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 요약

<53%가 선거 막판(일주일 안)에 후보 결정 >




-소속 정당이 가장 중요(25%) … 지역감정 조장과 흑색선전이 문제(59%) -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작년 4·13 총선을 전후해 세 차례에 걸쳐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는 시민단체의 낙천·낙선운동의 전개 등 복잡한 선거 환경 속에서 치러진 작년 선거에서 과연 유권자들의 선택기준은 무엇이었고, 시민단체의 활동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자료로 판단된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특히 관심을 끈 자료는 선거 후에 실시한 3차 조사결과이다. 이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당일 날 후보결정 15% = 지지후보 결정 시기를 묻는 질문에 △투표일에 15.2% △2∼3일 전쯤에 16.4% △일주일 전쯤에 21.8% 등으로 막판 일주일 안에 후보를 결정한 비율이 53.4% 포인트로 과반수를 넘었다. 특히 전남의 시 지역은 투표 당일에 31.8%가, 충남의 시 지역은 2∼3일 전에 33.3%가, 충북의 군 지역은 2∼3일 전에 37.5%가, 경남의 시 지역은 일주일 전에 32.7%가, 경기도의 군 지역은 무려 47.6%가 일주일 전에 후보를 결정했다고 응답했다.




◇갈수록 정당지지도 높아져 = 지지후보 결정 시 중요사항을 묻는 질문은 1차 2차 3차로 갈수록 높아지는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줬다. 선거 20여일 전에 실시한 1차 조사에서는 소속 정당을 고려하겠다는 응답이 7%에 불과했으나, 선거 일주일 전에는 10.4%로 높아졌다가, 투표 당시에는 24.9%로 최대의 요인으로 등장했다. 특히 경남 지역의 47.3%, 경북 지역의 37.8%, 전남의 40.9%가 정당을 최대 요인으로 꼽았다.




위의 두 가지 결과에 대해 여론조사 전문가 안부근(전 미디어리서치 전무)씨는 “유권자들이 냉정을 찾고 선거 막판까지 노려보고 있다가, 막판에 ‘에라 모르겠다’며 지역주의적 투표행태에 편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유권자 자책’도 높아 = 불법·타락선거 책임을 묻는데 대해 ‘유권자의 책임’이라는 응답이 54.3%로, 후보자나 타인의 책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국회의원 선거운동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지역감정 조장(35.3%), 비방·흑색선전(24.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권자 스스로 ‘마지못해’ 지역주의적 투표행태를 보였지만, 찍고 나서도 자책하고 있음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재산여부는 중요하지 않아 = 5가지 신상자료 중 지지후보 결정시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는 시민단체 낙천·낙선 대상자가 32.4%로 가장 높았고, 세금 납부여부(21.6%), 전과 종류와 여부(19.5%), 본인과 아들의 병역문제(12.6%)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후보자의 재산은 1.4%로 낮아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합동/정당 연설회 참여 여부를 묻는 질문에 6.2%가 참석했다고 응답했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수입이 낮을수록 참석률이 높아 동원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한 15대 총선과 비교해 더 깨끗하다(44.8%)는 응답이 더 혼탁(11.1%) 보다 높았고, 이는 시민단체의 활동이 적극적(22.9%)이었던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