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은 대선뒤 바람직" 38%

우리 사회의 여론선도층 중에는 개헌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그 시기는 내년 대선 이후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높은 것으로 2일 밝혀졌다.




문화일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TN소프레스에 의뢰, 지난 4월 한달간 국회의원·지방의원·대학교수·언론인·노조지도자·중앙행정부처 공직자 등 여론선도층 인사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 설문조사에 따르면 개헌을 하되 내년 대선 이후에 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38.4%로 가장 많았다.







임기내 개헌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전체의 32.0%(4년 중임제 28.4%, 내각제 3.6%)였다. 따라서 시기에 관계없이 개헌 필요성에 공감하는 응답자가 70.4%였으며, 개헌할 필요가 없다는 응답자는 19.2%, 응답거절 10.4%로 나타났다.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82.4%가 성공적(매우 성공적 22.0%, 일부 문제가 있으나 비교적 성공적 60.4%)이라고 응답했다.




남북통일이 언제쯤 될 것으로 보느냐는 물음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0%가 ‘10년 이상∼20년 미만’으로, 26%는 ‘20년 이상∼30년 미만’으로 전망했으며 ‘30년 이상’이라는 답변도 12.8%에 달했다. 이는 가까운 시기내에 남북관계가 통일 수준에 이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여론선도층의 전반적 인식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북한과 미국의 관계는 ‘일정한 선에서 관계를 정상화’(78.8%)하거나 ‘상당한 관계진전’(10.0%)을 이룰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이 압도적이었다.한편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해 6·25 남침과 아웅산 테러, KAL기 폭파사건 등에 대한 사과가 필요하다(83.6%)는 견해가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그 시기에 대해서는 ‘답방에 앞서 이뤄져야 한다’(전체의 21.6%)는 쪽보다 ‘답방 시점에 맞춰야 할 필요는 없다’(전체의 62.0%)고 생각하는 쪽이 훨씬 많았다.




<한종호 기자· idhan@munhwa.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