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론, 오히려 반발심만 부른다"

현행 5년 단임제가 우리나라에 적합 41.9%




사실 개헌론을 제기하고 있는 인사들 내부에서도 현실적으로 개헌이 가능하다고 보는 인사들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권이 개헌론 불지피기를 계속하고 있는 이유는 일말의 ‘기대심리’에다, 개헌론을 공론화 했을 때 실보다 덕이 많다는 판단이 섰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현재는 어렵지만 개헌론을 공론화하다 보면 개헌의 조건이 만들어질 수도 있고, 적어도 현행 헌법이 잘못됐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국민 여론은 정반대로 나타났다. 현행 5년 단임제가 우리나라에 적합하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41.9%나 됐다. ‘4년 중임제 정·부통령제’라는 응답자는 36.4%에 지나지 않았다. 민주당 지지자 내부에서조차 현행 헌법이 적합하다는 응답자(42.6%)가 더 많았다. 여권 예비주자들이 여당 지지자조차 제대로 설득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날 각종 여론조사에서 현행 5년 단임제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현재 정치권의 개헌론에 대한 반발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남봉우기자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