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결과 DJ에 대한 국정수행 지지도가 20%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이후 다시 여권에 대한 민심의 심각한 이반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는데, '국민을 위한 국정쇄신'을 다시 꺼내 들어야 할 판이다.

여론조사 결과-추락하는 DJ 지지도
<한겨레신문> 조사에서는 김대중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가 지난달 보다 5%포인트 낮아진 17.9%로 나타났고, <내일신문> 조사에서도 8.2%포인트나 낮아진 21.4%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는 4.26 재보선에서 민주당의 참패에서도 보여줬듯이 정부여당에 대한 민심이반 현상이 매우 우려스러울만 하다는 점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강한 정부론'에 입각한 'DJ의 위기'의 경고로 해석된다.
올해 들어 DJ의 국정수행 과정을 보면 경제위기 극복에 대한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면서도 한미관계 및 대북관계에서 미묘한 불협화음이 계속되고, 건강보험 재정 위기, 대우자동차 과잉진압 등 악재가 끊이지 않고 이어진 결과로 보여진다.
<내일신문> 조사에서는 20대에서 지난달에 비해 9.2%포인트 떨어진 25.9%, 30대에서 8.3%포인트 떨어진 18.5%, 40대에서는 가장 많은 9.9%포인트 떨어진 15.1%의 지지도를 보였고, 대졸이상 학력층의 경우 11.7%포인트나 떨어진 18.3%의 지지도를 보였다. 특히, 30-40대의 핵심 경제활동층과 젊은층, 고학력층의 이반 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전국적인 지지도 하락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과 비교해 서울지역(33.9%→18.4%), 경기·인천지역(29.3%→22.2%), 호남지역(59.3%→46.7%), 부산·경남지역(18.3%→13.8), 대구·경북지역(14.9%→11.1%) 등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서울과 호남지역에서 하락폭이 커 4.26 재보선에서 당선자를 하나도 내지 못한 이유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DJ와 이총재의 동반 등하락 추이가 변하고 있는데
반면, 그동안 지지도에서 DJ와 동반 등하락 추이를 보여왔던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가 DJ의 지지도 하락과는 달리 소폭 상승하거나 답보상태를 보여줘, 이총재가 DJ의 실정에 따른 반사이익을 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주목되고 있다.
<한겨레신문> 조사에서 이총재에 대한 지지도는 지난달 11.9%에서 14.1%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고, <내일신문>에서는 이총재 지지도가 15.8%로 지난달에 비해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이총재에 대한 지지도는 소폭 상승하거나 답보상태에 있다.
그동안 여론조사에서 동반 등하락 추이를 보였던 DJ와 이총재에 대한 지지도 추이가 처음으로 변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지지도 변동 추이를 주목해 볼만하다.
더불어 이총재와 여권 대선 주자들간의 가상대결에서 지지도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총재는 대선 고지에 더욱더 앞서 나가고 있는 양상인 반면, 이총재의 독주가 계속될 경우 여권에서는 대선전략을 수립하는 데 매우 어려워질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회창 대 이인제의 경우 45.7%:38.1%로 지난달 3.3%포인트 격차에서 7.6%포인트로 늘어났고, 이회창 노무현의 경우 34.4%:45.7%로 지난달 6.7%포인트에서 13.4%포인트, 이회창 고건의 경우 44.3%:34.3%로 8.8%포인트에서 10%포인트로 격차가 벌어졌다.
연초 여야 대선주자들의 양자대결에서는 모두 오차범위내의 팽팽한 접전을 벌였던 것과 비교해 볼때 여권 후보들의 지지도가 상당히 추락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권 '쇄신론' 대두될 기미 보여
DJ에 대한 국정수행 지지도는 급기야 20% 전후로 하락했고, 각 대선 주자들의 대 이회창 경쟁력이 하락하고 있는 것은 정부여당의 국정운영 전반에 대한 민심이반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정부여당으로서는 위기를 맞고 있다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4.26 재보선 이후 민주당 내부에서 '자성론'이 제기되면서 초·재선 소장파 그룹에서 '지도부 교체론'까지 거론되기도 했으나, 일단 청와대가 "대표 중심으로 단합"을 강조하면서 당 쇄신론은 수면 아래로 들어간 상태다.
민주당 관계자는 4.26 재보선 패인을 '의원꿔주기'로 나타난 '강한 여당론', 결과적으로 건강보험 재정 위기 및 국민 불편을 초래한 의약분업, 대우차 노조 과잉 진압 및 경찰청장 인책론 외면, 새만금 사업 중단, 차기 대선 주자들의 '인기몰이식' 개별행동, 정체성 위기 등으로 꼽고 있다.
은평구청장 선거에서 패배한 민주당 이석형 후보도 "의약분업과 대우차 과잉진압, 교육정책 실패" 등을 패배의 원인으로 분석하면서 "중산층·서민 정당이라더니 서민만 어려워진다", 우리도 어려운데 북한에는 왜 퍼주느냐"는 지역 여론을 소개해 주목되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여당에 대한 민심이반 현상이 뚜렷한 상황에서 김중권 대표 중심의 당 단합이 계속 유지될지의 여부는 회의적 반응이 많다.
4월 30일 인권법 등 개혁법안을 통과시키고 총리 및 행자부장관 해임결의안을 저지하기 위해 당력을 집중시켰지만, 개혁법안은 크게 후퇴한 여당안을 통과시키고 해임결의안 처리 과정에서도 '편법 표단속'으로 도덕성에 상처를 입었다.
이는 "그동안 억눌러왔던 김중권 대표 체제에 대한 당 내 불만이 폭발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게 한 민주당 관계자의 전언이다. 특히 김대표와 당내 최고위원들이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이반된 민심을 '강한 여당론'으로 다시 되돌릴 수 없는 상황에서 지난해 말경에 표출됐던 '당정쇄신' 주장이 다시 재기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정치권 일각의 관측이다.
다시 '국민을 위한 국정쇄신'이다
올 초부터 '강한 정부론'을 주창하면서 등을 돌리고 있는 민심을 다잡기 위해 4개월 동안 노력해온 DJ가 최근 보도된 <한겨레신문>, <내일신문> 여론조사 결과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주목된다.
정부여당은 민심을 되돌릴 수 있는 기회가 아직도 많이 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DJ가 성공한 대통령이 되기 위해서도 국민이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 다시 한번 뒤돌아봐야할 때다. 국민을 위한 국정운영을 위해 다시 '국민을 위한 국정쇄신'을 꺼내들지 않으면 안될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