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강제투입 규제해야 ” 89%

“소수신문 여론독점 폐해”55% , 50대 “금강산 재검토”


“경찰청장해임”35%





신문고시와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의 가장 큰 특징은 정치권과 언론계의 팽팽한 의견대립과 달리, 신문 소비자인 일반 국민들은 규제의 필요성을 대체로 지지한다는 점이었다.







우선 독자들이 원하지 않는데도 신문을 계속 넣는 행위, 즉 강제투입과 관련해선 출신 지역과 정당 선호, 연령대와 관계없이 압도적으로 규제의 필요성에 찬성했다.




이를테면 한나라당 지지자의 84.2%가 찬성했으며, 한나라당의 기반이 강한 대구·경북(83.9%), 부산·경남(83.1%) 등에서도 찬성 의견이 크게 우세했다.




신문도 다른 상품과 마찬가지로 불공정거래 행위를 규제받아야 한다는 신문고시의 기본 취지에 대해서도 비슷한 여론이 확인됐다. 한나라당을 지지한다고 밝힌 응답자들 가운데 72.7%가 이 의견에 공감을 표시했는데, 이는 전체 평균 공감률 73.8%와 별 차이가 없는 것이었다.




그런 가운데서도 신문고시가 언론을 탄압하는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동의하는 의견이 많다는 것은 주목할 대목이다. 한나라당 지지자의 66.4%가 탄압 의도에 공감을 표시했으며, 민주당 지지자도 58.3%라는 적지 않은 응답자가 같은 반응을 보였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볼 때 신문고시와 관련된 국민 여론은 고시 제정의 이면에 정치적 의도가 깔렸다고 보지만, 규제의 필요성 자체는 공감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실제로 신문고시가 언론 탄압용이라고 응답한 사람들 가운데서도 73.9%는 공정거래위의 불공정거래 규제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소수 신문의 신문시장 과점에 따른 여론독점의 폐해를 우려하는 견해가 많다는 점이 확인된 것도 주목된다.




`2~3개의 신문이 전체 신문구독률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현실에 대해 “신문사끼리 경쟁을 통해 독자를 확보한 것이므로 문제되지 않는다”는 의견에 공감한 사람은 37.1%에 그쳤다. 반면에 “소수 몇개의 신문에 의해 여론이 좌지우지되므로 문제가 된다”는 응답자는 55.0%에 이르렀다.




금강산 관광 계속 추진 여부에 대해서는 연령별로 눈에 띄는 차이를 드러냈다.




20대는 `계속 추진'이 50.8%로 `재검토' 45.2%를 조금 앞섰고, 30대는 계속 추진과 재검토 의견이 48.2%와 48.9%로 팽팽하게 맞섰으나, 50대와 60대 이상은 “경제가 어려워지고 있는 만큼 중단쪽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72.9%, 65.2% 등으로 각각 우세했다.




대우차 노동자 폭력진압 책임자 문책에 관해서도 연령별 견해차가 컸다. 50대와 60대 이상이 “부평서장, 인천청장 직위해제로 마무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각각 49.5%와 40.8%로 높았으나, 20대와 30대는 “경찰청장까지 해임해야”가 각각 42.1%, 41.6%였다.




김보협 기자bhkim@hani.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