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네이버·롯데쇼핑 등 21개 온라인 사업자 불공정약관 조항 시정
[폴리뉴스 이주현 기자] 포털사이트와 온라인 쇼핑몰 회원으로 가입할 때 본인확인정보를 필수항목으로 수집하는 조항을 포함해 온라인 사업자의 개인정보 관련 불공정약관 조항이 바뀌었다.
18일 공정거래위원회는 21개 온라인 사업자의 이용약관과 개인정보취급방침 검토를 거쳐 4개 유형의 불공정약관 조항을 시정했다고 밝혔다.
불공정약관 조항 시정 대상은 네이버, 다음(다음카카오), 네이트(SK커뮤니케이션즈), 옥션, 지마켓(이상 이베이코리아), 롯데마트(롯데쇼핑), 이마트, 홈플러스, 인터파크, 11번가(SK플래닛), 쿠팡(포워드벤처스), 위메프, 현대홈쇼핑, CJ오쇼핑, 롯데홈쇼핑(우리홈쇼핑), NS쇼핑, GS홈쇼핑, 신세계, 현대백화점, AK백화점(애경유지공업), 롯데닷컴(롯데백화점) 등이다.
공정위에 따르면, 지난해 터진 신용카드사 개인정보 유출사고를 계기로 ‘전자상거래 표준약관’ 개정을 개정하고, 21개 사업자의 이용약관과 개인정보취급방침의 불공정성 여부를 심사해 개인정보 수집·보유 요건을 강화하도록 약관 조항을 고쳤다. 개인정보 유출가능성을 줄이고,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업자의 면책 범위를 좁히기 위함이다.
먼저 회원가입 시 본인확인정보를 필수항목으로 수집하는 조항을 바꿔 본인확인정보를 수집하지 않거나, 선택항목으로 하고, 구매 또는 결제 단계의 필수수집항목으로 했다.
제휴사이트 통합가입 또는 통합ID 설정 시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사실을 고지하지 않는 조항은 이용자가 원할 때만 제휴사이트에 가입할 수 있고 통합회원 서비스 과정에서 제3자에 대한 개인정보 제공 사실을 명확히 고지해 동의를 받도록 바꿨다.
법률상 정해진 개인정보 보유기간을 연장하는 예외 조항은 불법행위로 제재를 받았거나 임의 해지·가입을 반복하는 회원 등 구체적인 예외 사유가 있어야 보존 항목과 기간을 명시해 보관·관리할 수 있도록 시정했다.
또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대한 사업자의 책임 범위를 축소하는 조항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법률상(정보통신망법) 요구되는 기술·관리적 조치를 다했음을 사업자가 입증해야 면책될 수 있도록 바뀌었다.
이번 불공정약관 조항 시정에 대해 공정위는 “자의에 의한 개인정보 수집, 이용·제공 및 보관을 막아 개인정보유출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회원가입 시 누구나 선택의 여지없이 본인확인절차를 해오던 관행에 제동을 걸어 온라인 구매절차도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임재현편집국장칼럼]‘문공부’의 기억과 네이버
- [스페셜 인터뷰 동영상] 김준일 뉴스톱 대표② “유튜브나 네이버는 이미 언론…혁신 위해 뉴스 없애고 본연으로 돌아가라”
- [스페셜 인터뷰] 김준일 뉴스톱 대표② “언론 신뢰도 1위 유튜브, 2위 네이버...포털뉴스, 구글이나 아웃링크 방식으로 가야”
- [주목, 쟁점법안③ 정무위] 네이버·카카오페이, 금융거래 감독은 누가?…금융위·한은 대립
- [2020 국감] 윤관석 “네이버‧구글 등 온라인플랫폼 시장 독과점화 주의해야”
- [2020 국감] 코로나 가짜뉴스, 네이버카페서 가장 많이 삭제조치
- [2020 국감] 정무위, 구글‧배민 등 온라인 플랫폼 갑질 질타…네이버 과징금도 논란
- [단독]'호갱'네이버, 낡은 서버 구매 논란 ...시스코 등 고질적 납품체계가 원인
-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네이버, 지역언론 배제 중단하라"
- [단독]다음카카오 도감청 논란 ‘화웨이’ 장비 '쉬쉬' 사용...미국과 마찰 불보듯
- [이슈]대박친 ‘카카오게임즈’...과거는 묻지 맙시다? 거래소‧금감원 상장 검증의 공백
- [리얼 카카오](3) 재벌 뺨치는 지배구조...'브라이언과 어떤 관계의 어떤 관계의 어떤 관계냐'
- [단독][리얼 카카오](2) '브라이언과 어디까지 가봤니' 재벌같은 족벌경영
- [단독][리얼 카카오](1) 대기업급 나눠먹기 내부고발, 블라인드에 떴다 급삭제
- 코로나 고통은 평등하지 않다 ... 제약·바이오 168%↑ 카카오‧네이버 113%↑
- [스페셜 인터뷰 동영상] 김준일 뉴스톱 대표① “그냥 포털이 뉴스 서비스를 안 하면 된다”
- [스페셜 인터뷰] 김준일 뉴스톱 대표① “그냥 포털이 뉴스 서비스를 안 하면 된다”
- 폴리TV [김능구의 정국진단] 윤영찬 ① “포털 중심 뉴스 유통 기형적, 언론사 공급 과잉시대에 뉴스 차별화 고민해야”
- 폴리TV [김능구의 정국진단] 이원욱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③ “포털뉴스는 (구글식) 아웃링크 방식 전환 필요”
- [김능구의 정국진단]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 ① “포털 중심 뉴스 유통 기형적, 언론사 공급 과잉시대에 뉴스 차별화 고민해야”
- [김능구의 정국진단] 이원욱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③ “포털뉴스는 (구글식) 아웃링크 방식 전환 필요”
- 윤영찬 '포털 길들이기 논란' 카카오 "개입 불가능"vs 이재웅 "AI 중립적이지 않아"
- [리얼미터] 포털 뉴스 댓글 ‘폐지37.1% vs 유지 34%’ 팽팽
- [리얼미터] 포털 '실시간 검색어 순위' ‘폐지47.4% >유지38.6%’
- 조국 둘러싼 포털 실검 전쟁…양대 포털, 수수방관 중
- [리얼미터] 포털사이트 뉴스 이용 ‘네이버41.6% >다음22.8% >구글5.6%’
- [김능구의 정국진단] “드루킹사건 근본 원인, 포털 댓글 시스템 문제...제도개선 돼야”
- 주요포털 금융산업에 속속 진출…다음카카오에 이어 네이버도
- 포털 기사검색 제휴 기능, 독립적인 기구에서 수행해야
- "네이버·카카오, 언론사 입점심사 없애고 제재 실효성 높여야"
- ‘네이버·다음 뉴스 검색서비스 중단금지’ 가처분 신청
- [기획이슈] '뜨거운 감자' 언론개혁 3대 쟁점 톺아보기... 언론·포털 '징벌적 손해배상제' 등
- 민주당, ‘언론개혁’ 가동… 징벌적 손해배상 대상에 ‘언론·포털’ 포함
- 민주연구원장 홍익표 의원 “‘법조 기자단’ 해체해야”… 언론개혁 신호탄?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