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월 임시국회 정상화 첫날인 5일 각각 최고위원회의와 총재단회의를 열어 민생현안 및 개혁입법 처리와 관련한 당의 입장을 발표하는 등 `쟁점 선점' 경쟁에 나섰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인 정재용 신지홍기자 = 여야는 2월 임시국회 정상화 첫날인 5일 각각 최고위원회의와 총재단회의를 열어 민생현안 및 개혁입법 처리와 관련한 당의 입장을 발표하는 등 `쟁점 선점' 경쟁에 나섰다.
< 민주당 > 민주당은 이날 김중권(金重權) 대표 주재로 최고위원 회의를 열어 임식국회에 임하는 당의 전략을 논의, `민생안정과 개혁입법 처리'를 임시국회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
김영환(金榮煥)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민생안정과 개혁입법 처리를 우선으로 한다는 당의 기본입장을 재확인했다'면서 '대표연설과 대정부질문 등을 통해 이를 집약해 나가고 개혁입법 처리와 관련해 강력한 의지를 보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국가보안법, 반부패기본법, 인권법 등 개혁 3법 가운데 국가보안법을 제외한 2개 법안은 가능한 이번 임시국회에서 처리한다는게 민주당의 기본입장이다.
또 주식시장 활성화, 자금시장 안정, 소비와 투자심리 확대 등 민생 및 경제안정을 위해 일하는 국회의 모습을 국민들에게 보여주는데 주력키로 했다.
아울러 민주당은 여야간 공방이 예상되는 `안기부 자금' 횡령사건에 대해선 한나라당과 강삼재(姜三載) 의원의 수사협조와 `횡령한 예산'의 국고환수 등을 요구하며 단호하게 대응하기로 했다.
또 한나라당이 주장하고 있는 정치보복금지법 제정 등에 대해선 `안기부 예산 횡령사건을 희석시키기 위한 물타기용'으로 규정, 논의 확산을 차단할 방침이다.
< 한나라당 > 한나라당은 이날 총재단회의와 의원총회를 잇따라 열어 `야당파괴 및 장기집권 음모'의 분쇄와 경제회생 주도 등 `두마리 토끼'를 잡는 것으로 이번 국회의 활동목표를 설정했다.
정창화(鄭昌和) 총무는 '정치자금 조사를 위한 특검제 도입을 비롯, 공적자금 청문회의 재실시, 예산연계 법안의 처리, 정치보복 금지법의 제정, 언론장악 음모기도의 분쇄를 추진하고 김정일(金正日) 위원장의 서울답방 대책도 추궁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선제압의 일환으로 한나라당은 `안기부 예산'의 국고환수 추진방침과 관련, 김정길(金正吉) 법무장관을 명예훼손 혐의로 조만간 검찰에 고발한뒤 대정부질문 과정을 보아가며 김장관 해임건의안 제출 여부도 검토키로 했다.
특히 재경위와 문광위를 소집해 국세청의 언론사 세무조사를 `언론 길들이기'를 위한 정략적 행태로 규정, 파상공세에 나서는 한편 총재단회의를 열어 안정남(安正男) 국세청장의 즉각 파면을 촉구했다.
한나라당은 이와함께 논평과 성명을 잇따라 내고 공기업인 한국부동산신탁의 부도와 대우그룹 김우중(金宇中) 전회장의 비자금조성 사건 등을 현정권의 `대표적 실정'으로 부각, 이들 문제를 쟁점화할 뜻을 비쳤다.
< 자민련 > 16대 국회들어 첫 3당체제의 국회인 만큼 캐스팅보트를 무기로 3당체제를 확실히 다져놓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 정치적 쟁점을 놓고는 민주당과 한 목소리 공조를 지켜나가되 비정치적 사안에서는 제 목소리를 냄으로써 민생우선 정당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한다는 생각이다.
자민련이 이날 한국부동산신탁 부도에 대한 논평에서 '이번 사태는 관재로 정부만 믿고 투자한 입주지연 가구 등의 피해를 보상하고 책임자는 처벌하라'고 촉구한 것도 이러한 전략의 일환이다.
이밖에 대북정책에 있어서는 보안법 개정불가 등 보수정당으로서의 정체성을 반드시 지켜나간다는 입장도 갖고 있다.
sangin@yna.co.kr jjy@yna.co.kr shin@yna.co.kr(끝)
연합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