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공사-현대 합작 바람직" 55%
금강산관광 해결방안에 대해 ‘정부의 직접지원은 문제가 있으므로 관광공사등과 함께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55.0%,‘남북관계를 위해 정부가 직접 지원을 해서라도 계속해야 한다’가 14.2% 등 정부의 금강산 사업지원을 촉구하는 의견이 69.2%를 차지했다.
반면 ‘금강산관광은 민간기업이 하는 것이므로 적자가 쌓이면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은 28.1%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 상당수가 금강산관광을 단순한 관광이 아닌 남북교류와 한반도 긴장완화의 상징으로 여기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관광공사와 같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현대의 금강산사업을 지원하는데 찬성하는 여론은 지역별로는 강원·제주(67.8%)와 서울(60.1%)지역에 높게 나타났으며 ▲대재 이상(62.6%) ▲화이트칼라 (60.3%) ▲201만원 이상 소득층(61.0%)등 중산층에서 높았다.
반면 적자 운영중인 금강산관광을 중단해야한다고 요구하는 여론은 지역별로는 대전·충청(31%), 부산·울산·경남(29.9%)지역과 ▲중졸이하(36.2%) ▲자영업자(35.7%) ▲100만원 이하 소득층(40.8%) 등 서민특성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북전력지원과 관련, 대부분의 국민은 전력지원에 앞서 상응하는 대가를 북한이 내놓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북전력지원에 대해 응답자의 60.6%가 ‘상응하는 대가를 받고 지원해야한다’고 밝혀 북에 대해 엄격한 상호주의 정책을 펴야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는 정부의 포괄적 상호주의 정책에 국민 상당수가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향후 정부의 대북정책 추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북전력지원의 엄격한 상호주의에 대한 선호는 지역별로는 대전·충청(67.7%)과 부산·울산·경남(66.1%)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20대(69.1%), 직업별로는 블루칼라(66,4%)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군사용으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지원하지 말아야한다는 의견도 24.4%나 됐으며 조건없이 지원해야한다는 의견은 13.1%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