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절차에 큰 변화 없어…유권자 투표 참여 의지 높아진 영향"
투표 안하고 귀국한 재외선거인, 관할 선관위 신고하면 선거일에 투표 가능
![국회의원선거 재외 국민투표가 2024년 3월 27일 시작돼, 한 유권자가 일본 도쿄 총영사관에 마련된 재외투표소에서 투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4/641826_446595_1810.jpg)
[폴리뉴스 정언 기자] 22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재외 국민투표가 2024년 3월 27일 시작됐다. 4월 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2대 이번 총선 재외투표에서 재외유권자 14만 7989명 중 9만 2923명이 잠정 참여해 투표율이 역대 총선 최고치인 62.8%를 기록했다.
총선 재외투표는 3월 27일 전 세계 115개국 178개 재외공관 220개 투표소에서 4월 1일까지 6일간 진행됐다.
인원과 투표율은 아주 4만 7647명 62.8%, 미주 2만 6341명 56.5%, 유럽 1만 4431명 73.5%, 중동 2904명 74.0%, 아프리카 1600명 79.3% 등으로 잠정 집계됐다. 역대 총선 재외투표 투표율은 19대 45.7%, 20대 41.4%, 21대 23.8%였다.
선거 재외투표는 2012년 제19대 총선에 처음 도입됐다. 국외에 거주하거나 체류 중인 대한민국 국민이 해외에서도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이다.
이번 총선의 재외투표율이 높은 이유를 선관위 관계자는 "재외투표 절차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 의지가 높아진 영향으로 보고 있다"라며, "코로나19 상황에는 투표 참여가 어렵고, 재외투표가 실시되지 않은 국가도 있어 재외투표율이 낮은 편이었다"고 설명했다.
![제20대 대선 재외선거에서 미국 LA총영사관에 마련된 투표장을 재외선거인들이 찾았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4/641826_446596_2247.jpg)
총선에 비해 대통령 선거 재외투표율이 높다. 역대 대선 재외투표율은 18대 71.1%, 19대 75.3%, 20대 71.6% 등으로 전부 70%를 넘겼다.
재외투표를 하지 않고 귀국한 재외선거인은 선거일까지 주소지 또는 최종주소지 관할 구·시·군선관위에 신고하면 선거일에 투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