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한나라 지지도 비슷
문화일보의 정기 여론조사 결과 적자 누적으로 어려움에 봉착한 금강산관광등 북한 관광사업과 관련, 어떤 식으로든 계속하자는 의견이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보다 2배 이상 높았다.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답방 및 6·25등 과거사에 대한 사과논란과 관련, 선(先)사과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다소 높았으나 사과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산관광 해결방안과 관련, ‘정부의 직접 지원은 문제가 있으므로 관광공사 등과 함께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간접지원)는 응답이 55.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민간기업이 하는 것이므로 적자가 쌓이면 즉각 중단해야 한다’(28.1%), ‘정부가 직접 지원을 해서라도 계속 해야 한다’(14.2%)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간접 지원을 하더라도 계속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69.2%에 달했다.
김정일 위원장의 답방 이전에 과거사 사과가 필요한지를 물은 데 대해 응답자의 44.7%가 ‘사과는 필요하지만 답방 시점에 맞춰 이뤄질 필요는 없다’며 ‘선 답방, 후 사과’ 방안을 지지한 반면 ‘답방에 앞서 반드시 사과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선 사과론’도 39.8%의 높은 비율을 보였다. ‘북한 최고지도자로서의 답방이므로 사과요구는 바람직하지 않다’(9.2%), ‘김일성시대의 일이기 때문에 김위원장에게 책임이 없다(5.6%)는 의견도 있었다.
대북 전력지원과 관련해서는 상응하는 대가를 받고 지원해야 한다(60.6%), 지원하지 말아야 한다(13.1%)는 응답자가 ‘조건 없이 지원해야 한다’(13.1%)는 응답자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한편 3월중 단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개각의 대상으로는 ‘경제팀을 중심으로 교체’하자는 의견이 28.4%로 가장 많았으나 지난 1월 조사(40.8%) 때에 비해서는 크게 낮아졌다. 반면 외교안보팀을 교체하자는 대답이 1월 조사(6.2%)때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11.1%에 달해 한·러, 한·미 정상회담을 전후한 외교적 혼선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김대중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지지도(4점 평가 방식) 설문에서는 ‘잘한다’(43.4%) 보다 ‘잘못한다’(55.1%)는 응답비율이 더 높았으나 ‘잘한다’는 비율이 지난해 12월(38.7%)을 바닥으로 1월(39.0%)을 지나며 조금씩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당지지도에서는 한나라당이 민주당을 추격, 민주당(25.7%)과 한나라당(25.6%)의 지지도가 사실상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