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연금개혁 원포인트 영수회담 제안
박찬대 “연금개혁, 핵심 공약이라며 책임지지 않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24일 정부·여당을 향해 21대 국회 내 연금개혁을 처리하자고 압박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국민의힘의 ‘소득대체율 44%안’을 받을 가능성을 열어놓으며 연금개혁 관련 원포인트 영수회담을 제안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본청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만약 실제로 연금개혁을 할 의사가 있다면 이 1% 범위 내에서 대통령과 여야 대표들이 다 만나든, 대통령과 민주당 대표가 만나든 어떤 방법을 동원해 타결지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민주당은 (소득대체율) 44%와 45% 사이에서 얼마든지 열려있는 자세로 타협할 수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대표는 전날 ‘소득대체율 45% 정부안’을 수용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국민의힘이 ‘해당안 자체를 제안한 적 없다’고 부인한 것과 관련, “정부가 비공식적적인 석상이긴 하지만 소득대체율 45%를 실무 안으로 제시한 바 있다”며 “민주당이 50%를 주장할 때 정부는 45%안을 내서 양당으로 하여금 검토하자 하게 했던 일이 분명히 있다”고 강조했다. 

또 “유경준 국민의힘 연금개혁특별위원회 간사는 지난 10일 44%를 페이스북에 공식 제시했다”며 “민주당이 주장하는 45%와 단 1%(퍼센트) 차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단 1%의 차이를 두고, 또 그 이하의 차이를 두고 이 중대한 문제를 계속 방치하거나 또는 22대 국회로 넘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정부·여당이) 만약 이런 태도라면 실제 연금개혁을 말로만 생색내되 실제 할 의사가 없다는 국민적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는 지적을 드린다”고 경고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도 정부·여당을 향해 “연금개혁이 대통령 핵심 공약이라면서 툭 던져놓고 책임지지 않는다”며 “정부 차원에서 연금개혁안을 제시하지도 않고 국회로 공을 던져놓고 21대 국회가 끝나가는 마당에 갑자기 22대 국회로 미루겠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말로만 개혁하겠다고 하면서 실제 하겠다는 것인지 말겠다는 것인지 전혀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며 “거부권을 10번이나 쓸 정도로 무엇을 안 하겠다는 의지는 충분한데 무엇을 하겠다는 의지는 왜 이렇게 빈약하냐. 이렇게 일을 하지 않을 것이면 무엇 하러 그 자리에 계신지 의문이라고 많은 국민들이 이야기하고 있다”고 날을 세웠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 제안에 대한 여권 공세를 두고 “연금개혁을 21대 국회에서 마무리 짓지 않고 22대 국회로 넘기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방침을 추종하는 것”이라며 “대통령을 중심으로 해서 정부·여당은 21대 국회에서 연금개혁을 마무리 할 생각이 없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말 의지가 있다면 당장 영수회담이든 원내대표 회담이든 응해서 1% 차이를 좁히자”며 정부·여당을 재차 압박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민주당이 국민의힘 공식안인 ‘소득대체율 44%안’을 받을 가능성에 대해선 “협상해야 할 사안”이라며 “오늘 아침 이 대표가 44%에서 45% 사이서 합의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으니 글자 그대로 이해하면 된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황정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영수회담이 실제 열릴 가능성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대표가 일단 영수회담을 제안한 것으로 알고 있고 결과를 기다리는 것으로 알고 있다. 오늘 중으로”라고 답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