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의원 "중소기업 R&D 지원 필요해"
상위 1% 연구 및 인력 개발비 33조6천억 투자
반면 , 중기부 올해 R&D 예산 21.3% 줄여
기준 없는 삭감에 중기 혁신역량 '흔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대전 유성구을)의원 [사진=의원실 제공]](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6/655745_461699_4528.jpg)
[폴리뉴스 양성모 기자] 상위 10% 대기업의 연구 및 인력개발비 규모가 하위 10%의 9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일각에선 연구개발(R&D) 분야에서도 양극화가 극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더불어민주당 황정아(대전 유성구을)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기준 국세청에 신고된 법인들의 연구 및 인력개발비는 42조 216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수입금액 상위 10% 대기업들의 연구 및 인력개발비는 38조5152억원으로 나타났다. 하위 10% 기업이 지출한 비용(4066억원)의 94.7 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수입금액은 소득금액 계산의 기초가 되는 금액으로, 물품판매업에서는 총매출금액, 용역제공업은 수령한 금액의 합계액을 가리킨다.
연구 및 인력개발비 투자는 상위 10% 기업 중에서도 상위 1% 기업이 주도했다. 수입 상위 1% 기업이 쓴 연구 및 인력 개발비는 33조 6220 억원으로 전체의 79.7%를 차지했다.
반면 하위 10% 소기업은 4066억원만 투자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불과했다.
정부가 중소기업 R&D 지원에 나서야 하는 상황에 오히려 예산을 삭감하며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이 흔들리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
실제 중소벤처기업부의 올해 R&D 예산은 지난해 1조 7701억원 보다 3769억원(21.3%) 줄어든 1조 3932억원이다.
한편 , 황정아 의원은 일명 K- 칩스법으로 불리는 조세특례제한법을 개정해 일몰 규정을 연장하고 , 반도체 등 전략산업뿐 아니라 이외 중소기업들의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 대폭 상향도 추진할 예정이다 .
황정아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 말 한 마디에, 아무런 근거도 없이 중소기업 R&D 예산이 삭감되면서 중소기업들의 혁신역량이 흔들리고 있다”며 “현장은 연구에만 집중한 연구자들과 기업이 왜 이런 처우를 받아야 하는지 분노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이어 “세계적인 대기업 구글도 허름한 창고에서 시작했고, 중소기업의 혁신 지원 없이는 미래 성장동력 확보가 불가능하다”며 “국회에서 중소기업 R&D 예산 복원과 R&D 지원 시스템 구축을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장종태 의원, 1호 법안 '장애인건강권법 개정안' 대표발의
- 민주당 “소득대체율 1% 차이 타협 가능...21대 처리하자”...정부·여당 압박
- [5.18 44주기] 여야 의원 등 300여명 광주 총집결... "5.18 정신 헌법전문 포함" 與野 한목소리
- 민주당, 전세사기특별법 28일 처리 방침…검찰 인사 두고 질타 이어져
- [이슈] ‘日라인 강탈’ 사태...이재명 ‘日침탈..반일’ 공세 수위 높아진다
- [이슈] 네이버, 日 강제에 라인야후 철수 수순, 해외 시장·마케팅 한꺼번에 상실한다
- 尹 장모 최은순, 형기 2달 남겨두고 '만장일치' 가석방.. 野 "사위의 어버이날 선물이냐"
- 민주당 당직 인선 '친명' 득세…사무총장 김윤덕·정책위의장 진성준
- [4.10 총선] 민주당 돌아온 이언주 당선…'尹심판' 정서에 국민의힘 건너간 이상민·김영주 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