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정창화(鄭昌和) 총무는 15일 오전 총재단회의에서 전날 '노동당 2중대' 발언으로 파문을 일으킨 김용갑(金容甲) 의원과 접촉한 결과 '국회 정상화를 위해 필요하다면 당론을 따르겠다'는 확답을 얻었다고 설명했다.한나라당 정창화(鄭昌和) 총무는 15일 오전 총재단회의에서 전날 '노동당 2중대' 발언으로 파문을 일으킨 김용갑(金容甲) 의원과 접촉한 결과 '국회 정상화를 위해 필요하다면 당론을 따르겠다'는 확답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한나라당은 이에 따라 이날 회의에서 김 의원의 발언에 대한 속기록 삭제와 원내총무의 유감표명 수준에서 국회파행 사태를 수습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총재단은 특히 이같은 방침에도 불구하고 여당이 김 의원의 직접사과와 출당, 의원직 제명 요구를 할 경우 국회를 파행으로 몰려는 의도로 볼 수밖에 없다며 분명한선을 그었다.

나아가 한나라당은 여당의 완강한 반발을 "탄핵소추안의 국회보고를 저지하기 위한 의도된 움직임"으로 파악하고 "오늘부터의 국회파행 책임은 여당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회창(李會昌) 총재도 총재단회의에서 "여당의 의도가 탄핵소추와 동방사건을덮기위한 것이 아닌가"라며 "이것을 더 끌고 나간다면 여당은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하게 될 것"이라는 말했다고 권철현(權哲賢) 대변인이 전했다. 이 총재는 그러면서 현대문제의 정공법적 해결을 주문하고 '동방비리'의 수사가검찰의 수사능력과 의지 부족에 따른 것임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이 전날의 수세에서 이처럼 공격적 자세로 선회한 것은 이회창(李會昌)총재의 주문에 따른 것이며, 무엇보다 당내 '분란 기류'를 잠재우고 탄핵안처리 등에 일사불란하게 대응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해석하는 시각이 많다.

이 총재는 전날 김 의원의 발언이 터져나오자 "생각이 짧다", "탄핵안 처리를벼르고 있는데…"라며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총무단이나 정책위의장단이 김 의원의 발언을 사전에 차단하지 못해 여당에 빌미를 준 점을 지적했다는 후문이다.

특히 이부영(李富榮) 부총재 등 비주류.개혁성향 의원들이 이번 사태를 '영남정서' 등 당의 정체성 문제와 연결지으며 반발하는 점도 이 총재가 '정면돌파'를 선택케 한 요인의 하나로 분석된다. 정면돌파로 이같은 당내 분란의 기류를 잠재움으로써 눈앞에 닥친 탄핵안처리에서 '우를 범하지 않겠다'는 의지라는 것이다.

그러나 당의 고위관계자는 "김 의원으로부터 사전에 받은 원고에도 '노동당 2중대' 발언이 포함돼 있었다"고 실토, "일부 거친 표현이 있어 완화시켰다"는 총무단등의 얘기와는 다른 설명을 해 이를 놓고 당 안팎에서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신지홍기자]

동아 11.15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