한 집행부의 업무 청취, 시도민 토론회 참여, 부산광역시의회와의 간담회, 충남도의회 및 충청광역연합 방문 등 주요 활동과 성과, 그리고 향후과제 등이 담겼다.
특위는 도민 참여와 권역별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타 지역 사례를 참고하며 제도적·정책적 연계 방안을 모색하는 등, 향후 행정통합 논의와 정책 검토에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아울러 경남도의회와 부산광역시의회 간 합동 간담회 추진과 충남도의회 및 충청광역연합과의 교류를 통해 지역 간 협력체계를 점검하고 광역 거버넌스를 구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향후 행정통합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치적·행정적 과제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이번에 채택된 결과보고서는 경남도와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 등 관계기관에 전달되어, 보고서에 담긴 향후 과제가 충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활용될 예정이다.
허용복(양산, 국민의힘) 위원장은 "지난 1년간 특위 활동을 통해 도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권역별 현장 의견과 타 지역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며 "이번 특위 활동 결과가 향후 행정통합 논의에 소중한 자료와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