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포용정책이 北 변화시키고 있다"
조지 W 부시 미국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미국의 여론 선도층 인사들은 10명 중 8명(80.2%)꼴로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났다. 이들은 부시 행정부가 ‘클린턴 행정부의 대북협상을 이어가야 한다’고 응답했다. 또 미국 응답자의 69.3%는 한국정부의 대북 화해정책의 추진 속도에 대해 ‘적당한 속도’라고 평가했지만 현실적으로는 46.5%가 남북관계 진전속도가 다소 늦춰질 것으로 보았다.양국 조사 대상자의 약 30%는 부시 행정부 출범으로 남북관계 관련 기본 정책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고 응답해 부시 행정부의 정책이 남북관계 정책방향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는 사람도 적지 않은 편이었다.
한국의 조사대상자 가운데 76.9%는 미국 응답자들과 마찬가지로 부시 행정부가 클린턴 행정부의 대북협상을 이어가야 한다고 응답했다. 한국 응답자들 중에는 51.9%가 한국 정부의 대북 화해정책 추진 속도가 ‘적당하다’고 응답했지만 42.3%는 ‘너무 빨리 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 응답자 중에서는 63.4%가 대북 포용정책에 대해 북한의 태도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고 응답했고 53.5%는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줄었다고 응답했다. 북한당국이나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해서도 신뢰할 수 있다는 응답이 46.5%였다. 그러나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감소하지 않았다는 응답도 40.6%나 됐고 북한당국이나 김위원장을 신뢰할 수 없다는 응답도 43.6%나 돼 북한에 대한 미국 여론 선도층의 우려가 여전히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통일과 관련해 미국의 여론 선도층 인사들 가운데 75.2%가 미국의 국익에 긍정적 영향을 더 많이 줄 것으로 예상했다. 또 미국 응답자들은 남북한이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독립된 국가로 남는 것(19.8%)보다 통일이 점진적으로(59.4%) 또는 가능한 한 빨리(13.9%) 이뤄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한국의 조사 대상자들은 56.7%가 통일이 미국에 좋지 않은 영향을 더 많이 줄 것이라고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나선미동아미디어연구소전문위원>sunny60@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