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 김건희·채해병특검·대검 압수수색…김건희·박성재 겨냥
내란특검, 계엄후 사법부회의 사실관계 확인 나서
김건희특검,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 강철원·김한정 소환…오세훈 기소 임박
![윤석열 부부를 향한 특검의 막바지 수사에 속도가 붙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11/714834_529003_4955.jpg)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김건희특검과 채해병특검, 대검찰청을 대상으로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김건희씨의 비상계엄 관여 정황과 관련된 자료를 확보하고, 박성재 전 법무부장관에 대한 3번째 구속영장 청구를 위함으로 보인다.
김건희 특검팀은 오세훈 서울시장의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과 관련해 25일 오 시장의 최측근과 후원자를 잇따라 소환했다. 또한, 김건희씨의 종묘 차담회 의혹과 학교 폭력 무마 사건과 관련해 장상윤 전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도 불러 조사한다.
내란특검, 김건희·채해병특검·대검 압수수색…김건희·박성재 겨냥
내란특검팀은 24일 김건희특검 사무실에 이어 25일 해병특검, 대검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에 나섰다.
특검팀은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 직후 박성재 전 장관이 법무부 실·국장 회의를 열고 '합동수사본부 검사파견 검토', '출국금지팀 호출' 등 지시를 내려 계엄에 가담했다는 의혹을 조사 중이다.
이에 대한 수사 과정에서 김건희씨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행위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정황을 포착하고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진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검팀은 김씨가 작년 5월께 박 전 장관에게 자신의 검찰 수사와 관련한 메시지를 보낸 것을 근가로 김씨가 내란에 관여했다고 보고 있다.
해당 메시지는 이원석 전 검찰총장이 대통령실로부터 사퇴 요구를 받자 이 전 총장이 김씨에 대한 신속 수사를 검찰 수사팀에 지시했고, 결국 수사팀 지휘부가 교체됐다는 내용의 '지라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 목적이 김씨의 사법리스크 방어 차원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박 전 장관이 윤 전 대통령 부부와 소통하면서 김씨의 '사법리스크' 방어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문자 메시지가 나온 것이다.
이에 내란특검팀은 김건희씨의 휴대폰 내역 등 자료를 제출받기 위해 김건희특검과 해병특검을 대상으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아울러 특검은 대검 압수수색을 통해 비상계엄 선포 뒤 박 전 장관이 합동수사본부에 검사 파견을 검토하라는 지시를 했다는 의혹을 뒷받침할 자료를 확보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내란특검, 계엄후 사법부회의 사실관계 확인 나서
내란특검팀은 비상계엄이 선포된 뒤 대법원에서 열린 긴급회의에 대한 수사도 진행 중이다.
현재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에서는 당시 긴급회의는 조희대 대법원장을 비롯한 사법부 일부가 비상계엄 내란에 관여한 증거라며 특검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천대엽 법원행정처장은 지난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종합감사에서 당시 긴급회의와 관련해 "아닌 밤에 홍두깨식 비상계엄 때문에 영문 파악을 하기 위해 사발통문식으로 긴급하게 모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천 처장은 "느닷없는 비상계엄 소동 때문에 영문을 몰라서 걱정돼 서로 전화로 이야기하다가 '모여서 이야기하자'고 해서 나온 것"이라며 "그러다 대법원장한테도 알리자고 해서 비서실장을 통해 전화로 알렸고, 대법원장은 밤 12시 40분에 행정처에 등청했다"고 말했다.
일단 특검팀은 당시 긴급회의가 열린 경위와 이에 대한 대법원 공식 입장 등을 묻는 질의서를 법원행정처에 보내 이를 보낸 상태다. 법원행정처의 답변서 내용을 기반으로 해당 의혹에 대한 수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박지영 특검보는 24일 브리핑에서 "사법부에 대해 고발장이 다수 접수돼있고, 여러 가지 의혹 보도도 있어 이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며 "계엄 선포 이후 열린 사법부 내부 회의 등을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건희특검,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 강철원·김한정 소환…오세훈 기소 임박
김건희특검팀은 25일 오세훈 시장의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과 관련해 오 시장의 측근인 강철원 전 부시장과 오랜 후원자로 알려진 사업가 김한정 씨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피의자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강 전 부시장은 2021년 4·7 서울시장 보궐 선거 당시 오 시장 캠프 실무를 총괄하며 여론조사비 대납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그는 이날 특검에 출석하며 '여론조사 결과를 몇 차례 보고 받았느냐'는 질문에 "처음에 테스트할 때만"이라고 답했고, '오 시장에게 결과를 보고했느냐'는 물음에는 "안 했다"고 부인했다.
김 씨는 오 시장 측이 명 씨가 실소유한 미래한국연구소의 미공표 보궐 선거 여론조사를 제공받는 대가로, 3300만 원 상당의 여론조사비를 대납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그는 '오 시장 부탁으로 대납이 이뤄졌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납이라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며 부인했다.
이어 "내가 부가세 주고, 내 이름으로 송금해서, 내 이름으로 (여론조사를) 한두 번 받아본 게 무슨 대납이냐"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여론조사 결과를 오 시장에게 보고했느냐고 묻자 "안 했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날 피의자 조사를 마치는 대로 오 시장 기소 여부도 이른 시일 내 결정할 전망이다.
오 시장은 서울시장 보궐 선거 당시 미래한국연구소 여론조사 13건을 제공받고, 김 씨를 통해 미래한국연구소 부소장인 강혜경 씨 계좌에 조사비를 대납하게 한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를 받는다.
이와 관련해 오 시장 측은 여론조사가 캠프에 정기적으로 제공된 적 없고 김 씨가 스스로 비용을 냈을 뿐, 납부한 사실도 몰랐다는 입장이다. 반면, 명 씨는 오 시장의 부탁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오전 김건희씨의 '종묘 사적 이용' 사건과 김승희 전 대통령 의전비서관 자녀의 '학교폭력 무마' 의혹과 관련해 장상윤 전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을 소환했다.
장 전 사회수석은 김씨가 지난해 9월 3일 세계문화유산인 종묘 망묘루에서 외부인과 비공개 차담회를 가질 당시 대통령실에서 근무했다. 장 전 수석은 김 전 비서관 학교 폭력 사건 무마에도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