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직은 당원선거, 선출직 공직자는 민심 반영, 원내직은 의원 선거가 원칙"
"당원 의견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네트워크 통해 온라인 정당 변신해야"
"채상병 특검법 표결, 국민의힘 이탈 두자리도 가능…정권 문제 비화 불만 많아"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 [연합뉴스 자료사진]](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5/649719_455474_350.jpg)
[폴리뉴스 박상현 기자]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의장과 원내대표 등 원내직은 국회의원에게 맡기는 것이 좋다며 일부에서 당심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옳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우 의원은 23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민주당 내 일부 의원들이 국회의장이나 원내대표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궈너리당원을 참여시키자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우 의원은 "당대표, 최고위원, 시도당위원장 등 당직은 당원들이 뽑는 것이 맞다. 또 선출직 공직자를 뽑을 때는 국민들이 후보를 좋아할 것인지를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민심을 반영해야 한다"며 "원내정당의 원내직은 국회의원이 뽑아야 한다. 이 세 가지가 우리 당에서 오랫동안 정착해온 일종의 선출 과정의 룰이다. 그런 측면에서 민주당이 오랫동안 지난 몇 십년 동안 가져오면서 만들었던 원칙은 지키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국회의장·부의장 후보는 대표가 지명않는 것이 원칙…특정후보 밀거나 거부한 것 아냐"
그러나 우상호 의원은 당원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검토해야 할 문제라고 봤다. 우 의원은 "다만 당원들이 급속하게 늘어나면서 당원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당내 체제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민주당이 플랫폼 정당으로서 당원들의 의견을 어떤 식으로 수렴하고 반영할 것인가에 대해 제대로 된 시스템을 만들지 못한 것이 당원들에게 아쉬움을 주는 것"이라며 "민주당을 사랑하고 민주당에 참여하고 싶은데 참여할 통로들이 제대로 확보되지 못한 것들에 대한 반발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선거에 몇 퍼센트를 더 반양한다는 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것이 아니라 상시적으로 당원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100만이 넘는 당원들이 일상적으로 당을 들여다보고 당에 대한 의견을 표출하고 그것이 수렴돼 일부 반영되는 것을 체감할 수 있는 시스템 개혁을 해야 한다"며 "(당원주권국 신설 얘기가 나왔는데) 당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다양한 통로를 만들겠다는 것은 좋지만 당원주권국을 만들어놓고 오프라인 중심으로 해버리면 생색내기 보여주기밖에 안 된다"고 말해 온라인 정당으로 변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역설했다.
또 국가서열 2위인 국회의장을 당대표나 원내대표가 정리하는 것에 대해 직접 문제제기를 했던 것에 대해 우 의원은 "과거 3김시대에는 당 대표나 총재가 국회의장 후보를 지명한 적이 있었는데 언론의 비판을 받은 적이 있다. 그래서 민주정당으로서 당내 민주주의를 구현하면서 적어도 국회의장과 부의장 후보에서만큼은 당대표가 지명하지 않도록 일종의 규칙과 원칙을 세웠다"며 "하지만 이번에 언론 보도에 따르면 원내대표나 당대표와 가까운 사람들이 구도정리를 했다고 하니까 그것은 민주당에서 오랫동안 정책해왔던 규칙을 위반한 것이기 때문에 좋은 관례가 아니라고 지적한 것뿐이지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비토한 것은 아니다. 나는 이번 선거에 투표권이 없어 누구를 뭘 할 수 있는 위치가 아닌데 갑자기 왜 내가 공적이 되고 항의 문자를 받았는지 의아했다"고 밝혔다. 우상호 의원은 22대 총선에 불출마했기 때문에 이달 말로 끝나는 21대를 마지막으로 당분간 의원 신분이 아니다.
"국민의힘 내부 채상병 문제·김건희 여사 처신 불만 많아…10명 이상 표결 찬성할 수도"
우상호 의원은 최근 범야권에서 탄핵을 거론하고 있는 것에 대해 경고의 성격이 강하다고 말함과 동시에 채상병 특검법과 김건희 여사 문제에 대해 국민의힘 내부에서 불만이 싹트고 있다고 밝혔다.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 당시 민주당의 원내대표였던 우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국정을 운영하는데 상당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탄핵사유에 해당하느냐 아니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지금 꺼내고 있는 탄핵 이야기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똑바로 하라는 경고의 의미가 훨씬 강하다"며 "경고를 계속 어기고 심각한 헌법 위반 사유나 법률 위반 사유가 발생한다면 충분히 탄핵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보는데 민주당이 당론으로 만들어서 추진하는 단계는 아직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우 의원은 "사실로 확인된, 상상을 초월하는 국정농단과 비리가 점철되고 당시 새누리당 의원들이 잘못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을 확인하면서 이반이 시작됐다"며 "국민의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문제점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의원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새누리당 의원의 절반이었던 60명 정도가 탄핵에 찬성했던 2016년의 수준까지는 가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가 만났던 국민의힘 의원들은 채상병 문제에 대해 대통령실이 왜 수사에 관여해서 이런 사달을 키우고 대통령이 격노하게 만들었느냐에 대한 것과 김겅희 여사 처신 등 두 가지에 대해 불만이 많다. 다만 총선에서 심판받고도 왜 바로잡지 않느냐는 요청이지 대통령을 끌어내려야 한다고 판단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채상병 특검법 재의결에 대해 우 의원은 "재표결에서 이탈표가 꽤 나올 수 있다고 본다. 국민의힘 내부에서 해병대 사단장 한 명 때문에 왜 이렇게 난리쳐서 총선에서 심판받아야 했느냐는 불만이 높다. 뭐 대단하다고 정권의 명운까지 걸고 지켜야 하느냐는 불만은 당연한 것"이라며 "사단장의 잘못한 지시로 억울한 희생이 있었다는 것이 거의 밝혀졌는데 왜 이 문제를 그렇게 오래 끌고 가고 정권의 문제로 비화시키는지를 이해할 수 없다는 의원들이 많다. 대통령에게 큰 타격을 줄 거냐 하는 고민하는 의원들이 있긴 하지만 공개적으로 3명이 말할 정도면 공개하고 있지 않지만 찬성표결하겠다는 사람이 더 많다고 본다. 두 자릿수로도 갈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