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인구 혁신으로 '머물고 싶은 지역' 전남 실현

[폴리뉴스 강성율(=호남) 기자] 전라남도는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에 지속 가능한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월 1천만 명이 머무는 활력 전남'을 비전으로 한 인구대전환 시즌2, '생활인구 생생생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생활인구 통계는 등록인구와 체류인구를 합산한 수치로, 2023년 시행된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을 통해 정책에 도입됐다. 2026년부터는 지방교부세 산정에도 반영될 예정이다.
2025년 3월 기준 전남 인구감소지역 16개 군의 등록인구는 70만 명, 체류 인구는 278만 명으로, 생활인구는 348만 명에 달한다. 한 달간 등록 인구의 5배가 전남을 오가며 생활하는 셈이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지난 5월부터 24개 실국원이 참여하는 TF를 구성해 생활인구 유입 활성화 과제를 발굴하고, 전남연구원 인구전략추진센터와 함께 '연결-유입-성장' 3대 전략, 20개 핵심과제, 100대 과제를 선정했다.
'연결' 전략은 전 국민이 전남을 '두 번째 고향처럼 느끼도록' 관계 인구를 넓히는 데 중점을 둔다. '전남 사랑애 서포터즈 100만 명 육성'을 목표로 관광·특산품·귀농귀촌 정책 등을 지속적으로 알리며 정주 인구로 유치한다.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살고 싶은 전남' 브랜드 홍보도 대대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귀농산어촌 종합센터 운영, 전남 관광플랫폼 운영, 출향 향우 '고향애 가자', 청소년 메가 페스티벌 등 생활인구 유입 출발점이 되는 20개 과제를 추진한다.
'유입' 전략은 전남에 '머무를 이유'를 만드는 것이다. 축제·숙박·체험 등 시군 간 관광 콘텐츠를 연계한 체류형 관광상품, 장·단기 근무형 워케이션 거점, 명품 숲 연계 웰니스 관광, 농촌체험휴양마을, 마음건강치유센터, 섬·연안 크루즈 운영 등 50개 과제를 통해 체류형 생활공간과 콘텐츠를 확충한다.
'성장' 전략은 머무는 인구가 전남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고 정착하도록 지원한다. 전남형 빈집재생 프로젝트를 통해 농어촌 유휴주택 100호를 리모델링해 체류형 공간으로 재활용하고,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으로 지역경제 순환을 촉진한다.
농촌 체류형 복합단지 조성, 전남형 새뜰하우스 운영, 외국인 원스톱 종합상담 서비스 및 안심병원 운영 등 20개 과제를 추진하며, 빈집특화형 도시재생, 관광농원 규제 완화, 연안여객선 공영제 도입 등 제도 개선 과제도 병행한다.
전남도는 월 1천만 명 체류 목표 달성 시, 2025년 1분기 생활인구 1인당 평균 소비액 기준으로 연간 약 15조 원 규모의 지역 소비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체류형 관광 확대로 방문객 평균 체류일이 늘고, 워케이션·정착형 프로그램을 통한 신규 정주인구 확보 등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도민들의 기대 반응도 나오고 있다. 여수 시민 A씨는 "생활인구가 늘어나면 지역 상권에 활력이 생길 것 같다"며 기대감을 드러냈고, 순천 주민 B씨는 "청년 일자리가 늘고, 체류형 관광이 활성화되면 귀향·귀촌을 고려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일부 주민들은 "실제 효과가 나타날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생활인구는 단순한 방문객이 아니라 전남의 일상을 함께 만드는 또 하나의 도민"이라며, "생활인구 생생생 프로젝트를 통해 사람이 전남으로 모이고, 전남이 대한민국 인구정책을 선도하는 새로운 기준점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