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플라스틱 25%↑, 폐전자제품 누적 회수량 400만톤
'모두의 더 나은 삶' 실현 위해 탄소중립 등 6대 전략 추진

LG전자, 2022∼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 2022∼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사진제공=LG전자]

[폴리뉴스 황정일 기자] LG전자가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 대비 22만톤가량 줄이고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은 25% 늘렸다고 28일 밝혔다.

LG전자는 이와 같은 성과를 담은 2022~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비전 '모두의 더 나은 삶'을 실현하기 위한 6대 전략 과제의 분야별 성과와 달성 전략을 공개했다.

LG전자는 6대 전략 과제로 탄소중립, 자원 순환, 친환경 기술, 접근성, 사업장 안전, 다양성·포용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LG전자가 지난해 배출한 직접 온실가스(스코프1)와 간접 온실가스(스코프2)는 92.7만톤이다. LG전자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들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전환율은 8.2%를 기록했다. 지난해 LG전자 7대 주요 제품의 기능단위 탄소 배출량은 2020년 대비 13.1% 줄었다.

LG전자가 지난해 52개국 87개 지역에서 회수한 폐전자제품은 총 47만2876톤으로 집계됐다. 2006년부터 누적 회수량은 399만2768톤이다.

제품에 사용한 재활용 플라스틱은 3만2987톤으로, 2021년 대비 약 25% 늘었다. LG전자는 국내 전 사업장에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도 추진하고 있다.

LG전자는 주요 제품에 음성 인식·안내 기능을 탑재하고 점자 스티커를 배포하는 등 제품과 서비스 접근성 개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재작년 10월부터 시작한 서비스·렌탈·구매 상담 수어 서비스는 누적 이용 건수 1500건을 넘어섰다.

LG전자는 ESG 경영의 내재화를 위해 이사회 산하 ESG 위원회의 역할을 점차 확대해 가고 있다.

LG전자 ESG 위원회는 사외이사 4명, 사내이사 1명(CEO) 등 총 5명으로 구성된다. ESG 위원장은 올해 초 선임된 서승우 사외이사가 맡고 있다.

지난해에는 ESG 위원회가 주관해 사외이사의 독립성, 다양성 및 전문성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기업지배구조헌장을 제정하고, 이를 홈페이지 등에 공개한 바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