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정부, 실무협의를 ‘설명회’로 표현 “韓측 관심사항 바탕으로 日의 설명과 질의응답 있었다”

1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현장 시찰 한일 실무협의에서 우리측 윤현수 외교부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과 일본측 카이후 아츠시 군축불확산과장이 회담장에 입장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1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현장 시찰 한일 실무협의에서 우리측 윤현수 외교부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과 일본측 카이후 아츠시 군축불확산과장이 회담장에 입장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정찬 기자] 한일 양국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현장에 대한 한국 전문가 시찰단의 일본 방문을 나흘 일정으로 진행하기로 했다고 13일 외교부가 밝혔다. 다만 시찰 프로그램의 세부 사항은 조율이 마무리되지 않아 추가 협의를 갖기로 했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한일 양국은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국장급 협의를 갖고 후쿠시마 현장 시찰단 파견의 구체적 사항을 논의했다. 12일 오후 2시쯤 시작해 13일 오전 2시쯤까지 약 12시간 동안 진행된 국장급 실무협의에서 일정에 대한 합의는 이뤄졌지만 세부적인 시찰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양국 간의 이견이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협의에서 한일 외교당국은 이달 23-24일 시찰에 나설 한국 전문가 시찰단의 일정과 이들이 둘러볼 시설 등을 구체적으로 조율했는데, 원전 현장을 보는 1박 2일 앞뒤로도 시간이 더 필요해 전체 일정은 나흘로 매듭지어졌다.

외교부는 윤현수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을 수석대표로 국무조정실, 원자력안전위원회, 해양수산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가 참석하고, 일본 측은 외무성 카이후 아츠시 군축불확산과학부장을 수석대표로 외무성과 경산성이 대면 참석, 원자력규제위원회(NRA)와 도쿄전력이 화상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어 구체적인 사항을 집중 논의했다고 밝혔다.

한국 측은 시찰단이 보려고 하는 시설과 그 이유에 대해 기술적인 부분까지 상당히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고 일본측은 한국이 요구한 일부 시찰 항목에 대해 난색을 표하거나, 협의 현장에서 결정이 어렵고 내부 검토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회의 결과에 대해 “우리 측의 상세한 제안사항을 바탕으로 우리 시찰단의 파견 일정, 시찰 항목들을 포함한 활동 범위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시찰을 통해 일본의 방사능 핵종 분석 역량과 오염수 정화 시설인 다핵종제거설비(ALPS) 및 방류시설 운영 상황 등을 직접 파악해 안전성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일본은 오염수를 ALPS로 정화해 원전 부지 내 저장탱크에 보관 중이며 오염수를 바닷물로 희석해 1㎞ 길이의 해저터널을 통해 해저에서 방류한다는 계획이다. 한국 정부는 이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시찰’의 범주에 묶여 있고 방문 일정 또한 기존 2일에서 이틀 더 늘어났다지만 실질적인 ‘검증’은 어려운 여건이다.

일본 정부도 이날 동시에 보도자료를 내고 “설명회에서는 한국 측의 관심 사항을 바탕으로 일본 측의 설명과 질의응답이 있었다”라며 이번 한일 실무협의를 ‘설명회’로 규정했다. 일본이 한국정부에 설명하는 절차를 진행했다는 뜻으로 한국 정부의 ‘안전성 검토’와는 거리가 멀다.

이어 일본 정부는 한국 전문가 시찰단의 파견 일정을 둘러싸고 집중적인 논의를 진행해 나흘간 일본을 방문한다는 데 합의했다며 자세한 사항은 추가 논의를 통해 조속히 결정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