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의대생 행정명령 및 처분 취소 및 사법처리 위협 중단 등 제안
16일 오후 11시까지 요구안 받으면 17일 휴진 보류 놓고 회원 재투표
정부 "진료거부 결정 강행 유감" 중증 응급질환별 순환당직제 실시키로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이 9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이 9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박상현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오는 18일 전국 의사 휴진에 앞서 3대 요구안을 내놨다. 정부가 3대 요구안을 받겠다고 한다면 집단 휴진을 재검토하겠다는 것이다.

의협은 16일 정오 보도자료를 통해 ▲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 및 보완 ▲정부가 일방적으로 통한 전공의와 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 즉각 소급 취소 및 사법처리 위협 중단 등 3대 요구안을 내놓고 오후 11시까지 정부의 답을 요청했다.

의협은 "3대 요구안이 받아들여질 경우 17일 회원들을 대상으로 18일 전면 휴진 보류에 대한 투표를 실시해 결정할 것이며 그렇지 않을 경우 예정대로 18일 전국적으로 집단 휴진을 진행하고 이후 무기한 휴진을 포함한 전면 투쟁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의협은 지난 9일 전국의사대표자대회를 통해 강경투쟁을 선언하고 오는 18일 전면 휴진을 예고했다. 또 의협은 회원들에게 연일 메시지를 보내며 18일 집단 휴진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의협은 16일에도 "협회는 회원 권익 보호가 최우선"이라며 "행정기관으로부터 부당한 피해를 받으면 적극 나설 것이다. 교수, 개원의, 봉직의, 전공의, 의대생까지 모두 하나 되면 이겨낼 수 있다"고 전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그러나 정부는 여전히 의협의 집단 휴진 강행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전하며 유감을 표시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의사 집단행동에 대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의사 집단행동 장기화로 인한 국민 의료 이용 불편이 계속되는 가운데 의협 등에서 집단 진료 거부 결정을 강행하는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본부장인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중증 및 응급환자의 진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 진료체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며 오는 17일부터 골든타임(최적기) 내 치료해야 하는 환자 진료를 위한 '중증 응급질환별 전국 단위 순환 당직제'를 실시하기로 했다.

정부는 전국 단위 순환 당직제를 급성대동맥 증후군과 12세 이하 소아 급성복부질환, 산과 응급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우선 실시하며 향후 다른 응급질환자로 대상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순환 당직을 신청한 기관들은 수도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등 4개 고아역별로 매일 최소 1개 이상 당직기관을 평성해 야간과 휴일 응급상황에 24시간 대비하게 되며 암 환자가 적시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국립암센터 병상을 최대한 가동하고 서울 주요 5대 병원과 핫라인도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현장 의료진 지원을 위해 진료지원 간호사에 대한 별도 수당을 7, 8월에 지급하고 의료인력 신규 채용 인건비와 기존 인력 당직비 대상을 상급종합병원에서 레지던드 수련 종합병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