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 ▼

정치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는 물론이고 대통령, 야당 총재에 대한 평가가 지난해 10월 실시된 ‘국민체감지표 1차 동아여론조사’ 때보다 더 부정적이었으며 지지정당이 없다는 사람도 늘어났다.






국회의 역할에 대해서는 52.2%가 ‘매우 잘못하고 있다’고 응답했고 ‘잘못하고 있는 편이다’는 응답(43.6%)까지 합하면 부정적인 평가는 95.8%나 됐다. 특히 ‘매우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1차 조사 때의 46.3%에서 52.2%로 늘어나 부정적 평가의 강도가 더 높아졌다. 이는 민주당과 자민련의 ‘의원 꿔주기’ 파문과 국회의 새해 예산안 처리 등에서 나타난 실망스러운 모습이 국회에 대한 불신을 더욱 강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에 대해서는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58.8%로 ‘잘하고 있다’는 응답(40.1%)보다 훨씬 많았다. 1차 조사 때는 긍정과 부정이 각각 48.2%였다.






특히 40대 연령층에서는 71.7%가 김대통령이 ‘잘못하고 있다’고 응답해 다른 연령층보다 불만이 많았다.






이회창(李會昌) 한나라당 총재에 대해서는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1차 조사 때의 68.4%에서 76.5%로 높아졌다. 특히 20대 젊은 층에서 부정적인 평가가 80.3%로 높았고 한나라당을 지지한다는 응답자 중에서도 47.3%가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대통령과 이총재의 4일 청와대 영수회담에 대해서는 80%의 응답자가 ‘성과가 없었다’고 평가했고 ‘성과가 있었다’는 응답은 9.1%에 불과했다. 성과없이 끝난 영수회담에 대해 누구의 책임이 더 크다고 보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38.2%가 김대통령, 24.2%가 이총재라고 응답했고 34.6%는 두 사람 모두라고 응답해 둘 다 책임이 있으나 이총재보다는 김대통령의 책임이 더 크다는 여론이 우세했다.




자민련의 교섭단체 구성을 위한 이른바 ‘의원 꿔주기’에 대해서는 ‘잘못한 일’ 38.4%, ‘있을 수 없는 일’ 22.9%로 61.3%가 부정적이었고, ‘불가피한 일’ 31.7%, ‘잘한 일’ 3.8%로 긍정적인 응답은 35.5%였다. 민주당과 자민련의 지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호남과 충청 지역에서도 부정적인 응답이 50% 정도로 긍정적인 응답보다 많이 나왔다.






DJP 공조 회복이 정국안정 및 경제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는가에 대해서는 ‘별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42%로 가장 많았으며 ‘도움이 될 것’(28.3%)이라는 응답과 ‘도움이 되지 않을 것’(27.2%)이라는 응답이 비슷했다.






정당지지도는 민주당 16.6%, 한나라당 14.5%로 여야 모두 1차 조사 때보다 지지율이 내려갔고 지지정당이 없다는 응답자가 64.6%로 1차 조사 때의 59.2%보다 늘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