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김민수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025년으로 예정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 의무화를 현실에 맞게 재조정해야 한다는 내용의 의견을 금융위원회 등 관계 부처에 전달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국제회계기준(IFRS) 재단 산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난 6월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으로 일반요구사항과 기후 관련 공시기준을 발표한 이후 금융위는 해당 기준 적용과 공시 의무화 일정을 담은 '국내 ESG 공시제도 로드맵'을 구상 중이다.

이에 경총은 IFRS 공시기준을 확정하는 것이 애초 지난해 말에서 여섯 달 가량 늦어졌고, 탄소 배출량 측정 범위가 너무 넓으며, 공시제도 기반 조성이 충분히 선행되지 않는 국내 상황에 조기 도입이 될 시 산업현장 및 자본시장의 대혼란이 예상된다는 우려의 입장이다.

IFRS 공시기준은 자회사뿐만 아니라 실질 지배력이 없는 지분법 대상 기업들의 탄소 배출량을 공시하도록 했지만 인도, 동남아, 중남미 등 ESG 인식 및 인프라가 취약한 개도국에 공급망을 구축한 국내 기업은 연결 데이터를 집계하는 것조차 부담이 된다. 

기업들이 IFRS 공시기준에 부합하는 원천 데이터를 전 세계 사업장에서 주기적으로 집계·검증할 전사 시스템을 구축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며, 국내 탄소배출 인증시장이 아직 매우 작기 때문에 ESG 공시 의무화 조기 시행 시 기업의 과도한 초기 비용부담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경총은 "현재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도입 관련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한 국가는 금융업 중심의 싱가포르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라며 "국가 차원의 공시제도 기반 조성이 선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2025년으로 예정한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최소한 3~4년 정도 늦추고 이 기간 동안 정부와 기업의 세부 공시기준 마련과 시스템 구축 등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