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상(오른쪽 첫번째)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이 '제7차 K-ESG 얼라이언스 회의'에 참석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한경협]
이한상(오른쪽 첫번째)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이 '제7차 K-ESG 얼라이언스 회의'에 참석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한경협]

[폴리뉴스 김민수 기자] “ESG 공시 의무화는 기업이 납득할 만한 기준과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 의무화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19일 개최한 ‘제7차 K-ESG 얼라이언스’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의견이 오갔다.

이날 김윤 K-ESG 얼라이언스 의장(삼양홀딩스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선진국과 국제사회에서 ESG 정보 공시 기준 최종안이 발표되며 ESG 정보 공시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다”며 “ESG 공시 의무화가 추진된다면 기업들은 생산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에 걸쳐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 밝혔다.

이어 “공시 기준 마련에 있어 기업과 현장 목소리가 많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지난 6월 ‘지속가능성 및 기후공시의 글로벌 표준 최종안’을 발표한 데 이어 7월에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ESRS)’ 최종안을 통과시켰다.

아울러 연내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도 기후 공시 규칙 최종안도 발표할 예정이다. 글로벌 3대 공시 기준 확정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2025년부터 ESG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우고 금융위원회와 회계기준원이 ESG 공시제도 로드맵을 마련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이한상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 위원장(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은 ESG 공시와 관련해 주요국 및 ISSB 동향에 대해 설명하며 ESG 공시 의무가 확대됨에 따라 상장법인이 있는 국내 기업들 역시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위원장은 “기업이 납득할 만한 기준과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시 의무화 시행에 앞서 공시 기준에 대한 컨센서스 도출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현실적으로 해외 사업장이 많은 기업들은 2025년부터 ESG 공시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시를 위한 정보 수집에 있어 명확한 기준의 부재가 혼란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문제다.

한경협 측은 공시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기 현장의 논란을 줄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경협은 “공시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고, 현장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준비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