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권 심판할 역량 총 결집하는 선거 구도”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4선 중진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9일 선거제 결정에 어려움이 이어지는 가운데, 민주당은 지역구 출마에 주력하고 비례연합정당을 구성해 소수정당들과 힘을 모으자고 제안했다.
우 의원은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현행 제도를 유지하는 전제하에 민주당이 ‘지역구 정당’으로 주력을 맡아 지역 출마를 하고, 제 정당이 합의 가능한 방법을 찾아 ‘비례연합정당’으로 힘을 모으는 역할분담론”을 주장했다. 그는 “이는 윤석열 정권에 대해 심판할 수 있는 제 역량을 총 결집하는 선거 구도를 만들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우 의원은 우선 지역구에 대해 “총선 승리의 기본은 253석의 지역구 선거에서의 승리를 전제로 한다. 이 중 수도권과 충청권 지역구 선거결과가 승리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윤석열 정권 심판 선거에서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압도적으로 못 이긴다면 22대 총선은 승리할 수 없다. 이는 선거제가 연동형인가 병립형인가 이전의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지역구 선거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의석수가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는 잘못된 전제를 기반으로 병립형으로의 돌아가야 한다는 주장은 그래서 잘못된 판단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윤 정권에 대한 심판선거로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구 선거 경합지역에서 1:1 구도를 만드는 것이 민주당 승리의 관건 중의 하나”라며 “최대 격전지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라도 1:1구도를 만들 연합정치가 필요하며, 이는 현재 준연동형제를 전제로 할 때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우 의원은 비례연합정당에 대해선 “‘지역구 정당’과 ‘비례연합정당’의 역할분담에 정치적 동의가 있는 비례연합정당에서, 소수정당에 대해 적극적인 배려를 해야 한다”며 “민주당 비례대표 후보를 뒷순위에 배치하되 민주당의 비례대표 후보는 지역구도 해소를 위해 영남지역 후보들을 상위 순번에 배치한다”고 했다.
그는 “비례연합정당을 만드는 것은 민주당 지지그룹의 사표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수정당의 의회 진출의 기회를 동시에 추구하고자 하는 취지이며, 민주당이 현행 선거제도의 취지를 보다 분명하게 구현하는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또 “비례연합정당 후보에 대한 검증 절차를 대폭 강화해나갈 필요가 있다”며 “비례연합정당에 참여하는 당이 기본적으로 후보를 추천하되, 연합정당 내 검증 틀을 만들어 발생할 수 있는 우려를 충분하게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우 의원은 “선거구제를 선악의 구도로 보는 것에 동의하지는 않지만, 21대 총선에서 준연동제가 위성정당으로 형해화되었다는 이유가 병립형으로 돌아가야 할 이유가 될 수는 없다”며 “우리가 약속한 것을 깨는 것이 다른 정당을 이유로 정당화되어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이슈] 이재명 만난 이해찬 "총선, 크게 이겨야".. '권역별 병립형'으로 기우나?
- 민주당, 선거제 ‘연동형이냐, 병립형이냐’ 결단 2월말·3월초 내릴 듯
- 민주당 '80 대 84' 선거제 분열...이탄희 의원 등 80명 "병립형 퇴행 악수 중 악수"
- 유인태 “선거제 당원 투표, 제일 불길한 것...총선, 지금 시점선 국힘 유리”
- [이슈] 민주·국힘, 위성정당 창당 속도낸다.. 제3지대 빅텐트·녹색정의당 '위기'
- [이슈] 준연동형 확정 이후 국힘-민주 '위성정당' 창당 박차.. 정치권 '꼼수' 비판
- [전문] 야권 비례 위성정당 ‘민주개혁진보연합’ 3월3일 창당…호남‧대구‧경북 단일화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