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외부에서 사람을 데리고 올 게 아니라 자체적으로 정당 내에서 지도자 키워야”
“용산 대통령실 안 돼...바로 옆에 주한미군 호텔에서 대통령실 다 보여”
문재인과 회동서 文 “다음 정부가 노무현 대통령 때 추진했던 국가 균형 발전 시대 열었으면”
“이재명, 대통령 파면되면 개헌 장 열릴 거라고 생각한 것...개헌 안 하자는 거 아냐”
“‘5대 메가시티 자치 정부’로 지방 특색 있게 발전시켜야”
![더불어민주당 대권 주자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오른쪽)가 14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에서 문 전 대통령과 환담하고 있다. [사진=김경수 전 지사 측 제공]](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04/689748_499911_5528.jpg)
[폴리뉴스 안다인 기자]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15일 더불어민주당의 경선 룰이 지난 대선 때와는 다른 국민참여경선 방식으로 바뀐 것에 대해 “미리 규칙을 확보하고, 선수도 미리 준비하는 공정한 선거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KBS 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경선 룰 자체가 우리가 바라는 대로 되지 않았다는 아쉬움보다는 민주당 같은 공당이 공직 후보 선출 시스템을 자리 잡을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민주당의 기본적인 룰은 공직 후보 선출을 하기 위해 총선이든 대선이든 1년 전에 룰을 확정하게 돼 있다"며 "경기 규칙이 미리 정해져야 규칙에 따라 선수들이 준비를 할 것 아니냐. 유럽 선진 정당은 대부분 이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유럽의 선진 정당들은 대부분 이런 시스템을 갖고 있다”며 “임박해서 경선 룰을 놓고 서로 힘겨루기하고 샅바싸움하고, 이게 그렇게 좋아 보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에도 불가피하게 조기 대선이라 (급한 모습을) 보여줄 수밖에 없었지만 앞으로는 좀 미리 규칙을 확정하고 거기에 따라서 선수들도 미리미리 준비해서 공정하게 준비하는 그런 시스템이 갖춰졌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김 전 지사는 당의 결정에 따르기로 한 이유에 대해선 “당이 결정하면 따르는 게 당원의 도리”라면서도 “그 과정에서 최소한 당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폭을 넓힐 방안이 반영되도록 고려를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날(14일) 민주당 대선 경선 불참을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에 대해선 "충분히 이해한다"면서 "규칙을 미리 정해야 하는 이유 중 하나다. 그래야 이런 일이 생기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국민의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의 차출론에 대해선 “내란 세력과 결별하지 못한 국민의힘의 한계다. 우왕좌왕하고 있는 것”이라며 “한 대행은 (대선 경선에) 나와도 문제, 안 나와도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아직도 민심을 제대로 못 읽고 있다. 지난 4.2 재보선에서 거제시장이나 부산 교육감 선거에서 참패하지 않았나”라며 “지금은 권력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정당이라면 외부에서 사람을 데리고 올 생각을 할 게 아니라 자체적으로 정당 내에서 어떻게 하면 스스로 지도자를 키울 것인지를 고민하고 내란 세력과 어떻게 하면 결별할지를 먼저 정리하는 것이 국민의힘이 지금 최우선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용산 대통령실 이전’에 대해선 “용산 대통령실에 들어가서는 안 되는 이유는 국가 안보 차원에서 대통령실로 부적절하기 때문이다”라며 “대통령과 합참의장 등 전시 핵심 지휘부가 한곳에 모여 근무하는 나라는 없다. 단 하루도 들어가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이어 “용산 대통령실 바로 옆에 주한미군 시설이 있다. 주한미군 안에 있는 ‘드래곤호텔’이라는 높은 빌딩이 있는데 거기서 대통령실이 다 보인다”며 “그걸 경호실에서 안 그래도 매입을 하려고 했는데 호텔 지하에 각종 미군 첨단 시설이 들어가 있어서 그걸 매입하려니까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었다”고 보안상의 문제도 지적했다.
전날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한 김 전 지사는 문 전 대통령과의 대화도 전했다. 김 전 지사는 “다음 정부는 반드시 노무현 대통령 때 추진했던 국가 균형 발전이 새로운 균형 발전의 그 시대를 열어갈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하는 당부를 했다”며 “또 그런 정책들이 민주당의 정책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재명 전 대표가 개헌보다 내란 종식이 먼저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선 “이 전 대표도 국회의장과 협의할 때, 탄핵 인용 이후 대통령이 파면되면 개헌 논의의 장이 열릴 거라고 생각했던 것”이라며 “개헌 논의의 장이 열리면 이번에 가능한 것부터 개헌하겠다고 생각했던 건데, 문제는 대통령은 파면됐는데 국민의힘이 내란에 동조하면서 내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개헌 논의를 하겠다고 하는 것은 그 내란 세력에게 책임을 면피하거나 면죄부를 주는 행위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래서 이 대표가 지금은 내란 종식이 우선이라고 정리한 것”이라며 “지금은 어떻게 하면 내란을 완전히, 가장 빠른 시일 내에 종식할 것인가, 국민의힘이 내란 세력과 어떻게 하면 가장 빨리 결별할 것인가가 대한민국 정치를 안정시키고, 개헌을 통해 제7공화국을 여는 데 대단히 핵심적인 과제”라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에 대해선 “전국이 17개 시도로 나눠져 있는데 그러다 보니까 중앙정부의 권한이 너무 세다”며 “17개 시도는 중앙정부로부터 국비 지원 사업을 어떻게든 조금이라도 더 따오려고, 중앙정부가 갖고 있는 각 부처 차원의 공모 사업에 각 지역이 다 맞춰야 되는 것”이라며, 지방이 특색 있게 발전하는 것이 불가능한 이유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