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방적 대화를 근거로 '당무개입' 규정은 어려워
논란에 대해 태 최고위원이 사과하거나 정치적 책임져야
![논란에 대해 태 최고위원이 사과하거나 정치적 책임져야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305/608870_409273_3351.jpg)
[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친윤'인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은 최근 불거진 이른바 ‘태영호 녹취록’과 관련해 ‘사실이 아닐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신이 용산 대통령실과 더 가깝다는 점을 근거로 삼으며 공천 관련 이야기는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논란 자체가 윤리위의 징계 결과나 양형에 영향을 끼칠 거라고 생각한다"고 내다봤다.
장 최고위원은 3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해당 녹취록에 담긴 공천 관련 언급이 대통령실의 '당무개입'이라는 비판에 대해 적극 반박했다.
그는 "사실 용산 대통령실과 소통 잘 되고 가깝기로는 제가 더 가까워도 가까울 텐데, 저는 단 한 번도 공천 관련된 이야기라거나 이런저런 그런 부탁을 들어본 적이 없다"며 "태 의원의 일방적인 의원실 직원들에 대한 대화를 주축으로 해서 당무 개입 공천 개입 그런 이야기를 꺼내기에는 근거가 너무 빈약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진복 수석에 대해서도 "공천 같은 이야기를 꺼내면서 그런 요청을 할 만한 분은 전혀 아니다라고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 같다"며 "당 내부에서도 시기적으로 공천이라는 단어 자체를 꺼내기에 너무나 섣부른 타이밍이기 때문에 그런 이야기가 실제 오갔을 거라고는 믿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어쨌거나 오해를 야기할 수 있는 부적절한 내용이 국민들에게 알려졌다"고 유감을 표하며 "태영호 의원이 별도 사과를 더 하시든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했다.
장 최고위원은 이번 논란이 태 최고위원의 징계에 영향을 줄 것으로 봤다. 또, 태 최고위원이 지역구에서 쪼개기 후원을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당무감사위원회에서 김현아 전 의원도 하고 여러 강도 높은 윤리위 징계 회부도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그 대상이 누구든,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정한 조사와 처벌을 하겠다는 기조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당내에서는 이번 ‘녹취록 사태’를 감싸는 발언도 나오고 있다. 김성태 중앙위 의장은 비슷한 시각 YTN라디오에서 "태영호 의원이 자기 음성이 맞다고 인정했지만 대화 내용에 대해선 '우리 의원실이 좀 더 분발하고 좀 더 잘해보자는 차원에서 자기가 좀 부풀렸다'고 해명했다"며 "당사자가 그렇게 해명을 하는데 이걸 어떻게 의혹의 눈초리로 볼 수가 있겠는가"고 중징계감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또 "총선이 아직 1년 가까이 남았고 박근혜 대통령 때 정무 라인이 공천에 개입, 박 대통령이 형을 살았다는 걸 잘 알고 있는데 정무수석이 섣부르게, 태영호 최고위원 스피커가 아무리 중요하다고 하더라도 그런 부탁을 할 수 있겠는가"라며 사실이 아닐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