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논의 바람직하지 않다 62.3%
정치권의 잇단 개헌론 제기에 대해 서울시민의 62.3%가 부정적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권 관계자들의 개헌론 주장 배경에는 ‘정권재창출을 위한 정계개편의 의도가 깔려 있다’고 본 응답자가 40.6%나 됐다. 정치권의 개헌논의에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본 것이다.
이같은 사실은 내일신문과 한길리서치가 서울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밝혀졌다. 이 여론조사가 서울시민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서울시의 전국성을 고려하면 전체 국민의 여론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정치권에서 거론되는 개헌론에 대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엇다. ‘바람직하지 않다’가 응답률은 62.2%. 반면 ‘바람직하다’는 응답자는 30.9%에 지나지 않았다.
한나라당 지지층은 물론 민주당 지지층조차 개헌논의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한나라당 지지층의 경우 70.9%가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긍정적은 응답층은 25.1%에 불과했다. 민주당 지지층의 경우 긍정적인 응답자가 38.0%인 반면 부정적인 응답자는 54.4%나 됐다.

한편 여권이 계속 개헌론을 거론하고 있는 것에 대해 응답자의 40.6%가 ‘정계개편을 통해 정권재창출을 하려는 의도’라고 이해했다. ‘한나라당을 흔들기 위한 정치공세’라는 답변이 20.6%. 현행 5년 단임제가 장기집권 방지를 위해 한시적으로 만들어진 만큼 이에 대한 문제제기’라는 응답은 30.5%였다.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정치권의 개헌논의가 오히려 정치권 전체에 대한 불신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순형(서울 강북을), 김원기(전북 남원), 김충조(전남 여수) 의원 등 여권의 다선 중진의원들이 여권 내부의 개헌론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 김충조 의원은 “경제도 민생도 어렵고, 정치권이 극도의 불신의 대상이 된 마당에 권력구조를 바꾸는 개헌 얘기가 나오는 것은 정치권의 불신을 가중시키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남봉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